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시 ____ 8
자화상 ____ 10 소년 ____ 12 눈 오는 지도 ____ 14 돌아와 보는 밤 ____ 16 병원 ____ 18 새로운 길 ____ 20 간판 없는 거리 ____ 22 태초의 아침 ____ 24 또 태초의 아침 ____ 26 새벽이 올 때까지 ____ 28 무서운 시간 ____ 30 십자가 ____ 32 바람이 불어 ____ 34 슬픈 족속 ____ 36 눈 감고 간다 ____ 38 차 례 또 다른 고향 ____ 40 길 ____ 42 별 헤는 밤 ____ 44 못 자는 밤 ____ 48 거리에서 ____ 50 내일은 없다 - 어린 마음이 물은 ____ 52 초 한 대 ____ 54 삶과 죽음 ____ 56 공상 ____ 58 꿈은 깨어지고 ____ 60 남쪽 하늘 ____ 62 조개껍질 ____ 64 고향 집 - 만주에서 부른 ____ 66 병아리 ____ 68 오줌싸개 지도 ____ 70 창 구멍 ____ 72 기왓장 내외 ____ 74 비둘기 ____ 76 이별 ____ 78 식권 ____ 80 모란봉에서 ____ 82 황혼 ____ 84 가슴 1 ____ 86 종달새 ____ 88 닭 1 ____ 90 산상 ____ 92 오후의 구장 ____ 94 이런 날 ____ 96 양지쪽 ____ 98 산림 ____ 100 가슴 3 ____ 102 곡간 ____ 104 빨래 ____ 106 빗자루 ____ 108 햇비 ____ 110 비행기 ____ 112 가을밤 ____ 114 굴뚝 ____ 116 무얼 먹구 사나 ____ 118 봄 1 ____ 120 개 1 ____ 122 편지 ____ 124 버선본 ____ 126 사과 ____ 128 눈 ____ 130 눈 ____ 132 닭 ____ 134 겨울 ____ 136 호주머니 ____ 138 황혼이 바다가 되어 ____ 140 거짓부리 ____ 142 둘 다 ____ 144 반딧불 ____ 146 밤 ____ 148 만돌이 ____ 150 나무 ____ 152 달밤 ____ 154 풍경 ____ 156 한난계 ____ 158 그 여자 ____ 160 소낙비 ____ 162 비애 ____ 164 명상 ____ 166 비로봉 ____ 168 바다 ____ 170 산협의 오후 ____ 172 창 ____ 174 유언 ____ 176 산울림 ____ 178 비 오는 밤 ____ 180 사랑의 전당 ____ 182 이적 ____ 184 아우의 인상화 ____ 186 코스모스 ____ 188 고추밭 ____ 190 햇빛ㆍ바람 ____ 192 해바라기 얼굴 ____ 194 애기의 새벽 ____ 196 귀뚜라미와 나와 ____ 198 달같이 ____ 200 장미 병들어 ____ 202 투르게네프의 언덕 ____ 204 산골 물 ____ 206 팔복 마태복음 5장 3~12절 ____ 208 위로 ____ 210 쉽게 씌어진 시 ____ 212 사랑스런 추억 ____ 216 참회록 ____ 218 봄 2 ____ 220 간 ____ 222 흰 그림자 ____ 224 흐르는 거리 ____ 226 울적 ____ 228 창공 ____ 230 가슴 2 ____ 232 참새 ____ 234 아침 ____ 236 할아버지 ____ 238 개 2 ____ 240 장 ____ 242 야행 ____ 244 비 뒤 ____ 246 어머니 ____ 248 가로수 ____ 250 달을 쏘다 ____ 252 별똥 떨어진 데 ____ 256 화원에 꽃이 핀다 ____ 262 종시 ____ 266 시인 소개 ____ 276 화가 소개 ____ 277 |
저윤동주
관심작가 알림신청尹東柱
윤동주의 다른 상품
그림빈센트 빌럼 반 고흐
관심작가 알림신청Vincent Willem van Gogh
빈센트 빌럼 반 고흐의 다른 상품
“아름다운 것에 가능한 한 많이 감탄하렴.
사람들은 아름다운 것에 충분히 감탄하지 못하고 있어.” 윤동주의 시와 산문시 전편을 수록하고, 각 시마다 어울리는 고흐의 그림을 1점이나 2점씩 배치했다. 윤동주의 [서시]는 고흐의 [아를의 별이 빛나는 밤(Starry Night, 1888)], 시 [자화상]은, 그림 [자화상(Self-portrait, 1889)]와 어우러지며, 시상은 곧 그림으로 전환된다. 고흐는 아름다운 것에 가능한 많이 감탄하라고 했다. 그때도 그렇고 지금도 사람들은 아름다운 것을 충분히 보지 못하고, 감탄하지 못하고 있다. 『동주와 빈센트』는 아름다운 시와 그림을 한데 묶은 책이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의 시 한 편과 우리가 가장 사랑하는 화가의 그림 한 점이 우리의 삶에 잠시나마 편안한 시간을 선물해줄 것이다. 잠깐이라도 아름다운 것을 보며 가만히 감탄해보는 것은 어떨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