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빅 히스토리
138억 년 거대사 대백과사전 양장
원서
BIG HISTORY
베스트
자연과학 top20 6주
가격
59,000
10 53,100
YES포인트?
2,9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DK 대백과 사전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차례
데이비드 크리스천 서문 8
빅 히스토리는 무엇인가? 10

문턱 1. 대폭발이 일어나다 14
생명 거주 가능 조건 16 / 기원 이야기 18 / 네브라 하늘 원반 20 / 천문학이 탄생하다 22 / 지구가 태양을 돌다 24 / 빛을 본다는 것 26 / 원자 그리고 우주 28 / 우주가 점점 커지다 30 / 우주가 팽창하다 32 / 대폭발 이론 34 / 대폭발을 재현하다 36 / 대폭발 그 너머로 38

문턱 2. 별이 탄생하다 40
생명 거주 가능 조건 42 / 최초의 별 44 / 중력이라는 수수께끼 46 / 최초의 은하가 형성되다 48 / 허블 익스트림 딥 필드 50

문턱 3. 원소가 만들어지다 52
생명 거주 가능 조건 54 / 별의 생애 주기 56 / 별에서 새로운 원소가 생성되다 58 / 거대한 별이 폭발할 때 60 / 원소를 이해하다 62

문턱 4. 행성이 형성되다 64
생명 거주 가능 조건 66 / 태양이 타오르다 68 / 행성이 형성되다 70 / 이밀락 운석 72 / 태양이 지배하는 세계 74 / 또 다른 태양계를 찾아내다 76 / 지구가 점점 식다 78 / 지구의 층상 구조가 자리를 잡다 80 / 달의 역할 82 / 대륙이 탄생하다 84 / 지구의 나이를 구하다 86 / 지르콘 결정 88 / 대륙이 이동하다 90 / 지구의 지각이 움직이다 92 / 해저 지층 94

문턱 5. 생명이 출현하다 96
생명 거주 가능 조건 98 / 생명 이야기 100 / 생명의 재료가 만들어지다 102 / 유전 암호 104 / 생명의 시작 106 / 생명의 진화 108 / 진화론의 오랜 역사 110 / 미생물이 등장하다 112 / 생물이 햇빛을 이용하다 114 / 산소가 대기를 채우다 116 / 복합 세포가 진화하다 118 / 유성 생식과 유전자 혼합 120 / 세포들이 몸을 구성하다 122 / 수컷과 암컷으로 나뉘다 124 / 동물이 뇌를 갖다 126 / 동물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다 128 / 동물이 척추를 얻다 130 / 척추동물의 등장과 번성 132 / 턱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 134 / 식물이 육지로 올라오다 136 / 웬록 석회암 138 / 동물이 육지로 진출하다 140 / 날개가 재탄생하다 142 / 최초의 종자식물 144 / 껍데기가 있는 알을 낳다 146 / 석탄이 만들어지다 148 / 호박 속의 도마뱀 150 / 육지가 메말라 버리다 152 / 파충류가 다양해지다 154 / 새가 하늘을 날다 156 / 대륙의 이동과 생명체의 분화 158 / 지구에 꽃이 활짝 피다 160 / 다섯 번의 대멸종 162 / 식물이 곤충을 영입하다 164 / 포유류의 등장과 번성 166 / 초원이 확장되다 168 / 진화와 생물의 변화 170 / 생물을 분류하다 172 / 빙하 시료 174 / 지구가 얼어붙다 176

문턱 6. 인류가 진화하다 178
생명 거주 가능 조건 180 / 우리는 영장류 가족 182 / 호미닌의 등장과 진화 184 / 유인원이 직립 보행을 하다 186 / 뇌가 점점 커지다 188 / 네안데르탈인이 등장하다 190 / 케바라의 네안데르탈인 192 / 초기 인류가 전 세계로 퍼지다 194 / 고DNA 196 / 최초의 호모 사피엔스 198 / 아기를 양육하다 200 / 언어가 진화하다 202 / 집단 학습이 이뤄지다 204 / 창조 능력의 탄생과 발달 206 / 수렵 채집 생활이 등장하다 210 / 구석기 시대의 예술 212 / 의복이 발명되다 214 / 불의 발견과 사용 216 / 매장 풍습 218 /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다 220

