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책머리에
서론: 신화란 무엇인가 1부. 신화의 세계와 그 의미 1장 _ 세계와 인류의 창조 1. 중국의 창조 신화 신화의 새로운 보고, 중국 신화 | 중국의 창조 신화 | 혼돈과 천지개벽 | 거인 반고와 천지 창조 2. 한국의 창조 신화 한민족의 정신적 토대, 한국 신화 | 한국의 창조 신화 3. 인도의 창조 신화 다양한 사상과 신앙의 결합, 인도 신화 | 인도의 창조 신화 4. 메소포타미아의 창조 신화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세 가지 형태 | 수메르의 창조 신화 | 바빌론의 창조 신화 5. 이집트의 창조 신화 나일강의 유산, 이집트 신화 | 이집트의 창조 신화 6. 그리스 로마의 창조 신화 인간을 위한, 인간에 의한, 그리스 로마 신화 | 그리스 로마의 창조 신화 7. 게르만의 창조 신화 어둡고 슬픈 투쟁의 세계, 게르만 신화 | 게르만의 창조 신화 2장 _ 영웅의 모험과 귀환 1. 동양의 영웅 신화 중국의 전쟁 영웅 치우와 천하 명궁 예 | 한국의 건국 영웅, 주몽 2. 중동의 영웅 신화 세계 최초의 영웅, 길가메쉬 | 이집트 왕권의 수호자, 호루스 3. 유럽의 영웅 신화 인간과 신의 매개자, 그리스의 영웅들 | 게르만의 대표 영웅, 지구르트 | 켈트족의 왕 아서 이야기와 성배 전설 3장 _ 재앙과 형벌 1. 중국 신화 속의 재앙과 형벌 복희ㆍ여와 남매와 홍수 | 대홍수와 곤, 그리고 우의 치수 2. 그리스 로마 신화 속의 재앙과 형벌 데우칼리온과 홍수 | 아트레우스 가문과 신의 형벌 3. 게르만 신화 속의 재앙과 형벌 로키의 발더 살해와 그에 대한 형벌 | 신들의 황혼 4장 _ 변신과 승화 1. 중국 신화 속의 변신과 승화 이형의 신화 | 변형의 신화 2. 그리스 로마 신화 속의 변신과 승화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아 | 나르키소스와 에코 | 피라모스와 티스베 5장 _ 여성과 자연 1. 중국의 여성 신화 창조와 치유의 여신, 여와 | 죽음과 생명의 여신, 서왕모 2. 한국의 여성 신화 망자의 동행자, 바리공주 3. 그리스 로마의 여성 신화 모성애의 화신, 데메테르ㆍ가이아ㆍ레아 | 여성성의 다변화, 헤라ㆍ아프로디테ㆍ아테나ㆍ아르테미스 | 공포의 메두사와 악녀 메데이아 6장 _ 연단술과 연금술 1. 동양의 연단술 정신 수련 | 육체 수련 2. 서양의 연금술 헤르메스와 『에메랄드 평판』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2부. 신화적 상상력으로 문화 읽기 1장 _ 문학 1. 홍수 신화와 물의 에로티즘 황순원의 「소나기」 2. 오이디푸스의 비극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 식수의 『외디프의 이름, 금지된 몸의 노래』 3. 파이드라와 금지된 욕망 에우리피데스의 『왕관을 쓴 히폴리토스』 | 세네카의 『파이드라』 | 라신의 『페드르』 4. 신의 형벌과 인간의 의식 카뮈의 『시지프 신화』 5. 절대와 불멸에의 욕망과 허구 셸리의 「불멸의 인간」 | 발자크의 『절대의 탐구』 | 코엘료의 『연금술사』 2장 _ 음악 1. 오르페우스 신화와 오페라의 탄생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 | 글루크의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 오펜바흐의 〈지옥의 오르페〉 2. 드뷔시와 아프로디테 신화 : 〈기쁨의 섬〉과 〈목신의 오후 전주곡〉 3.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 〈라인의 황금〉 | 〈발퀴레〉 | 〈지크프리트〉 | 〈신들의 황혼〉 3장 _ 미술 1. 고구려 고분벽화의 신화 : 인면조에서 신선으로 2. 서양 미술 속의 아프로디테 4장 _ 연극과 영화 1. 새로운 여성 영웅의 탄생 : 애니메이션 〈겨울왕국 2〉 2. 