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1부
화상 미팅 …8 희망퇴직 …20 윗집 전학생 …31 찍을 게 없다 …37 산책 …45 보라색 마스크 …58 병원 앞에서 …67 거짓 숙제 …76 불편한 초대 …82 세 사람 …92 제2부 낯선 친구 …104 계란으로 …113 자존심 …121 같은 친구 …128 한 달 뒤 …139 퍼플 마스크 클럽 …147 널 보면 비참해 …163 아빠의 노래 …178 루미 …192 해야 할 일 …197 이름을 불러야 할 이유 …208 졸업 …219 작가의 말 …230 |
문경민의 다른 상품
이소영의 다른 상품
그 순간, 보리는 세희를 어디에서 봤는지 알아차렸다. 하, 하는 작은 소리와 함께 헛웃음이 나왔다. 거울에 비친 자신의 얼굴이었다. 우울하고 무거운 표정. 무얼 봐도 재미없고 무엇을 해도 즐겁지 않을 것만 같은 얼굴. 시름시름 앓는 속을 어찌할 도리가 없어 체념해 버린 분위기. 그건 보리가 매일 아침 거울로 마주했던 자신의 얼굴이었다.
--- p.62 루미는 눈길을 돌렸다. 어쩔 수 없이 희망퇴직과 이혼이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보리의 부모님이 원망스러웠고 보리가 안타까웠다. 가장 좋은 건 예전으로 돌아가는 것이었지만, 그것도 쉬운 일이 아닐 게 분명했다. 세상에는 정말 쉬운 일이 하나도 없었다. --- p.75 자신을 안타깝게 쳐다보던 루미의 눈빛이 떠올라 자존심이 상했다. 아무렇게나 뻗치는 자신의 감정을 이해할 수가 없었으나 감정의 정체는 또렷했다. 루미가 싫었다. --- p.113 힘을 키우고 싶었다. 주먹을 다이아몬드로 만들어 자신 앞의 거대한 바윗덩어리를 한 방에 깨 버리고 싶었다. --- p.148 "네가 불행해지면 좋겠어. 네가 더 망가졌으면 좋겠어. 너랑은 끝이야. 정말.” 루미는 화상 미팅 창을 꺼 버렸다. 혼자 거친 숨을 몰아쉬던 루미는 두 손에 얼굴을 묻고 소리 없이 울었다. --- p.176 |
『훌훌』 작가 문경민의 신작
누구보다 뜨겁고 시린 계절을 보낸 열세 살 우리들의 이야기 『훌훌』, 『우리들이 개를 지키려는 이유』, 「우투리 하나린」 등 어린 십 대들의 내면을 선명하고 섬세하게 그려온 문경민 작가가 열세 살의 시간에만 가능한 이야기, 책을 펼치면 단숨에 엔딩까지 읽을 수밖에 없는 몰입감 넘치는 이야기로 돌아왔다. 6학년 최보리는 불안과 어둠 속에 살고 있다. 아빠가 다니던 대기업이 구조 조정과 부당해고로 직원들을 쫓아내며 아빠가 회사와의 힘겨운 싸움에 휘말렸기 때문이다. 아빠와 엄마의 불화, 집에 돌아오지 않는 아빠, 말을 아끼며 혼자 암담한 상황을 버티는 엄마로 인해 마음 둘 곳 없는 보리는 자신과 비슷한, 아니 자신보다 못한 환경에도 행복해 보이는 단짝 루미에게 남모를 부러움과 열등감을 느낀다. 루미네 집은 재혼 가정이고 아버지는 실직했으며 돌봐야 할 어린 동생들이 있는데도 그늘 하나 없이 밝고 화목하게 지내는 듯 보였기 때문이다. 왠지 모를 비참함과 씁쓸함에 루미에게 속내를 털어놓지 못하던 보리는, 어느 날 우연히 전학생인 세희에게서 자신과 비슷한 어둡고 비틀린 얼굴을 발견한다. 뻔한 위로보다 솔직한 독설에 끌린 보리는 태연히 얼굴색을 바꿔 가며 아이들을 짓누르는 세희에게 휘말려 학교 폭력에까지 가담하게 되고, 결국 루미에게 큰 상처를 주고 만다. 그러던 중 보리는 자신의 앞에 닥친 충격적인 진실을 마주하게 되는데…. “힘을 키우고 싶었다. 주먹을 다이아몬드로 만들어 거대한 바윗덩어리를 한 방에 깨 버리고 싶었다.” 생의 한가운데로 나아가는 열세 살의 벅찬 발돋움 『열세 살 우리는』은 누구보다 뜨겁고 시린 계절을 보내며, 아픔과 상처를 단단하게 딛고 일어서는 두 아이의 성장담을 그린 주니어소설이다. 