문턱 7. 문명이 발달하다 222
생명 거주 가능 조건 224 / 기후 변화로 환경이 바뀌다 226 / 농부가 되다 228 / 풍족한 수렵 채집인 230 / 식용 작물을 기르다 232 / 농경이 시작되다 234 / 야생 식물이 농작물이 되다 236 / 화분 입자 238 / 야생 동물을 길들이다 240 / 농업이 확산되다 242 / 시간을 측정하다 244 / 가축을 새롭게 이용하다 246 / 혁신이 생산성을 늘리다 248 / 잉여 생산물이 권력이 되다 250 / 인구가 증가하다 252 / 펜턴 도자기 꽃병 254 / 초기 정착지 256 / 사회가 조직되다 258 / 통치자가 등장하다 260 / 법과 질서 그리고 정의 262 / 문자 기록이 시작되다 264 / 문자 기록이 발달하다 266 / 사막에 물을 대다 268 / 도시 국가가 출현하다 270 / 농경이 환경을 파괴하다 272 / 신앙 체계 274 / 무덤 속 유물 276 / 의복이 지위를 나타내다 278 / 금속을 이용하다 280 / 냉동 미라 외치 282 / 갈등이 전쟁으로 번지다 284 / 제국의 시대 286 / 제국의 번성과 몰락 288 / 화폐를 발행하다 290 / 문명이 건강을 해치다 292 / 교역 네트워크가 발달하다 294 / 동서양이 만나다 296 / 교역이 전 세계로 확대되다 298

문턱 8. 산업이 부상하다 300
생명 거주 가능 조건 302 / 산업 혁명이 일어나다 304 / 석탄으로 움직이는 산업 306 / 증기 기관이 가져온 변화 308 / 산업화 과정 310 / 산업화가 세계로 확산되다 312 / 정부가 진화하다 314 / 소비주의가 유행하다 316 / 평등과 자유 318 / 민족주의가 부상하다 320 / 산업 경제로 나아가다 322 / 세계 각국이 항구를 열다 324 / 전쟁이 혁신을 주도하다 326 / 식민 제국이 성장하다 328 / 사회가 바뀌다 330 / 교육이 보급되다 332 / 의학이 진보하다 334 / 세계화로 나아가다 336 / 엔진이 세상을 바꾸다 338 / 뉴스가 빠르게 퍼지다 340 / 사회 네트워크가 확장되다 342 / 성장 그리고 소비 344 / 에너지를 찾다 346 / 원자력을 선택하다 348 / 인류세에 들어서다 350 / 기후 변화 352 / 수급 위기의 화학 원소 354 /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다 356 / 빅 히스토리의 미래는? 358

빅 히스토리 인류사 연표 360
선사 시대의 세계: 800만 년 전부터 기원전 3000년까지 362 / 달력 체계 367 / 고대의 세계: 기원전 3000년부터 700년까지 368 / 문화와 창의성 374 / 고전 시대의 세계: 기원전 700년부터 기원후 600년까지 376 / 위대한 건축물 383 / 중세의 세계: 600년부터 1450년까지 384 / 철학과 종교 392 / 근대 초기의 세계: 1450년부터 1750년까지 394 / 발명과 발견 402 / 제국주의 시대의 세계: 1750년부터 1914년까지 404 / 천문학과 우주 411 / 현대의 세계: 1914년부터 현재까지 412 / 의학의 이정표 422

