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종교개혁자 츠빙글리의 삶과 개혁신학
가격
29,000
5 27,550
YES포인트?
580원 (2%)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추천사 6
프롤로그 츠빙글리의 생애와 신학 사상 12
주도홍(츠빙글리 종교개혁 기념대회 대회장, 전 백석대학교 부총장)

01. 울리히 츠빙글리와 개혁교회의 역사 40
Ulrich Zwingli und die Geschichte der reformierten Kirche
유디스 베커(Prof. Judith Becker)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교수(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in Germany)
Prof. Dr. Judith Becker, HU Berlin/IEA Nantes

02. 1523년 츠빙글리의 논쟁과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교회의 시작 86
Zwinglis Disputationen von 1523 und die Anfange einer auf
“Gottes Wort” horenden Kirche
페터 오피츠(Prof. Peter Opitz)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교수(University of Zurich in Switzerland)

03. 예배, 어떻게? 118
주도홍(총신대학교 초빙교수)

04. 정의란 무엇인가? 150
이은선(안양대학교 교수)

05. 통일, 어떻게? 184
안인섭(총신대학교 교수)

06. 설교, 어떻게? 212
서창원 교수(전 총신대학교 교수)

07. 츠빙글리와 루터의 성만찬 논쟁에 나타난 그리스도 신앙 이해 248
(Understanding the Faith in Christ in Zwingli and
Luther’s Controversy for the Lord’s Supper)
조병하(전 백석대학교 교수)

08. 불링거와 칼빈의 만남 284
이승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09. 국가와 가난한 자들에 대하여 326
이신열(고신대학교 교수)

10.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하나? 368
박찬호(백석대학교 교수)

11. 성찬식 어떻게 해야 하나? 398
Reflections on Zwingli and Calvin’s Sacraments
임종구(대신대학교 교수)

12. 그리스도인의 삶, 어떻게? 432
우병훈(고신대학교 교수)

13. 참 자유는 무엇인가? 470
유정모(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14. 기독교 평화, 어떻게? 504
Zwingli’s Understanding of Freedom as an impulse
for Christian Peace Ethics for the Korean Peninsula
조용석(안양대학교 교수) Yong Seuck Cho

15. 어떻게 살아야 하나? 530
주도홍(총신대학교 초빙교수)

16. 하나님의 언약, 어떻게? 566
이은선(안양대학교 교수)

에필로그 재발견된 츠빙글리, 한국 교회에 말하다. 606
안인섭(츠빙글리 종교개혁 기념대회 편집위원장, 총신대학교 교수)

저자 소개14

독일 보쿰대학교(Ru hr-Universitaet Bochum)에서 독일 개혁교회 경건주의 연구로 신학석사(Mag. theol.)와 신학박사(Dr. theol.)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시카고에서 CRC교단 담임 목회를 한 후, 한국에 돌아와 백석대 역사신학 교수, 부총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총신대학교 통일대학원 초빙교수로 있다. 『새로 쓴 세계교회사』(개혁주의신행협회, 2006), 『통일, 그이후』(Ivp, 2006), 『개혁교회 경건주의』(대서, 2011), 『츠빙글리를 읽다』(세움북스 2020), 『네 번째 동방박사 알타반』(단열삼열, 2023) 등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독일 보쿰대학교(Ru hr-Universitaet Bochum)에서 독일 개혁교회 경건주의 연구로 신학석사(Mag. theol.)와 신학박사(Dr. theol.)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시카고에서 CRC교단 담임 목회를 한 후, 한국에 돌아와 백석대 역사신학 교수, 부총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총신대학교 통일대학원 초빙교수로 있다. 『새로 쓴 세계교회사』(개혁주의신행협회, 2006), 『통일, 그이후』(Ivp, 2006), 『개혁교회 경건주의』(대서, 2011), 『츠빙글리를 읽다』(세움북스 2020), 『네 번째 동방박사 알타반』(단열삼열, 2023) 등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역서로는 『모짜르트, 음악과 신앙의 만남』(이레서원, 2000), 『조나단 에드
워즈의 신학』(이레서원, 2001)이 있다.

