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part 01 근육의 지속적인 발달을 도와주는 고급 테크닉
01 근육의 성장을 촉진하는 다섯 가지 요인 신장성 장력 수축성 장력 장력을 유지하는 시간 근육의 번즈 펌핑 02 프리웨이트 또는 머신, 어떤 게 좋을까? 03 복합운동으로 할 것인가, 고립운동으로 할 것인가? 04 어떻게 하면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을까?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일반 전략 더욱 근본적인 해결 방법 진짜와 가짜 취약점 진짜 취약점의 원인은 무엇일까? 취약점이 생기는 근본 원인 05 모터 프로그램을 바꾸기 어려운 이유 잘못된 습관을 그대로 두지 마라 모터 동원의 방향을 새로 정하자 근육을 찾아라 근육의 고유수용감각을 발달시키자 전이의 개념 전이하려면 분리하라 배우려면 반복하라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선피로 방식 후피로 방식을 활용하자 06 근육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고급 테크닉 다양한 강도 증가 테크닉을 사용하자 07 근육의 폭발력을 기르기 위한 TNT 교대법 외상성 테크닉 비외상성 테크닉 08 리피티션 속도를 조절하자 슈퍼슬로 트레이닝의 효과 슈퍼슬로 트레이닝을 실전에 적용하자 폭발적 트레이닝 과학적 연구 결과 근육 수축의 이해 계단 효과 09 최고의 보디빌더는 폭발적으로 운동한다 본인의 섬유에 맞는 운동을 수행하자 폭발적 트레이닝이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다 폭발적 트레이닝: 가장 위험한 테크닉 10 생리적 딜레마: 네거티브 단계를 느리게 수행해야 할까? 습관의 해로운 영향 네거티브의 두 가지 용도 네거티브 단계가 강조되지 않을 때 네거티브의 생리적 일탈 과학적 연구 결과 어떻게 하면 폭발적 네거티브를 활용할 수 있을까? 11 증강 증강 쉬러그 삼두근 증강하기 종아리 증강하기 유니래터럴 증강 12 계속해서 장력을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가동 범위를 최대한으로 크게 할 것인가? 수축 자세에서 장력이 약해지는 동작 수축 자세에서 장력이 살아있는 동작 13 번즈 14 세트회 반복으로 유전적 요인을 조절하라 1세트회 반복의 장점 1세트회 반복을 실전에 적용하자 15 고유수용감각을 향상시키는 방법 16 회복: 운동 수행을 점점 더 제한하는 요인 회복의 다섯 가지 양상 17 근육통을 이해하자 근육통의 원인 회복의 양면성 근육통은 근육의 성장을 촉진하는가? 18 회복력을 관리하는 방법 회복을 위한 두 가지 방식 19 회복 가속화 전략 회복 과정이 느린 이유는 무엇일까? 20 한 번 운동할 때 근육별로 몇 가지 동작을 수행해야 할까? 다양한 동작을 선택한다 단일운동을 선택한다 21 근육을 지배하려면 분할하라 이두근 운동에 적용하기 삼두근 운동에 적용하기 어깨 운동에 적용하기 등 분할하기 가슴 분할하기 복근 분할하기 종아리 분할하기 햄스트링 분할하기 대퇴사두근 분할하기 22 부상에 대처하자 힘의 불균형 23 관절의 재생을 촉진하자 영양적 접근 장력의 완화 24 호흡을 멈추면 힘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생리적 딜레마: 호흡을 멈춰야 할까? 25 머리의 위치를 주의하라 26 보호 장비 벨트를 할 것인가, 하지 않을 것인가? 손목 보호대 무릎 보호대 스트랩 part 02 주요 근육군을 단련하는 운동법 01 넓은 어깨를 만들자 해부학적 고려 사항 어깨를 발달시키기 어려운 다섯 가지 이유 취약한 어깨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 어깨 뒷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운동테크닉 EX 어깨를 단련하는 운동 02 등을 완벽하게 발달시키자 해부학적 고려 사항 등의 발달을 어렵게 하는 여덟 가지 문제점 체형적 딜레마: 등을 넓게, 또는 두껍게 만들 수 있을까? EX 등을 단련하는 운동 03 극하근을 소홀하지 말자 극하근의 역할 극하근은 등 근육일까? 극하근의 상태가 좋지 않다 극하근이 갖고 있는 모순 극하근을 느끼는 것은 쉽지 않다 강도 증가 테크닉 극하근은 언제 운동해야 할까? EX 극하근을 단련하는 운동 04 멋진 승모근을 만들자 불균형을 주의하라 승모근은 언제 운동해야 할까? EX 승모근을 단련하는 운동 05 강력한 허리 근육을 발달시키자 요천추근의 역할 복합운동은 허리 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다 허리 운동은 영리하게 해야 한다 EX 허리를 단련하는 운동 06 가슴의 균형을 되찾자 해부학적 고려 사항 체형적 특성: 대흉근은 각이 있는 근육이다 체형적 딜레마: 벤치 프레스는 가슴을 단련하는 데 가장 좋은 운동인가? 