찾아보기 424
도판 저작권 436
옮긴이의 말 440

저자 소개8

빅 히스토리 연구소

관심작가 알림신청
 
매쿼리 대학교는 기존의 전통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학문을 탐구하고 연구할 목적으로 설립된 대학이다. 매쿼리 대학교의 우수한 연구 실적 중 하나인 빅 히스토리, 즉 거대사 연구는 기존의 교육 방식에 새로운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매쿼리 대학교는 이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하고 선도해 나가기 위해 빅 히스토리 연구소를 세웠다. 빅 히스토리 연구소에는 전공이 과학이든 인문학이든 상관없이 학문 간 경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문제를 탐구하고 새로운 사고방식을 발견하려는 연구자들과 학생들이 모여 있다. 오늘날 빅 히스토리 연구소는 전 세계의 교육 기관, 연구 기관, 정부 기관, 비영리 조직,
매쿼리 대학교는 기존의 전통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학문을 탐구하고 연구할 목적으로 설립된 대학이다. 매쿼리 대학교의 우수한 연구 실적 중 하나인 빅 히스토리, 즉 거대사 연구는 기존의 교육 방식에 새로운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매쿼리 대학교는 이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하고 선도해 나가기 위해 빅 히스토리 연구소를 세웠다. 빅 히스토리 연구소에는 전공이 과학이든 인문학이든 상관없이 학문 간 경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문제를 탐구하고 새로운 사고방식을 발견하려는 연구자들과 학생들이 모여 있다. 오늘날 빅 히스토리 연구소는 전 세계의 교육 기관, 연구 기관, 정부 기관, 비영리 조직, 기업과의 광범위한 협력을 토대로 전 세계에 빅 히스토리를 알리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데이비드 크리스천

관심작가 알림신청
 

David Christian

옥스퍼드 대학에서 러시아사를 전공했으며 버몬트대학교 제임스 마시James Marsh 교수이자, 호주 매콰리대학교 교수로 있다. 빅뱅에서부터 시작해 우주의 발전과 지구의 탄생, 인류의 출현,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일어난 다양한 상호작용까지 포괄하는 거대사Big History 연구의 창시자이며, 21세기 새로운 세계사, 지구사Global History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기도 하다. 한국의 이화여자대학교의 ‘지구사 연구소’에서도 2009년부터 여름 학기에 빅 히스토리를 강의하고 있다. 최근에는 빌 게이츠의 후원을 받아 미국 등지의 고등학생들에게 빅 히스토리를 가르칠 수 있는 온라인
옥스퍼드 대학에서 러시아사를 전공했으며 버몬트대학교 제임스 마시James Marsh 교수이자, 호주 매콰리대학교 교수로 있다. 빅뱅에서부터 시작해 우주의 발전과 지구의 탄생, 인류의 출현,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일어난 다양한 상호작용까지 포괄하는 거대사Big History 연구의 창시자이며, 21세기 새로운 세계사, 지구사Global History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기도 하다. 한국의 이화여자대학교의 ‘지구사 연구소’에서도 2009년부터 여름 학기에 빅 히스토리를 강의하고 있다. 최근에는 빌 게이츠의 후원을 받아 미국 등지의 고등학생들에게 빅 히스토리를 가르칠 수 있는 온라인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빅 히스토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시간의 지도들: 거대사에 대한 서론Maps of Time: An Introduction to Big History』으로 2004년에 세계사학회에서 선정한 최고 도서상을 수상했다.

국내에 번역된 책으로는『세계사의 새로운 대안, 거대사』(2009, 서해문집)가 있으며 지은 책으로 『러시아의 역사A History of Russia』, 『중앙아시아와 몽골Central Asia and Mongolia』, 『제정 러시아와 소비에트Imperial Russia and Soviet』, 『살아 있는 물Living Water』 등이 있다.

데이비드 크리스천의 다른 상품

앤드루 매케나

관심작가 알림신청
 
앤드루 매케나는 빅 히스토리 프로젝트의 연구, 교육, 확산을 아우르는 기본 계획을 기획하고 추진하는 일을 맡고 있다. 그는 빅 히스토리 연구소의 세계적 성장과 전략적 발전을 이끌고 있다.

트레이시 설리번

관심작가 알림신청
 
트레이시 설리번은 빅 히스토리 프로젝트의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오스트레일리아 학교들에서 이 커리큘럼이 잘 진행되는지 관리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그는 빅 히스토리 프로젝트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빅 히스토리 교육에 관한 기본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미디어 플랫폼 ‘얼룩소(alookso)’ 에디터. 동아사이언스 기자로 근무하며 [과학동아] 편집장과 [동아일보] 과학 담당 기자 등을 거쳤다. ‘2009년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과학언론상’, ‘2020년 대한민국과학기자상’을 수상했다. 『사라져가는 것들의 안부를 묻다』, 『인류의 기원 (공저)』 등을 썼고, 『화석맨』, 『왜 맛있을까』, 『사소한 것들의 과학』, 『빌트(공역)』 등을 번역했다.