베스트셀러 『훌훌』을 통해 ‘세상이 알아야 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사람들이 운명처럼 맞닥뜨리는 고통’을 이야기한 작가는, 이 작품에서 ‘세상의 한 가운데로 나아가는 어린 십 대들이 부딪히고야 마는 현실의 벽’을 이야기한다. 열세 살 보리에게 부당해고를 당한 아버지의 발령과 부모님의 불화는 거친 풍랑과도 같았다. 현실의 벽 앞에서 보리의 마음은 이리저리 흔들리고 꺾인다. “잘 있어라.”라는 인사 한마디를 남기고 집을 떠난 아빠도, 매일 직장에서 힘없이 돌아와 숨죽여 우는 엄마도 보리에겐 무거운 짐이 되었다. 유일한 위로는 아빠가 즐겨 들었던 노래뿐. 단짝 루미조차 큰 힘이 되어 주지 못한다. 자신처럼 그늘을 가진 세희와 가까워졌지만, 세희 역시 보리에게 진실된 친구는 아니었다. 보리는 자신을 덮친 문제들을 딛고 올라 스스로를 지켜낼 수 있을까? 작가는 보리와 루미 두 아이가 품고 있는 고민과 불안함, 그 속에서 끊기고 다시 매듭지어지는 관계를 극적인 사건으로 촘촘히 엮어낸다. 주인공들의 감정선을 면밀하게 쌓아 올리며 아이들이 자신에게 닥친 세상의 풍파를 끝내 헤쳐 나가는 과정을 섬세하면서도 적나라한 묘사로 따라간 수작(秀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꿈꾸고 다시 앞으로 나아가는 우리들 어떻게 이토록 작은 아이들이 온 마음을 다해 서로를 구할 수 있는 걸까? 작가는 어른들과 별반 다르지 않은 어린이들의 세계를 보리와 루미의 이야기를 교차해 감동적으로 보여 준다. 작품 속 열세 살 어린 십 대들은 어른들에게도 결코 만만치 않은 세상을 올곧게 걸어 나간다. “많은 사람이 더 나은 세상을 꿈꾼다. 꿈꾸는 그들은 실망했다가도 다시 일어선다.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어떤 처지이든, 어떤 마음으로 살아가든, 어떤 능력을 갖추고 있든, 모든 사람이 저마다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그들은 믿는다. (중략) 뜨거운 한때를 겪어 낸 아이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 어려운 시절을 딛고 더 나은 세상을 향해 한 걸음을 떼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다.” _작가의 말 중에서 『열세 살 우리는』은 혼란스럽고 힘든 시기에 놓인 보리와 루미의 서사를 통해 아픈 시기를 겪었거나 앞으로 겪어내야 할 이들에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의지와 희망을 전한다. 세상에 쉬운 일은 하나도 없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꿋꿋이 버티고 앞을 향해 조금씩 나아가는 두 아이처럼. 어떤 일이 닥치더라도 꿈을 꾸고 일어서는 모든 ‘열세 살’ 우리들처럼. 자신에게 주어진 문제와 만만치 않은 현실에 부딪치며 한 걸음 나아가는 아이들을 탁월하게 그려낸 이 작품은, 순탄치만은 않은 세상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의지와 희망을 심어 주는 깊이 있는 성장 소설이다. 교과연계 5학년 1학기 국어 2. 작품을 감상해요 5학년 1학기 국어 10. 주인공이 되어 6학년 1학기 국어 8. 인물의 삶을 찾아서 6학년 2학기 국어 1. 작품 속 인물과 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