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1년 11월 2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52쪽 | 530g | 170*230*17mm |
ISBN13 | 9791164051465 |
ISBN10 | 1164051466 |
발행일 | 2021년 11월 2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52쪽 | 530g | 170*230*17mm |
ISBN13 | 9791164051465 |
ISBN10 | 1164051466 |
프롤로그 LESSON 1 가드닝은 식물과 나누는 대화입니다 그 많던 화분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태어날 때부터 ‘그린 핑거’인 사람은 없다 식물을 이해한다는 것, 식물의 말을 듣는다는 것 * 셀프 체크 리스트: 나를 알고, 식물을 알자 LESSON 2 가드닝 환경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 식물의 가장 중요한 생존 기반, 빛 빛은 왜 중요할까? 얼마나 밝은 빛이 필요할까? 얼마나 오래 빛을 줘야 할까? 광합성에 필수적인 요소, 물 내 선인장은 왜 죽었을까? 물 주는 시기를 판단하는 방법 실패하지 않는 물 주기 원산지에 가까운 환경 만들기 적정 온도와 적정 습도를 얻기 위한 여정 가장 간과하는 환경 요소, 통풍 * 지속 가능한 가드닝을 위한 팁: 나만의 식물 노트 만들기 LESSON 3 식물이 하는 말을 들어주세요 식물의 잎이 하는 말 선인장을 어두운 곳에서 키워서는 안 되는 이유 식물이 털을 만드는 이유 무늬, 또 다른 적응의 결과 잎의 모양으로 특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식물들 식물의 수형이 하는 말 내 허브는 왜 자꾸만 죽을까? 허브 연쇄 살인범에서 벗어나기 식물의 원산지가 하는 말 원산지에 따라 다른 월동온도 건조지역 출신의 식물들 식물의 뿌리가 하는 말 착생식물, 결핍이 만든 강함 식물의 꽃이 하는 말 빛이 없으면 꽃도 없다 몬스테라의 꽃이 궁금한가요? * 알아두면 좋은 식물 분류법: 계, 문, 강, 목, 과, 속, 종 LESSON 4 이것만 알면 초보 가드너 탈출! 실패하지 않는 흙 선택법 실내 가드닝에 사용하는 인공혼합토의 모든 것 원예용상토에도 ‘황금비율’이 있을까? 같은 흙도 사용하기 나름 실패하지 않는 분갈이 분갈이 전 이것만은 꼭 확인하자 분갈이, 어렵지 않아요 어떤 화분이 좋은 화분일까? 실패하지 않는 비료 사용법 어떤 비료를 선택할까? 비료를 잘 주는 법 비료도 잘못 주면 독이 된다 실패하지 않는 번식법 번식, 식물 키우기의 즐거움 실내 식물의 꺾꽂이(삽목) 실내 넝쿨식물의 꺾꽂이 실내 초본식물의 잎꽂이 다육식물의 꺾꽂이와 잎꽂이 새 포기가 생기는 실내 식물의 번식법-포기나누기(분주) 가드닝 고수가 되기 위한 마지막 관문, 병충해 해충의 종류와 관리법 병해의 종류와 관리법 LESSON 5 나에게 어울리는 식물 찾기 그룹1: 하루 6시간 이상 충분한 빛+통풍 원활+적절한 물 주기 가능 유칼립투스와 오세아니아 출신 나무들 올리브나무 아카시아나무 무늬벵갈고무나무 그룹2: 하루 6시간 이상 충분한 빛+통풍 불량+적절한 물 주기 불가능 다육성 유포르비아 선인장, 다육식물의 철화 괴근식물(Caudex) 그룹3: 하루 3~6시간의 빛+통풍 원활+적절한 물 주기 가능 베고니아 필로덴드론 싱고니움 안스리움 그룹4: 하루 3~6시간의 빛+통풍 불량+적절한 물 주기 불가능 립살리스류 호야 페페로미아 그룹5: 부족한 빛 조건+관리 가능 떡갈잎고무나무 몬스테라 스킨답서스 * 좋은 식물 고르는 법 에필로그 감사의 글 찾아보기 |
제목부터 식물 상담,
두고두고 볼만한 홈가드닝 추천도서를 만났다.
'물 주기부터 우리 집에 어울리는 식물 선택법'까지
차근차근 알려준다는 표지의 문구처럼,
식물 키우기를 위한 마음가짐부터
홈 가드닝의 '기본'부터 하나씩 알려주는
친절하고 유용한 가드닝 입문서다.
가드닝이 대한 정의부터 시작해서,
가드닝 환경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
식물이 하는 말, 번식법,
그리고 우리 집 환경에 맞는 식물 찾기까지
각각의 챕터에서 식물 집사라면 꼭 알아야 할
이야기들을 하나씩 풀어나간다.
홈 가드닝 책을 보는 재미 중 하나는
정성 들여 키운 식물 사진을 보는 것이라 생각하는데,
신경 써서 찍은 사진으로 채워진 페이지도
참 공을 들여 만들었다는 느낌이 들었다.
워너비 플랜테리어를 사진으로 보는 즐거움이 쏠쏠.