주도홍의 다른 상품

안양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와 교육대학원을 마치고 총신대에서 목회학 석사(M. Div.), 신학 석사(Th. M.), 그리고 철학 박사(Ph. D.) 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안양대학교 신학대학 기독교문화학과에서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교목실장직과 신대원장을 역임했다. 복음주의역사신학회 회장으로 일했으며 현재 한국개혁신학회 총무를 맡고 있다. 2001년에는 예일대학교에 교환 교수로 있었다. 저서로는 『칼뱅의 신학적 정치 윤리』, 『신학을 배우려는 젊은이들에게』, 『종교개혁자들 이야기』, 『청교도 입문』 등이 있고,
안양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와 교육대학원을 마치고 총신대에서 목회학 석사(M. Div.), 신학 석사(Th. M.), 그리고 철학 박사(Ph. D.) 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안양대학교 신학대학 기독교문화학과에서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교목실장직과 신대원장을 역임했다. 복음주의역사신학회 회장으로 일했으며 현재 한국개혁신학회 총무를 맡고 있다. 2001년에는 예일대학교에 교환 교수로 있었다.

저서로는 『칼뱅의 신학적 정치 윤리』, 『신학을 배우려는 젊은이들에게』, 『종교개혁자들 이야기』, 『청교도 입문』 등이 있고, 역서로는 『16세기 맥락에서 본 진정한 칼뱅 신학』, 『종교개혁 후 개혁주의 교의학』, 『영국의 복음주의』, 『주제별 교회사 상·하』, 『개혁자들의 신학』 외 다수가 있다.

이은선의 다른 상품

총신대 교수(역사신학) / 기독교통일학회 회장 / 남북관계발전위원회(통일부) 위원 / 남북사랑네트워크(사) 이사장 신학 박사(네덜란드 캄펜신학대) 대표 논저: 『칼빈과 어거스틴』, 『칼빈』, “통일신학 정립을 위한 개혁주의적 고찰”, “The Presbyterian Churches of (South) Korea and the Reunification Issue: A Matter of Reconciliation”

안인섭의 다른 상품

서창원 목사는 처음 신앙을 가지게 되었을 때 하나님의 귀한 섭리 가운데 정통보수주의 신학으로 무장된 교회에 출석하게 되었다. 저자는 왕십리교회에서 배운 칼빈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총신대학에서 그리고 신학대학원에서, 또 오직 복음 선포에 충실한 설교자들을 길러내고자 로이드 존스 목사가 설립한 런던신학교에서, 그 이후 장로교회의 창시자인 존 녹스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신학교와 뉴 칼리지에서 정통장로교회의 보수 신학을 더 깊이 숙독하며 온몸으로 익힌 설교자이다. 성경에 충실한 교회가 많아져야 진리의 말씀에 목숨 걸 일군들을 배출할 수 있다는 확신 때문에 교수사역보다
서창원 목사는 처음 신앙을 가지게 되었을 때 하나님의 귀한 섭리 가운데 정통보수주의 신학으로 무장된 교회에 출석하게 되었다. 저자는 왕십리교회에서 배운 칼빈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총신대학에서 그리고 신학대학원에서, 또 오직 복음 선포에 충실한 설교자들을 길러내고자 로이드 존스 목사가 설립한 런던신학교에서, 그 이후 장로교회의 창시자인 존 녹스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신학교와 뉴 칼리지에서 정통장로교회의 보수 신학을 더 깊이 숙독하며 온몸으로 익힌 설교자이다. 성경에 충실한 교회가 많아져야 진리의 말씀에 목숨 걸 일군들을 배출할 수 있다는 확신 때문에 교수사역보다 목회사역에 치중한 그는 하남시에서, 그리고 삼양동에서, 심지어 고창에서까지 복음이 필요로 하는 곳에서 목양에 전념하였다. 모교인 총신에서는 91년부터 개혁주의 정통 신학에 충실했던 청교도들, 언약도들을 소개하고자 강사로 시작하여 겸임교수로 그리고 2014년부터 전임교수로 지금까지 섬기며 올해 은퇴를 앞두고 있다. 학교를 섬긴 30주년을 기념하여 오직 성경, 그리스도의 왕권 및 가장 성경적인 장로회주의 원리를 목숨 걸고 지킨 언약도들의 영적 리더십을 한국의 장로교회 앞에 내놓게 되었다. 저자는 한국의 교회 강단이 성경에 충실한 강단이 되게 하려고 한국개혁주의 설교연구원을 1992년에 설립하여 지금까지 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이후 한국개혁주의설교연구원을 30년을 이끌어온 저자는 지금은 총회 소속 GMS의 교수 선교사로서 선교지에서 신학교와 교회 지도자 훈련을 위한 수고와 저술 및 번역 활동으로 섬기고 있다. 또한 [서창원의 신앙일침]이라는 유튜브 방송으로도 교회 개혁을 위한 외침을 꾸준히 실행하고 있다.