윤신영의 다른 상품

과학 기자. 동아사이언스에서 5년간 과학 전문지 『과학동아』를 만들었고, 1년간 유튜브 채널 [과학 읽어주는 언니]를 운영하며 독자와 구독자를 만났다.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연료전지를 공부했다. 발화 원인을 과학적으로 밝혀내는 소방관들의 노고를 담은 기사로 2017년 1월 한국과학기자협회 ‘이달의 과학기자상’을 받았다. 옮긴 책으로 『빅 히스토리』(공역), 『빌트, 우리가 지어올린 모든 것들의 과학』(공역)이 있다.

우아영의 다른 상품

서강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과 신문방송학을 공부했으며, 한양대에서 과학정책을 공부하고 있다. 과학 전문 잡지 [과학동아]에서 과학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IT와 관련한 최신 공학 기술에 관심이 많다.

최지원의 다른 상품

과학 전문지 [과학동아] 기자. 이화여대 공대에 입학해 전자공학도를 꿈꿨으나 복잡한 회로식 속에서 길을 잃고 덕분에 기자가 됐다. 9년이라는 길지 않은 경력 중에 잡지, 신문, 방송,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에 기사를 썼다. ‘그저 그런 기사는 쓰지 않겠다’는 손발 오그라드는 다짐을 카카오톡 대문에 8년째 걸어두고 있다. 최근엔 우주, 지구, 생명, 인간의 거대사를 다룬 엄청 두꺼운 책 『빅 히스토리』를 공동 번역했다.

이영혜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7년 09월 30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440쪽 | 2000g | 263*308*40mm
ISBN13
9788983718150

책 속으로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 서문

나는 어린 시절 교실에 놓여 있던 세계 지도를 생생히 기억한다. 영국 서머싯의 학교에서 배운 지리학 수업도 기억한다. 이 수업에서 나는 지구의 단면을 어떻게 그리는지 배웠다. 이를 통해 발아래에 다양한 지층이 있고, 이 지층들이 땅속에서 영국 각지와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알게 됐다. 내게는 학교에서 가장 신나던 순간이 바로 이런 지층에서 예상치 못한 연결을 발견할 때였다. 내 발밑 석회암층이 수백만 년 전에 살던, 원석조(coccolithophore)라는 작은 생물 수십억 마리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깨닫는다거나, 이 생물의 흔적이 영국의 다른 지역이나 훨씬 멀리 떨어진 다른 나라의 지층에서도 발견된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처럼 말이다. 원석조가 살아 있을 때 서머싯은 어땠을까?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서머싯은 그때 어디에 있었을까? 이 질문은 내가 학교에 다니던 시절에 물어볼 수 없었다. 당시 과학자들은 대륙이 지구 표면에서 움직인다고 확신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내게는 교실 구석에 있던 지구본이 이런 모든 지식의 열쇠였다. 지구본을 통해 나는 서머싯이 영국 그리고 유럽 어디에 위치하고, 바이킹은 어디서 들어왔으며, 유럽은 세계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었다. 빅 히스토리(Big History, 거대사)는 지구본과 같지만, 훨씬 크다. 빅 히스토리는 관측 가능한 모든 우주와 측정 가능한 모든 시간을 포함한다. 덕분에 우리는 전체 우주가 원자 하나보다 작았던 138억 년 전의 놀라운 대폭발(big bang, 빅뱅) 순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빅 히스토리는 별(항성)과 은하를 포함하며, 생명을 가능하게 한 마법의 분자인 탄소에서부터 방사성을 이용해 폭탄을 만들고 우리 지구의 생성 연대를 파악하게 하는 우라늄까지 다양한 원소를 다룬다. 빅 히스토리는 시공간 전체를 그린 지도와 같다. 일단 이 지도를 탐험하기 시작하면, “이것이 내가 아주 작은 일부로서 속해 있는 우주구나! 만물의 위대한 얼개에서 내 위치는 여기구나! 그럼 그 후는 무엇일까?”라고 외치게 될 것이다.
오늘날, 빅 히스토리를 가르치는 학교와 대학이 늘고 있다. 빅 히스토리는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할 이야기다. 당신이 손에 들고 있는 이 책에서, 당신은 이 이야기를 소개하는 아름다운 그림과, 서로 다른 전문 분야의 지식을 연결하는 말과 사진으로 된 일종의 지구본을 보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우리가 사는 세상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단계별로 보여 준다. 여기에는 아주 단순한 초기 우주부터 별의 등장과 화학 반응의 발생, 생명이 스스로 출현한 우리 지구와 같은 여러 세계들이 공존하는 우주까지 포함된다.
그리고 이 거대한 이야기에서 바로 우리 종, 인류가 하는 이상한 일들을 보게 될 것이다. 우리는 이야기의 아주 끝에 등장하지만, 지구를 바꿀 정도의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우리는 어쩌면 보다 놀라울 수도 있는 일을 했다. 광막한 우주에 비하면 작을 수밖에 없는 우리의 시점에서, 어떻게 우주가 태어났고 어떻게 진화했으며 어떻게 오늘날의 모습이 됐는지 생각해 냈다. 이것은 놀라운 성취다. 이 책에서 당신은 이 이야기를 엮어 낸 발견들과 만나게 될 것이다. 이것은 21세기 초의 우리에게 필요한 지구본이다. 다음 세대를 위해 이 아름다운 행성을 좋은 상태로 유지하고 보존해야 하는, 대단히 어려운 사명을 완수해야 하는 우리이기에.