플라워·가드닝숍 '가드너스 와이프'와
가드닝 클래스를 운영하는 저자가 쓴 책인 만큼,
트렌드에 맞는 식물들도 많이 담았다는 것도
이 책의 매력 중 하나인 듯.
생각해 보면 몇 년 전의 식물 관련 서적은
대부분 공기정화식물 중심으로
나사 추천 몇 위 안에 든 식물을
소개하는 게 트렌드였던 것 같은데,
가드닝이 더욱 대중화되면서,
키우는 식물도, 그와 관련한 책도
다양한 개성을 담게 된 것 같다.
사람과 사람이 친해지는 과정처럼,
식물과 친해지기 위해서도
식물을 키울 나라는 사람,
내게 주어진 환경 조건을 돌아보고
식물의 언어로 식물에게 말을 건네라고 한다.
실전 가드닝 팁보다, 식물이 자라는 환경을 파악하고,
환경의 제약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먼저 소개하고,
식물별 특성을 충분히 알아본 뒤에야
내 환경에 적합한 식물을 고르는 방법과.
실제 가드닝에 요구되는 필수적인 상식을 배워가는 순서.
'환경에 맞는' 식물을 키우거나,
혹은 그 환경을 만들어줄 수 있어야만
식물을 죽이는 손을 벗어날 수 있다는 거다.
셀프 체크 리스트를 해보면서
나의 상황을 점검해 보고,
본격적인 식물 수업에 들어간다.
가드닝 환경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
식물의 가장 중요한 생존 기반인 빛,
광합성에 필수적인 요소 물,
원산지에 가까운 환경 만들기를
조목조목 설명해 준다.
식물 관리 노트를 만들어
식물을 입양하고 관리하는 과정을
기록으로 남겨보라는
지속 가능한 가드닝을 위한 팁.
습관적으로 사진을 찍고,
아주 가끔 블로그에 기록은 남기지만,
언제 집에 들였는지, 언제 분갈이를 했는지는
늘 잊어버리곤 했는데,
이렇게 기록해두면 도움 될 것 같다.
식물의 잎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
선인장을 어두운 곳에서 키우면 안 되는 이유와
식물이 털을 만드는 이유를 알고 계셨는지?
단순히 선인장은 밝은 곳에서
키우라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런 건지를 알려주니
한 번 파악하고 나면 다른 식물에도 쉽게 적용이 되겠다.
무늬종이 한참 인기를 끌고 있는 요즘,
가드닝계는 '무늬종의 시대'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라는데,
식물의 무늬종 또한 적응의 결과라는 걸 알았다.
식물이 자라는 환경과 특징에 대해
어느 정도 탄탄한 지식을 쌓았다면
이제 초보 가드너를 탈출할 실질적인 방법을
배우고 실행할 차례.
실패하지 않는 흙 선택법과
피트모스, 코코피트, 퍼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등
다양한 흙에 대해 소개해 준다.
블로그 검색하다 보면 분갈이 흙을 조합하는
다양한 배합법을 발견할 수 있는데,
사실 그렇게까지 딱 맞춰야 하나 싶을 때가 있었다.
식물상담의 저자도 가드닝숍을 운영하면서
수많은 원예용 상토를 구매해서 시험해 보았지만
실내 식물 성장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고 한다.
흙의 배합 비율에 너무 민감할 필요보다는,
너무 크지 않은 화분에 배수가 잘 되는 흙으로 분갈이하고,
그 식물의 원산지와 유사한 환경에서 키우다가,
2~3개월 후 소량의 비료를 주면 된다는 것.
꺾꽂이, 잎꽂이, 포기 나누기 등
식물 키우기의 즐거움인 번식도 재미있는 부분.
잎꽂이가 되는 다육이나 베고니아, 페페는
늘 봐도 신기하다.
마지막 장, '나에게 어울리는 식물 찾기'가
이 책의 하이라이트.
사실 여기까지 오기 위해
앞의 내용을 배운 거나 마찬가지다.
실내 공간, 겨울철 최저 온도 10~15도 이상이라는
공통 조건 하에 우리 집 환경을 체크해 본다.
*하루 6시간 이상 충분한 빛 + 통풍 불량 + 적절한 물 주기 불가능
*하루 3~6시간 이상의 빛 + 통풍 원활 + 적절한 물 주기 가능
*하루 3~6시간의 빛 + 통풍 불량 + 적절한 물 주기 불가능
*부족한 빛 조건 + 관리 가능
다섯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환경에 맞는
적절한 식물과 관리 팁을 제안해 주는데,
우리 집에 맞는 컨설팅을 받는 기분으로 보면 될 것 같다!
취미로 하는 가드닝이 아니라,
전문 샵을 운영하면서 쌓인
노하우를 아낌없이 풀었다.
그저 플랜테리어의 한 요소로,
유행이니까 들여놓는 식물이 아니라,
나의 공간을 함께 하는 반려식물로써
식물을 대하는 마음가짐부터
찬찬히 설명해 주는 친절한 책.
그러면서도 베고니아, 무늬종식물 등
최근 가드너들이 좋아하는 핫한 식물도
놓치지 않고 소개하는
베이직하면서도 트렌디한 책이라,
식물 집사 초보에게 추천하고 싶다.
'식물 상담'이라는 제목과 참 잘 맞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