서창원의 다른 상품

전 백석대학교 교수

조병하의 다른 상품

李承九

이 책의 지은이 이승구는 개혁신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이로서 현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있다.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과를 졸업(B. A.)하고, 서울대학교대학원에서 윤리학과 가치교육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합동신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영국 The University of St. Andrews 신학부에서 연구(research)에 의한 신학 석사(M. Phil., 1985) 학위와 신학 박사(Ph. D., 1990) 학위를 취득하였고, 미국 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에서 연구원(Research Fellow)으로 있다가(199
이 책의 지은이 이승구는 개혁신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이로서 현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있다.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과를 졸업(B. A.)하고, 서울대학교대학원에서 윤리학과 가치교육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합동신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영국 The University of St. Andrews 신학부에서 연구(research)에 의한 신학 석사(M. Phil., 1985) 학위와 신학 박사(Ph. D., 1990) 학위를 취득하였고, 미국 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에서 연구원(Research Fellow)으로 있다가(1990-1992) 귀국하여, 웨스트민스터신학원(1992-1999)과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1999-2009)에서 조직신학 교수, 부총장 등을 역임한 후 지금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로 있다. 그 동안 한국장로교신학회, 한국개혁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2020년부터 2022년 봄까지 한국 복음주의신학회 회장으로 섬겼다. 그 동안 다음 같은 책을 내었다.

『현대 영국 신학자들과의 대담』 (대담 및 편집). 서울: 엠마오, 1992.
『개혁신학에의 한 탐구』. 서울: 웨스트민스터 출판부, 1995, 재판, 2004.
『교회론 강설: 교회란 무엇인가?』. 서울: 여수룬, 1996, 2판, 2002.
개정. 서울: 나눔과 섬김, 2010. 4쇄, 2016. 재개정판. 서울: 말씀과 언약, 2020.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강해 1: 진정한 기독교적 위로』. 서울: 여수룬, 1998, 2002.
개정판. 서울: 나눔과 섬김, 2011. 2쇄, 2013. 3쇄, 2015.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강해 2: 성령의 위로와 교회』. 서울: 이레서원, 2001, 2003, 2009, 2013, 2015.
『인간 복제: 그 위험한 도전』. 서울: 예영, 2003, 개정판, 2006.
『기독교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서울: SFC, 2003, 개정판 5쇄, 2009. 재개정, 2014, 2016, 2022.
『기독교 세계관으로 바라보는 21세기 한국 사회와 교회』. 서울: SFC, 2005; 2쇄, 2008; 5쇄, 2016. 개정판. 서울: CCP, 2018.
『사도신경』. 서울: SFC, 2005, 개정판, 2009. 재개정판, 2013, 2015, 2020.
Kierkegaard on Becoming and Being a Christian. Zoetermeer: Meinema, 2006.
『21세기 개혁신학의 동향』.서울: SFC, 2005, 2쇄, 2008. 개정판. 서울: CCP, 2018.
『한국 교회가 나아갈 길』. 서울: SFC, 2007, 2011. 개정판. 서울: CCP, 2018.
『코넬리우스 반틸』. 서울: 도서출판 살림, 2007, 2012.
『전환기의 개혁신학』. 서울: 이레서원, 2008, 2쇄, 3쇄, 2016.
『광장의 신학』. 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10, 2쇄.
『우리 사회 속의 기독교』. 서울: 도서출판 나눔과 섬김, 2010, 2쇄.
『개혁신학 탐구』. 서울: 하나, 1999, 2001.
개정판. 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12.
『톰 라이트에 대한 개혁신학적 반응』. 수원: 합신대학원 출판부, 2013. 2쇄.
『거짓과 분별』. 서울: 예책, 2014.
『우리 이웃의 신학들』. 서울: 도서출판 나눔과 섬김, 2014. 2쇄, 2015.
『위로 받은 성도의 삶』. 서울: 나눔과 섬김, 2015. 개정판, 서울: 말씀과 언약, 2020.
『묵상과 기도, 생각과 실천』. 서울: 도서출판 나눔과 섬김, 2016. 개정판. 개혁, 2022.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서울: SFC, 2018.
『하나님께 아룁니다』. 서울: 말씀과 언약, 2020.
『교회, 그 그리운 이름』. 서울: 말씀과 언약, 2021.
『데이비드 웰스와 함께 하는 하루』. 서울: 말씀과 언약, 2021.
『성경적 종말론과 하나님 백성의 삶』. 서울: 말씀과 언약, 2022.