데이비드 크리스천|빅 히스토리 연구소 소장, 빅 히스토리 프로젝트 공동 창립자

---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대폭발부터 태양계의 탄생과 생명의 진화, 인류 문명까지
시공간의 지도 위에 펼쳐지는 138억 년의 위대한 여정

『빅 히스토리』는 대폭발, 별의 탄생, 원소의 생성, 행성의 형성, 생물의 출현, 인간의 진화, 문명의 발달, 산업의 부상이라는 여덟 단계의 ‘문턱(threshold)’으로 구성돼 있다. 빅 히스토리에서 언급되는 ‘문턱’은 대폭발 이후 우주와 지구, 생명과 인간 사회를 구성하는 수많은 요소들과 조건들이 결합되면서 새로운 주체가 등장하고 패턴이 복잡해지며 네트워크가 다양해지는 전환점을 말한다. 독자들은 8개의 문턱을 이정표 삼아 이 책이 안내하는 138억 년의 지적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과거와 현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할 수 있는 통찰과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문턱 1. 대폭발이 일어나다(138억 년 전 대폭발부터 136억 년 전 최초의 별 탄생까지)
언제, 어떻게 우주는 시작했을까? 현대 과학은 우주의 기원에 대해 어디까지 밝혔는지, 신화와 종교에 의존했던 우리가 어떻게 과학의 힘으로 인간과 우주를 이해하게 됐는지, 그리고 풀리지 않는 우주의 비밀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 문턱 2. 별이 탄생하다(136억 년 전 최초의 별 탄생부터 134억 년 전 최초의 은하 형성까지)
대폭발 직후 암흑천지였던 우주를 밝힌 ‘최초의 빛’은 어떻게 나오게 된 것일까? 우주의 나이가 채 1초가 되기 전에 중력의 영향으로 물질의 밀도가 미세하게 변하면서 최초의 별과 은하 그리고 훨씬 더 복잡한 우주가 형성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 문턱 3. 원소가 만들어지다(136억 년 전 최초의 별 탄생부터 46억 년 전 태양계 형성까지)
인류를 포함해 여타 지구 생명과 온갖 물질을 구성하는 원소는 어디서 왔을까? 생명을 포함한 오늘날의 물질 세계는 모두 죽은 별에서 유래했다. 사람처럼 태어나고 살다가 늙어서 죽는 별, 그 안에서 벌어지는 놀라운 화학 작용에 대해 알아본다.