가슴을 발달시키기 어려운 네 가지 이유 EX 가슴을 단련하는 운동 07 빠르게 이두근을 만들자 해부학적 고려 사항 굵은 이두근의 비밀 이두근의 발달을 방해하는 다섯 가지 요인 어떻게 하면 이두근을 발달시킬 수 있을까? 자신이 외반주인지 분석하라 해부학적 대립 당신은 과회외와 과회내 중 어디에 해당되는가? 본인의 체형에 맞는 동작을 수행하자 생체역학적 딜레마: 컬은 이두근을 단련하는 복합운동인가? EX 이두근을 단련하는 운동 08 전완을 더욱 발달시키자 해부학적 고려 사항 전완을 발달시키기 어려운 다섯 가지 이유 EX 전완을 단련하는 동작 09 멋진 삼두근을 만들자 해부학적 고려 사항 삼두근의 역할 삼두근을 발달시키기 어려운 세 가지 이유 EX 삼두근을 단련하는 운동 10 우람한 대퇴사두근을 만들자 해부학적 고려 사항 체형적 딜레마: 스쿼트는 만능 운동인가? 대퇴사두근 운동을 수행할 때 가동 범위는? 대퇴사두근을 발달시키기 어려운 네가지 이유 취약한 대퇴사두근을 보완하기 위한 전략 발달의 균형을 맞추자 대퇴직근을 목표로 운동하기 EX 대퇴사두근을 단련하는 운동 11 햄스트링을 빠르게 끌어올리자 해부학적 고려 사항 햄스트링을 발달시키기 어려운 두가지 이유 체형적 딜레마: 어떻게 하면 햄스트링의 수축을 극대화할 수 있을까? 햄스트링 강화 전략 EX 햄스트링을 단련하는 운동 12 균형 잡힌 종아리를 만들자 해부학적 고려 사항 종아리를 발달시키기 어려운 두 가지 이유 종아리를 발달시키는 강화 전략 체형적 딜레마: 종아리를 제대로 단련하려면 다리를 펴야 할까? EX 종아리를 단련하는 운동 13 복근을 조각하자 해부학적 고려 사항 복근의 역할 복부를 발달시키기 어려운 네 가지 이유 체형적 딜레마: 상복부와 하복부를 분리시켜 운동할 수 있을까? 하복부를 발달시키기 어려운 이유는? 체형적 딜레마: 복근 운동을 하면 근육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을까? 날씬한 허리와 복근 등이 휘지 않도록 주의하라 취약한 복근을 보완하기 위한 전략 EX 복근을 단련하는 동작 part 운동 프로그램 01 초보자를 위한 주일 프로그램 02 초보자를 위한 주일 프로그램 03 상급자를 위한 주일 프로그램 04 상급자를 위한 주일 프로그램 05 취약한 근육을 보완하는 프로그램 팔 근육을 발달시키는 프로그램 가슴 근육을 발달시키는 프로그램 등 근육을 발달시키는 프로그램 어깨 근육을 발달시키는 프로그램 넓적다리 근육을 발달시키는 프로그램 |
Frederic Delavier
프레데릭 데라비에의 다른 상품
Michael Gundill
마이클 건딜의 다른 상품
장덕순의 다른 상품
취약한 근육 부위를 강화하고, 특정 근육을 빠르게 향상시킨다
중량, 덤벨, 머신을 이용한 250가지 동작 연습 해부-형태학에 기초한 더욱 정교한 운동 전략과 상급자를 위한 75가지 운동 테크닉 생체역학 분야의 최신 이론과 생생한 일러스트가 더해진 최강의 트레이닝 교본 사실 일관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꾸준히 운동하면 초기에는 몇 킬로그램에 달하는 근육을 비교적 손쉽게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몇 개월이 지나고 나면, 어느 순간부터 근육의 향상이 점점 더뎌지는 것처럼 느껴지게 된다. 이때 만족스러운 속도로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려면 운동 전략과 프로그램을 더욱 정교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려면 근육과 골격의 구조, 그리고 각자의 체형에 맞는 운동 동작을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에서는 근육에 가장 효과적인 동작이 무엇인지를 결정해주는 해부-형태학 이론을 바탕으로 각 근육의 발달에 가장 좋은 동작들을 소개하고, 그 동작의 장단점을 분석해 제시한다. 여기에는 특별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수행할 수 있는 동작이 있는가 하면, 헬스장의 머신이 필요한 동작들도 있다. 이에 더하여 운동 목표와 주어진 시간, 사용 가능한 장비에 따라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운동 중량과 반복, 빈도, 회복을 가속화하는 전략을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지를 통해, 각 근육의 기초를 만들고 강화하는 최고의 트레이닝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