이승구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철학과(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칼빈 신학교(Th.M.), 풀러 신학교(Ph.D.)에서 철학과 조직신학을 공부했으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쳤고 총장으로도 재직했다. 현재는 백석대학교 기독교학부 교수로 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과 현대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역서로는 밀턴 D. 헌넥스의 『철학요해』(아가페문화사, 1992)와 월터 카이저의 『예언서 이해를 위한 지침서』(엠마오, 1993), 로날드 내쉬의 『현대의 철학적 신론」(살림, 2003)과 버스웰의 『조직신학』(공역, 웨스트민스터출판부, 2005), 밀라
서울대학교 철학과(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칼빈 신학교(Th.M.), 풀러 신학교(Ph.D.)에서 철학과 조직신학을 공부했으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쳤고 총장으로도 재직했다. 현재는 백석대학교 기독교학부 교수로 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과 현대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역서로는 밀턴 D. 헌넥스의 『철학요해』(아가페문화사, 1992)와 월터 카이저의 『예언서 이해를 위한 지침서』(엠마오, 1993), 로날드 내쉬의 『현대의 철학적 신론」(살림, 2003)과 버스웰의 『조직신학』(공역, 웨스트민스터출판부, 2005), 밀라드 에릭슨의 『기독교신앙과 포스트모더니즘』(기독교문서선교회, 2012), 윌리암 뎀스키가 편집한 『기독교를 위한 변론』(새물결플러스, 2016), 켈리 케이픽과 브루스 맥코맥이 편집한 『현대신학 지형도』(새물결플러스, 2016) 등이 있다. 저서로는 『판넨베르그 신학비판』(웨스트민스터출판부, 2003)과 『칼 헨리: 복음주의 신학의 대변자』(살림출판사, 2006), 『성경과 하나님, 그리고 인간』(도서출판 솔로몬, 2009), 『신학과 과학, 그리고 영성』(도서출판 대서, 2010), 『주의 성령을 거두지 마옵소서』(킹덤북스, 2011), 『개신교는 가톨릭을 이길 수 있을까?: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며 개신교 목사가 던지는 질문』(기독교문서선교회, 2017) 등이 있다.

박찬호의 다른 상품

저자는 교회성장 프로그램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 목회자들을 유혹하던 시절, 제자훈련 목회의 은혜와 가능성에 눈을 뜬 뒤로는 한 번도 흔들리지 않고 제자훈련에 ‘올인’했다. 역경이 있었지만 결코 우울하지 않았다. 한 사람을 붙들고 그리스도의 제자로 함께 자라는 과정이 너무나 황홀했기 때문이다. 22년간의 푸른초장교회 역사는 하나님이 이미 앞서가 열어놓으신 길에 감사와 은혜의 깃발을 꽂으며 감격해한 과정일 뿐이다. 결혼 후 선교사로 나갈 준비를 했으나 섬기던 교회에 어려움이 생겨 방향도, 목적도 잃어버린 그때 교회를 개척했다. 1996년, 신혼 방에서 설립 예배를 드리고 무료로
저자는 교회성장 프로그램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 목회자들을 유혹하던 시절, 제자훈련 목회의 은혜와 가능성에 눈을 뜬 뒤로는 한 번도 흔들리지 않고 제자훈련에 ‘올인’했다. 역경이 있었지만 결코 우울하지 않았다. 한 사람을 붙들고 그리스도의 제자로 함께 자라는 과정이 너무나 황홀했기 때문이다. 22년간의 푸른초장교회 역사는 하나님이 이미 앞서가 열어놓으신 길에 감사와 은혜의 깃발을 꽂으며 감격해한 과정일 뿐이다.

