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 궁중 음식과 서울 반가 음식
2. 궁중의 조리인 궁중의 식생활과 조리인 궁녀의 생활과 임무 3. 궁중의 일상식 상과 기명 반배법 시중들기 4. 궁중 음식 조리법 숙회 밥 떡 죽 김치·장과 구이·적·전 찜·선 채·초 면·만두 탕·전골·감정 기타 5. 서울 양반의 음식 서울 음식의 배경과 특징 서울 양반의 음식 6. 반가 상차림 상차림 조리법 |
한복려의 다른 상품
궁중 음식이 사대부집이나 평민들의 음식과 판이하게 다른 것은 아니다. 이는 우리 나라에서의 동성 동본이 별혼을 하지 않은 혼인의 관습에서 기인된다. 궁중에의 혼인도 왕족끼리가 아닌 사대부가와 인연을 맺게 된다. 계급 사회인 왕권 국가에서의 궁중이란 최고의 권위와 부와 권력이 집중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궁중의 생활 양식을 비롯한 모든 문화는 혼인에 의해 자연히 왕족과 사대부가와의 교류가 생긴다. 경우에 따라서는 궁중의 음식이 민가에 하사되고, 사대부가에서도 음식을 궁중에 진상하게 된다. 그리고 음식뿐만이 아니라 의례 때의 차림새나 예법도 민간에 많이 전해지게 되었다. 음식의 교류는 잔칫날 이 상에 고였던 음식이 하사품으로 큰 몫을 하였다.
--- p.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