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1부 결핍의 사고방식1장. 집중과 터널링의 차이잠재력을 최대로 끌어내는 결핍집중배당금의 놀라운 효과지나친 집중의 결과, 터널링터널 밖으로 밀려나는 것들문제는 기회의 횟수가 아니다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터널링 세금2장. 정신에 부과되는 세금여긴 좀 시끄럽군대역폭의 첫 번째 요소: 인지 능력대역폭의 두 번째 요소: 실행 제어농부의 지능을 좌우하는 사탕수수빈곤의 또 다른 유형결핍과 근심누구나 바보가 될 수 있다2부 결핍의 악순환3장. 짐 꾸리기와 느슨함트레이드오프 사고여유가 주는 여유가난한 꿀벌과 부유한 말벌느슨함으로 살 수 있는 것실패를 상쇄하는 여유결핍과 느슨함의 관계4장. 결핍이 만든 전문가들결핍이 인식에 미치는 효과인식에 대한 작은 사실부리토를 포기하고 워크맨을 산다는 착각가치에 대한 자의적 해석기회비용5장. 끊임없이 빌리는 사람들터널링과 빌리기빌리기의 늪다가올 미래를 무시한다계획을 세우지 않는다6장. 결핍의 덫삶을 건 위태로운 저글링덫에서 탈출하는 법문제의 뿌리를 뽑아라빈자를 제자리로 되돌리는 충격풍요가 부르는 결핍또 다른 결핍의 덫한 가닥 희망7장. 빈곤이라는 결핍방 안의 코끼리실패를 유발하는 빈곤좋은 부모의 조건쌓이고 쌓이는 가난대역폭 세금이 문제인가3부 결핍을 위한 설계8장. 가난한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는 법형편없는 행동, 혹은 형편없는 환경효과가 없는 인센티브대역폭을 절약하라대역폭은 넓힐 수 있다질기게 남는 문제9장. 조직의 결핍을 관리하라느슨함의 가치를 과소평가하지 말 것느슨함이냐 군살이냐화성으로 떠난 우주선이 추락한 이유급한 불 끄기의 덫돌아가는 길이 가장 빠른 길손님 내쫓기의 달인, 베니하나매출 상승의 열쇠, 결핍10장. 일상 속의 결핍터널 안에 무엇을 넣을까?깜박해도 무너지지 않는 세상일회성 경계와 지속적 경계미래의 나를 믿지 마라선택지는 되도록 줄일 것시시각각 달라지는 대역폭사소하지만 사소하지 않은 번거로움풍요는 결핍의 어머니여유가 우리를 살린다결론감사의 말옮긴이의 말저자 주
|
Sendhil Mullainathan
Eldar Shafir
李慶植
이경식의 다른 상품
우리의 결핍이 우리를 설명한다인간 심리에 대한 참신한 해석행동경제학은 인간이 오로지 합리적인 선택만 한다는 기존의 경제학적 관념에 정면으로 도전하며 학계에 엄청난 파문을 일으켰다. 그리고 인간이 감정이나 논리적이지 않은 직관에 휘둘려 비합리적인 결정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널리 알렸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 이 사실을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한 것 같다.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이 정부 지원금 신청을 깜빡하거나, 회사 동료가 매번 일의 마감을 지키지 못하는 이유를 궁금해하지 않는다. 그들이 그렇게 행동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 대신, 그저 개인의 게으름과 산만함을 탓한다.그러나 행동경제학자인 센딜 멀레이너선과, 인지심리학자인 엘다 샤퍼가 관찰한 바는 이 보편적인 사고방식과는 거리가 있다. 잘못된 선택과 실패를 반복하는 사람들에게서는 각자의 성향이나 능력, 혹은 사회문화적 배경과 상관없이 공통적인 행동 패턴이 나타났다. 이는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인간의 행동을 좌우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두 교수는 이 원인으로 ‘결핍’을 지목한다.온전히 집중하거나, 완전히 무시하거나우리의 인지 능력을 뒤흔드는 결핍지금껏 우리는 결핍의 영향력을 단순하게만 생각해 왔다. 예를 들어 우리는 가난한 사람이 굳이 고리대금업자에게 돈을 빌리는 이유가 경제 관념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여러 실험 결과에 따르면 가난한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훨씬 더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그들은 왜 빚을 지고 가난해지는 걸까?멀레이너선 교수와 샤퍼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결핍은 우리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방식으로 인간의 정신에 영향을 끼친다. 결핍은 무엇에 집중할 것인지를 우리의 의식보다도 빠르게 결정한다. 일부러 다른 일에 주의를 기울이려 해도, 결핍은 예고 없이 건물 옆을 지나는 기차 소리처럼 불쑥 우리의 의식을 침투한다.“이번 달 카드값은 어쩌지?”“아직 내일 할 발표도 준비 못 했는데…….”사람들의 정신이 이런 잡생각과 싸우는 동안, 정신력은 끊임없이 소모된다. 그 결과 사람들은 판단력과 자제심을 잃고, 이로 인해 미래에 더 큰 결핍을 불러올 어리석은 결정을 한다. 똑똑한 머리와 굳센 의지, 차가운 이성의 소유자라 하더라도 무의식을 주무르는 결핍만큼은 막을 수 없다. 그렇기에 결핍은 단순히 찢어지게 가난한 사람, 대책 없이 게으른 사람, 낭비벽이 극심한 사람만을 괴롭히는 문제가 아니다. 결핍은 우리 모두의 문제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있을까?결핍의 원리를 이해하는 순간우리는 더 높이 도약할 수 있다결핍은 다루기 까다로운 문제다. 빚을 대신 갚아 주었음에도 단 1년 만에 다시 빚쟁이 신세로 돌아가고 만 인도 노점상들의 사례는 단순히 사람들에게 부족한 자원을 ‘제공해 주는’ 것만으로는 결핍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우리를 교묘하게 덫으로 유도하는 결핍의 사고방식을 이해하지 못하면, 아무리 많은 자원과 의지를 쓴다 해도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그렇기에 각종 결핍의 굴레에 빠진 개인은 물론, 경영난에 빠진 기업이나 복지 정책을 구상하는 정부 역시 결핍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 아무리 많은 자원을 써도 결핍의 원리를 모르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은, 반대로 말하면 결핍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제안 하나가 막대한 예산과 인력 투입보다도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뜻이다. 이 책은 결핍의 원리를 이용해 저마다의 목적을 이룬 개인과 기업, 정부의 사례로 이 사실을 증명한다. 이처럼 결핍에 대해 제대로 이해한다면, 개인의 삶은 물론이고 우리가 사는 세상 역시 제자리걸음에서 벗어나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