결혼 후 선교사로 나갈 준비를 했으나 섬기던 교회에 어려움이 생겨 방향도, 목적도 잃어버린 그때 교회를 개척했다. 1996년, 신혼 방에서 설립 예배를 드리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상가도 얻었으나, IMF를 맞으면서 상가는 경매로 넘어가고 옥탑방 사택도 철거당해 우편물조차 받을 수 없게 되었다. 그렇게 엄혹했던 시절, CAL 세미나에 참석해 옥한흠 목사의 광인론을 들으며 제자훈련의 세계에 눈을 떴다.

1999년, 교회가 내일 당장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도 전교인 7명과 함께 제자훈련을 시작했다. 하지만 성공은 보장되지 않았다. 2000년에 교회는 괜찮은 위치로 이전했지만, 오히려 극한의 상황 속에서 마지막 남은 인간적인 소망마저 내려놓는 시간을 통과해야 했다. 이때 사람의 노력으로는 얻기 힘든 은혜의 흔적이 영혼에 새겨졌다.

제자훈련으로 개인과 가정이 건강해지면서 선교와 구제에 힘을 기울이는 교회로 자랐다. 본 교회 예배당 짓는 일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대신 2006년에 10주년 기념교회를 안동에 개척하고 예배당도 건축했다. 그러자 하나님은 비로소 12년 만에 푸른초장교회 본당 건축을 허락하셨다.

“하나님은 여전히 앞서가시고 모든 것을 준비해놓고 기다리신다. 그리고 순종하는 공동체를 들어 사용하신다.” 이 고백을 하게 하시려고 하나님은 자기 인생을 예화로 사용하고 계신다고 저자는 말한다.

2019년, 그가 담임하는 푸른초장교회는 옥한흠목사기념사업회가 제정한 은보상의 네 번째 수상 교회가 되었다. 경북 울진 출생인 그는 대신대학교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종교개혁전공, Th.M.,Ph.D.)에서 수학했으며, 현재 대신대학교(교회사)에서 후학 양성에도 헌신하고 있다. 제자훈련 목회자 네트워크인 CAL-Net의 이사, 세계개혁주의협의회(WRF) 이사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 『칼빈과 제네바목사회』(부흥과개혁사,2015), 『단단한 교회』(국제제자훈련원,2018)가 있다.

임종구 의 다른 상품

올바르게 교리를 배우면 성경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믿으며 대학에서 가르치고 강단에서 설교하는 목사이자 신학자다. 서울대학교에서 자원공학과 서양고전학을 공부하고,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했다. 이후 미국 칼빈신학교에서 석사와 박사를 마치고, 현재 고신대학교 신학과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다. 학생들과 성경과 기독교 고전을 헬라어, 라틴어, 영어, 독일어 원전으로 읽으면서 많은 대화들을 나눈다. 커피 사랑이 특별하여, 가는 곳마다 핸드드립 세트를 들고 다니며 만나는 사람들에게 손수 내린 커피를 대접하길 즐긴다. 저서로 『처음 만나는 루터』, 『기독교 윤리
올바르게 교리를 배우면 성경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믿으며 대학에서 가르치고 강단에서 설교하는 목사이자 신학자다. 서울대학교에서 자원공학과 서양고전학을 공부하고,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했다. 이후 미국 칼빈신학교에서 석사와 박사를 마치고, 현재 고신대학교 신학과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다.

학생들과 성경과 기독교 고전을 헬라어, 라틴어, 영어, 독일어 원전으로 읽으면서 많은 대화들을 나눈다. 커피 사랑이 특별하여, 가는 곳마다 핸드드립 세트를 들고 다니며 만나는 사람들에게 손수 내린 커피를 대접하길 즐긴다. 저서로 『처음 만나는 루터』, 『기독교 윤리학』, 『룻기, 상실에서 채움으로』, 『교리 설교』, 『구속사적 설교』, 『교회를 아는 지식』, 번역서로 『교부들과 성경 읽기』(공역) 등이 있다.

