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부
이 책을 읽는 분에게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제9장 제10장 제11장 제12장 제13장 제14장 제15장 제16장 제17장 제18장 제19장 제20장 제21장 제22장 제23장 제24장 |
Jane Austen
제인 오스틴의 다른 상품
이옥용의 다른 상품
세계문학사에 빛나는 《오만과 편견》의 작가 제인 오스틴의 감성소설!
제인 오스틴이 살았던 시대는 역사적으로 혼란과 격동의 시기였다. 제인 오스틴이 열네 살이었을 때, 유럽 전역을 거대한 소용돌이 속으로 이끌었던 프랑스 대혁명이 일어났던 것이다. 그 결과 영국은 정치적으로 극단적인 보수주의 노선을 걷게 된다. 사회적으로는 산업혁명의 물결이 사회 구성체를 새롭게 재편하고 있었다. 제인 오스틴은 《맨스필드 파크》 속에 19세기 영국의 시대상을 고스란히 옮겨놓고 있다. 그러한 그 당시의 사회상을 매우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1800년대 영국의 전원 생활과 여성과 남성의 지위와 결혼관과 가치관 등을 극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제인 오스틴은 전면적으로 사회 문제를 다루기보다는 간접적으로 재치있는 대사와 섬세한 묘사 그리고 은근한 풍자와 아이러니와 유머를 사용하면서 한 폭의 그림처럼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다. 그래서 그녀의 소설은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맨스필드 파크》에서 제인 오스틴은 그 당시의 생활 모습을 형상화하는 일에만 그치지 않는다. 영국의 시골에 있는 한 가정이라는 좁은 공간에 국한되어 있는 소설을 통해 제인 오스틴은 그 당시의 가치관을 조명하고 또한 신랄하게 비난하고 있다. 제인 오스틴의 소설은 19세기 영국의 사회상과 가치관을 묘사하고 있지만 또한 그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매우 현대적인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맨스필드 파크》를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가고 있는 주제는 바로 사랑과 결혼이다. 제인 오스틴이 그려내고 있는 사랑과 결혼의 이야기는 그 당시 영국에서뿐만 아니라 지금 이 시대에도 여전히 공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소설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사랑이 묘사되고 있다. 무조건적이고 순수하며 그래서 가치가 있는 사랑이 한 가지 유형이라면, 물질적인 조건을 내세우며 현실적이고 세상적인 잣대로 사랑을 저울질하면서 그 가치를 상실한 사랑이 두번째 유형이다. 이 두 가지 유형의 사랑은 어느 시대,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것들이다. ※ 19세기 영국의 전원 생활과 여성과 남성의 지위, 결혼관과 가치관 등을 극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 제인 오스틴은 당시 나라 안팎에서 일어나는 역사적 사건에 비교적 무관심하였다. 그 무렵 유럽 전역을 뒤흔들어 놓다시피 한 나폴레옹 전쟁은 오스틴에게 이렇다 할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그녀의 작품 속에 역사적 사건은 일어나지 않을는지 모르지만 작중인물이 겪는 내적 갈등과 긴장은 마치 활시위처럼 팽팽하다. 오스틴은 상호 갈등을 일으키는 인간의 마음을 둘러싼 여러 문제들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때문에 그녀의 작품에는 시간적 특성보다는 오히려 공간적 특성이 훨씬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오스틴의 작품에서는 트라팔가 해협이나 워털루 바다보다는 작중인물의 마음속이 곧 싸움터라고 할 수 있다. 이 소설 《맨스필드 파크》도 예외는 아니어서, 주인공이 온갖 내적 갈등을 겪으며 삶에 대한 새로운 통찰이나 인식에 이르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바로 이 점에서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오스틴의 작품은 거의 하나같이 인식론적 소설로 보아 크게 틀리지 않다. 여기에서 결혼이란 주인공이 자기 인식이나 통찰에 이른 뒤에 얻게 되는 달콤한 열매이다. 오스틴의 작품에서 결혼이란 단순히 적령기의 남녀가 만나 가정을 이루는 것 이상의 깊은 의미를 지닌다. 육체적인 결합뿐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 물질적이고 지적인 결합이요, 정서적인 결합을 뜻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