피그말리온 신화의 현대적 재해석: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 3. 인간의 구원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신의 아들: 영화 〈토르〉 4. 게르만 신화의 판타지화 : 영화 〈반지의 제왕〉 시리즈 5. 사이보그와 신화적 상상력 : 영화 〈매트릭스〉 시리즈 3부. 신화의 이론과 연구 방법론 1장 _ 근대 이전의 신화 이론 1. 그리스의 신화 이론 2. 중세와 르네상스의 신화 이론 3. 계몽주의적 방법론 2장 _ 비교학적 방법론 1. 비교학적 방법론의 시초 2. 뮐러와 태양 신화 3. 진화주의 4. 전파주의와 문화권설 5. 엘리아데의 신화론 3장 _ 심리학적 방법론 1.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적 접근법 2. 융과 원형 이론 3. 프라이의 신화 이론 4장 _ 사회학적 방법론 1. 사회인류학과 기능주의 방법론 2. 제의주의 3. 사회생물학 5장 _ 구조주의적 방법론 1. 프롭의 민담형태론 2. 레비스트로스의 오이디푸스 신화 읽기 3. 뒤랑의 신화 이론 6장 _ 후기구조주의의 신화 이론 1. 바르트와 현대 문화 속의 신화 2. 후기구조주의와 이데올로기로서의 신화 참고문헌 찾아보기 |
鄭在書
정재서의 다른 상품
전수용의 다른 상품
송기정의 다른 상품
이 책은 3부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신화의 세계와 그 의미’에서는 세계 주요 신화의 내용을 주제별로 자세히 소개하고, 그 의미에 대해 짚어본다. 신화의 주요 모티프로는 세계와 인류의 창조, 영웅의 모험과 귀환, 신화시대에 인간에게 가해진 재앙과 형벌, 신화 속 등장인물들의 변신과 승화, 여성과 자연이 주체로 등장하는 신화, 그리고 불로불사를 위한 연단술과 연금술의 모티프까지 다채로운 것들을 다룬다. 이때 동양(중국, 한국, 인도 등)을 넘어서 중동(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등)과 유럽(그리스, 로마, 게르만 등)의 신화를 아우르며, 풍부하고 다양한 사료를 기반으로 흥미롭게 신화의 세계에 대해 풀어낸다. 2부 ‘신화적 상상력으로 문화 읽기’에서는 앞의 1부에서 살펴본 신화적 상상력이 문학, 음악, 미술, 연극과 영화 등을 망라하는 현대의 다양한 문화 예술 작품들에 실제 어떠한 영향을 미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분석한다. 문학의 경우 홍수 남매혼 신화와 물의 에로티즘, 오이디푸스 비극, 파이드라와 금지된 욕망, 신의 형벌과 인간의 의식, 절대와 불멸에의 욕망과 허구에 대한 상상력이 반영된 작품들을 살펴본다. 음악에서는 오르페우스 신화, 아프로디테 신화, 북유럽 신화를 다룬 작품들을, 미술에서는 고구려 신화와 아프로디테 신화를 다룬 작품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영화로는 〈겨울왕국 2〉, 〈토르〉, 〈반지의 제왕〉 시리즈, 〈매트릭스〉 시리즈를, 연극으로는 〈피그말리온〉을 중심으로 그 속에 반영된 신화적 모티프를 탐색한다. 3부 ‘신화의 이론과 연구 방법론’에서는 앞서 살펴본 신화 모티프의 작품들 이면에서 작동하는 신화 연구의 다양한 이론과 분석 방법들을 소개한다. 크게 근대 이전의 신화 이론(그리스, 중세와 르네상스, 계몽주의 등), 비교학적 방법론(뮐러, 진화주의, 전파주의와 문화권설, 엘리아데 등), 심리학적 방법론(프로이트, 융, 프라이 등), 사회학적 방법론(사회인류학과 기능주의, 제의주의, 사회생물학 등), 구조주의적 방법론(프롭, 레비스트로스, 뒤랑 등), 후기구조주의의 신화 이론(바르트, 후기구조주의 등)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신화에 대한 보다 깊은 이론적 이해를 다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