우병훈의 다른 상품

미국 칼빈신학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교회사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저(역)서로는 『John Edwards(1637-1716) on Human Free Choice and Divine Necessity』, 『Glory to the Three Eternal』, 『청교도 인물사』 등이 있다.

유정모의 다른 상품

안양대학교 교수

유디스 베커

관심작가 알림신청
 

Prof. Judith Becker,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교수 Hum- boldt University of Berlin in Germany

페터 오피츠

관심작가 알림신청
 

Peter Opitz

스위스 취리히 대학 신학부 교회사 교수는 현재 신학부 학장이며 종교개혁 이후 현대에 이르는 개혁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다. 또한 취리히 대학 스위스 종교개혁 연구소 소장으로서 왕성하고 깊이 있는 학문 활동을 펼치고 있다.

페터 오피츠의 다른 상품

네덜란드 아플도른신학대학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의학 교수이며, 신학대학장 및 개혁주의학술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칼빈신학의 풍경』, 『종교개혁과 과학』,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윤리학』이 있으며, 역서로는 『과학의 영혼』(저자 : 낸시 피어스 & 찰스 택스턴), 『성찬의 신비』(저자 : 키이스 매티슨), 『구약 윤리학.구약의 하나님은 윤리적인가?』(저자 : 폴 코판) 등이 있다. 기독교와 과학의 관계, 오순절 및 은사주의 신학에 대한 개혁주의적 비판, 칼빈신학의 현대적 함의 등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이신열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10월 25일
쪽수, 무게, 크기
610쪽 | 916g | 152*225*42mm
ISBN13
9791158862626