? 문턱 4. 행성이 형성되다(46억 년 전 태양의 탄생부터 38억 년 전 지구 대륙의 형성까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그리고 그 지구를 이끌고 있는 태양은 언제 어떻게 형성됐을까? 우리 은하 한구석, 이전 별들의 잔해에서 중력으로 인한 응축과 충돌을 거쳐 오늘날의 태양과 지구가 만들어지고 오랜 세월을 거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담았다.

? 문턱 5. 생명이 출현하다(41억 년 전 생명의 출현부터 6500만 년 전 공룡 멸종까지)
생명이란 무엇인가? 지구에서 생명은 언제 등장했을까? 오늘날의 다양한 생명체들은 어떤 과정을 거쳐 존재하게 된 것일까? 아주 단순한 바닷속 원시 세포부터 진핵 세포, 해양 생물, 육지 생물, 파충류, 포유류, 그리고 인간으로 이어지는 생명 탄생과 진화의 경로를 따라가 본다.

? 문턱 6. 인류가 진화하다(800만 년 전 호미닌의 등장부터 1만 2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까지)
급변하는 자연 환경과 치열한 생존 경쟁에서 우리 종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고대 인류의 화석과 DNA 분석을 통해 영장류에서 호미닌으로의 진화, 호모 사피엔스의 이주와 번성, 사회성의 진화와 무리 생활의 등장, 수렵 채집 생활과 집단 학습을 통한 혁신 등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 문턱 7. 문명이 발달하다(기원전 8000년 농업의 등장부터 1600년 신대륙의 발견까지)
인류 문명을 탄생시킨 원동력은 무엇일까?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고 농경 목축을 시작한 인류. 그로 인해 인구가 증가하면서 소규모 공동체 사회가 거대한 국가와 제국으로 성장하고 지구 환경과 생태계가 인간의 힘으로 바뀌어 나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 문턱 8. 산업이 부상하다(1750년 산업 혁명부터 현재까지)
산업화 이후 지구에서 가장 강력한 종이 된 인류, 그 앞에 어떤 미래가 기다리고 있을까? 18세기 산업 혁명을 계기로 한 단계 도약하게 된 인류 문명은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며 세계를 끊임없이 변화시켜 왔다. 21세기 지속 가능한 문명의 건설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선택과 노력을 해야 하는지 모색해 본다.


생생한 이미지와 세련된 편집이 어우러진
최고의 빅 히스토리 비주얼 가이드

『빅 히스토리』를 열면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 프랑스 고문서관, 이탈리아 사우스티롤 고고학 박물관, 스페인 카탈루냐 연구소,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등 세계 유수의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나 볼 수 있는 그림들과 사진들이 고해상도 이미지로 눈앞에 펼쳐진다. 여기에 더해 DK에서 만든 화려한 컴퓨터 일러스트와 감각적인 인포그래픽은 텍스트에 압축돼 있는 지구사, 인류사, 문명사, 자연사, 우주사의 복잡한 인과 관계와 상호 관련성을 면밀하게 보여 준다.
암석, 꽃가루(화분), 고DNA 연구와 같은 중요한 과학적 탐구, 척추동물의 번성, 호미닌의 등장과 진화, 문자 기록의 발달, 의학의 진보와 같은 역사의 하이라이트, 지동설과 진화론, 평등과 자유, 인류세 등 오늘날의 세계를 만든 아이디어를 본문 중간에 배치해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세부를 놓치지 않은 세련된 편집도 돋보인다.
『빅 히스토리』는 역사학, 철학, 사회학, 인류학, 천문학, 물리학, 생물학, 화학, 지구 과학 등 여러 학문을 넘나들며 지역별, 시대별, 문화별로 파편화된 정보와 지식을 다채로운 이미지들과 함께 유기적으로 연결한, 최고의 빅 히스토리 비주얼 가이드다.

현대적인 기원 이야기와 이를 외삽해 상상할 수 있는 미래의 이야기가 동시에 담긴 게 빅 히스토리다. ― 「옮긴이의 말」에서

리뷰/한줄평248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9.9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