추천평

이 책은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유디스 베커(Prof. Judith Becker),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페터 오피츠 교수(Prof. Peter Opitz) 등 종교개혁에 정통한 국내외 학자들의 총 16편 무게 있는 논문들이 실려 있다. 특히 종교개혁 과정에서 일찍 사라진 개혁교회 창시자 츠빙글리의 교회 개혁의 모습을 5백 년 후 오늘날 다시 살려내고 있다. 츠빙글리 연구에 대한 한국 신학계의 큰 성과를 국제 학계에 제시하는 역작이다. 츠빙글리의 삶과 개혁신학을 통해 오늘날 개혁교회 후예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큰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김영한 (기독교학술원 원장, 숭실대 명예교수)
성경의 영적 권위를 강조한 츠빙글리의 신학은 오늘날 한국 교회가 돌아가야 할 가장 근본적인 종교개혁 정신이다. 츠빙글리 종교개혁 503주년을 맞아 한국과 독일, 스위스 개혁주의 신학자들이 함께 연구한 본서는 ‘개혁주의의 아버지’로 불리는 종교개혁자 츠빙글리를 새롭게 이해하고 개혁신학의 지평을 넓히는 귀중한 자산이 될 것이다. 신학의 사변화 속에서 세계 교회를 향해 외치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영적생명운동’이 츠빙글리의 ‘오직 성경’과 맞물려 교회 개혁의 새 시대를 열어가길 바라며, 기쁜 마음으로 이 책을 추천한다. - 장종현 (백석대학교 총장)
16세기 유럽의 종교개혁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독일의 마틴 루터와 스위스 제네바의 장 칼뱅의 교회 개혁을 떠올리지, 스위스 취리히의 울리히 츠빙글리는 잘 생각하지 않는다. 이를 안타깝게 생각한 주도홍 박사님이 츠빙글리 교회 개혁 503주년을 기해 기념학술대회를 조직했고, 그 결과물이 이 책으로 묶여 나오게 된 것을 함께 기뻐하고 축하드린다. 츠빙글리는 그의 개혁신학만이 아니라 개혁자로서의 그의 삶으로도 깊은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자기 개혁의 길을 모색하는 한국 교회에게 츠빙글리는 나침반이 될 것이다. - 채수일 (전 한신대학교 총장, 전 경동교회 담임목사)
츠빙글리는 칼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잊힌 종교개혁자이지만, 사실 칼빈 및 루터와 함께 3대 종교개혁자로서 개혁신학의 창시자, 개혁신학의 아버지다. 츠빙글리는 삶 전체를 성경적 시각으로 보면서 성경적으로 개혁하는데 진력했다. 한국에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칼빈의 선구자로서 특별히 성경적 실천적 시각으로 삶 전체를 개혁하려 했던 츠빙글리의 종교개혁이 오늘 한국 교회의 절실하고 절박한 개혁에 성경적 동기와 성경적 방향을 제시하리라 믿어 강력하게 추천한다. - 권성수 (대구동신교회 원로목사,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교 특훈교수)
본디 자리를 돌아보는 것은 사람이 살며 존재하는 데 아주 중요하다. ‘근원으로 돌아가자(ad fontes)’는 종교개혁의 가르침이 오늘날의 한국 교회와 세계 교회가 걸어갈 방향이다. 성경 말씀을 묵상하고 그 깨달음으로 살아 교회가 새로워지는 것이 우리가 희망할 수 있는 근거이다. 16세기 츠빙글리의 삶과 정신을 살피며 21세기의 우리를 성찰하는 일이 더없이 절박하다. 개혁되지 않으면 교회는 죽는다. 살려면, 말씀으로 다시 새로워져야 한다. 이 책은 우리 시대 가장 적실한 선물이라 사료되기에 필독을 권한다. - 지형은 (성락성결교회 담임목사)
교회는 여전히 세상의 소망입니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와 세상에서 부름받은 하나님 나라에 소속되어 구별된 거룩한 자녀들의 영적 공동체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본서는 목회자들에게 교회의 본질에 대한 치열한 질문과 그에 대한 성경적 응답을 보여줍니다. 코로나 펜데믹 이후에 영적 공황 상태를 경험하는 한국 교회가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일에 본서가 귀하게 쓰임 받을 줄 확신합니다. 특별히 믿음의 선각자이며 선구자이신 개혁자 츠빙글리의 영적 유산을 재발견하는 은혜가 우리 모두에게 강력하게 임하기를 기원합니다. - 오정호 (새로남교회 담임목사)
어려운 시대일수록 교회 역사 속에서 귀한 역할을 감당하셨던 믿음의 선진들을 만나는 것은 큰 격려요 힘입니다. 그런 점에서 개혁주의 신학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츠빙글리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지고 그 신학의 깊이와 삶의 귀함이 덜 드러났는데 금번에 이처럼 귀한 책이 여러분들의 수고와 섬김을 통해 출간하게 됨을 크게 감사하고 기쁘게 생각합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성경과 성경에 가까운 개혁신학을 담은 이 귀한 인물을 더욱 널리 알리고 또 이 시대적 필요들을 섬기는데 이 책이 귀하게 사용될 줄 믿기에 즐겁게 추천드립니다. - 화종부 (남서울교회 담임목사)
오늘날 교회가 추구하는 말씀 중심의 예배는 형식적일 때가 많다. 설교의 초점을 하나님 말씀으로서의 성경보다 사람의 필요에 맞추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우리는 개혁교회의 역사를 잊고 있고, 그 정신으로부터 멀어진 것이 분명하다. 이제 우리는 실질적인 말씀 중심의 예배로 돌아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개혁교회의 출발에 서 있는 츠빙글리를 살펴보는 일은 아주 중요한 시작이 되어야 할 것이다. - 도지원 (예수비전교회 담임목사, 교리와 부흥 대표)
우리에게 다소 생소한 종교개혁자 츠빙글리를 한국 교회에 널리 소개하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책이 출간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축하드립니다. 성경적 진리에 대한 츠빙글리의 놀라운 통찰력과 교회와 국가를 향한 그의 애끓는 기도는 종교개혁의 후손들에게 심오한 영적 자산입니다. 츠빙글리를 연구하신 국내외 다양한 학자들이 이 책에 실은 글들은 개혁신학의 보고이자 자랑입니다. 한국교회 목회자들과 성도들이 종교개혁의 정신을 더 깊이 깨닫고 종교개혁자들의 후예다운 삶을 살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소망하면서 기쁘게 이 책을 추천하는 바입니다. - 권오헌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 총회장, 서울시민교회 담임목사)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7,550
1 27,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