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실을 말하고 싶다면 완곡하게 선택적으로 말해야 한다. 경험을 통해 당신도 조만간 이 안에 담긴 이치를 깨닫게 될 것이다. 옛말에 “존귀한 사람은 치욕을 숨기고, 현명한 사람은 잘못을 숨기고, 친한 사람은 병을 숨긴다.”는 말이 있다. 굳이 드러내지 않아도 될 잘못은 함부로 말하지 마라.
** 아프리카의 대초원에서 바벰바족은 지금까지도 여전히 오래된 독특한 비판 의식을 유지하고 있다. 만약 누군가가 잘못을 저지르면 족장은 먼저 그에게 마을의 중앙에 서 있으라고 명령한다. 소식을 들은 모든 부족 사람들은 잘못을 저지른 사람을 겹겹이 에워싼다. 그리고 그들은 ‘비판’ 대신 ‘칭찬’이라는 비장의 무기를 통 해 잘못을 저지른 이를 가르친다.
** 일상적인 교제 중에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않았거나, 인과관계를 잘 모르거나 의문점이 있는 문제에 대한 견해를 발표할 때는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고, 정확하게 분수를 지키며 말을 해야 한다. 무엇보다 ‘항상’, ‘절대’, ‘전부’ 같은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대신 ‘조금’, ‘어떨 때’, ‘부분적으로’ 등의 단어를 쓰거나 ‘지금 상황으로 봤을 때’, ‘그냥 제 개인적인 생각인데요, 틀릴 수도 있습니다’, ‘제 입장은 이렇습니다’ 등의 문장을 사용하라.
** 아무리 상대방과 의견이 달라 다툰다 해도 큰 목소리로 억누르면 안 된다. 이른바 “이치가 있으면 세상을 구석구석 다닐 수 있다.”라는 말처럼 자신의 생각과 방법이 일리가 있다면, 다른 사람 의 힐난은 두렵지 않다. 목소리 큰 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상대방은 당신이 큰 목소리로 자신 없는 마음을 감추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싸움의 승패는 ‘이치’에 따라 결정된다.
** 기억하라. 거의 모든 사람은 마음속 깊은 곳에 인정과 칭찬을 받고 싶은 갈망이 있다. 누군가가 매우 유치하고, 언급할 가치도 없는 취향을 갖고 있어도 비웃어서는 안 된다. 존중은 상호적이다. 당신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상대방이 흡족해하는 것을 인정해 주어야 한다. 만약 당신이 다른 사람의 비웃음과 공격을 견딜 수 없다면, 똑같이 다른 사람을 비웃거나 부정해서는 안 된다.
**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사교적인 장소나 혹은 낯선 사람 사이에서 1.2~2.1미터의 거리를 유지해야만 비로소 안전한 거리라고 할 수 있다고 한다. 너무 가까이 있으면 상대방에게 예의가 없다는 느낌을 준다. 하지만 심리적 안전거리는 쉽게 무시된다. 이러한 상황은 대부분 친한 사이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면, 갑자기 불청객으로 들이닥치는 것이다. 누군가의 집을 방문하고 싶을 때, 미리 상대방과 약속을 해야 상대방도 미리 집을 정리하고, 맞이할 음식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당신이 한마디 말도 없이 누군가의 집에 들이닥친다면 주인은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 속상한 일이 생길 때마다 우리는 속으로 ‘참자. 사실 별것도 아닌 일이야.’, ‘저 사람도 힘들 텐데, 그냥 한 번만 눈감아 주자.’, ‘따질수록 귀찮아지니까 한 발짝 물러나 있자.’라고 생각한다. 부 당한 요구가 들어와도 인내심을 발휘하며 억지로 끙끙대며 들어 준다. 하지만 그런다고 감사나 존중은커녕 오히려 그들에게 원칙 도 없는 만만한 사람으로 인식되기 일쑤다.
** 누군가가 나의 뒷담화를 하거나 피해를 주었을 때 그 사람이 진심으로 사과한다면 태연히 받아들이고 상대방을 놓아주어도 좋다. 만약 비난과 비판을 받거나 누명을 쓴다면, 급히 변명하고 날카롭게 맞서거나 마음을 졸일 필요가 없다. 그것이 단지 다른 사람의 가벼운 불찰이라면 모든 것은 시간에 맡기면 된다.
만약 우리가 불공평한 일을 당했을 때 바로 발끈해서 일을 해결하려 한다면, 화가 난 상태로 해명할수록 더 의심받을 수 있고 상황도 더욱 나빠질 수 있다. 사소한 원한에도 눈에는 눈, 이에는 이로 갚아 주려 한다면, 당신은 그저 상대방과 같은 수준이 될 뿐이다.
** 친구끼리 서로 힘든 일을 쏟아내는 것은 자주 있는 일이다. 하지만 모든 일이 지나치면 안 된다. 절대 친구를 ‘감정 쓰레기통’으로 여기고 상대방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무절제하게 쏟아내지 마라. 아무리 소꿉친구, 절친, 의리 있는 친구라 해도 만약 당신이 그들에게 항상 부정적인 에너지를 쏟아낸다면 그들도 짜증이 날 것이다. 그렇게 사람들은 점점 조용히 당신과 멀어질 것이다.
** 사교계에서 또 하나 지켜야 할 예의는 상대의 이름을 기억하는 것이다. 대부분은 상대가 자신의 이름을 까먹어 우물쭈물하는 것을 싫어한다. 데일 카네기는 일찍이 “모든 사람에게 그의 이름이야 말로 세상에서 가장 듣기 좋은 소리이다.”라고 말했다. 이 말은 정말 맞는 말이다. 순간적으로 다른 사람의 이름을 잊어버렸다고 해서 이로 인해 상대방과 당신의 사이가 틀어질 리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단순해 보이는 이런 행동은 ‘나는 당신에게 큰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상대방에게 호감을 얻고 싶다면 시간을 들여 이름을 외우는 것은 기본이다. 이름만 알아 두어도 상대와 빠르게 우정을 쌓을 수 있다. 이것은 적어도 당신이 그를 충분히 존중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 ‘친화력이 좋은’ 사람들은 ‘내 것’, ‘네 것’을 크게 구분하지 않는다. 그들에겐 모든 것이 ‘우리의 것’이다. 그들은 사람들과 어울릴 때 공간을 충분히 두는 법을 알지 못해서 종종 주변 사람들을 곤혹스럽게 한다. 당신이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내고 있는데, 어떤 내용을 보냈는지 보려고 다가오거나, 동의한 적이 없는데도 당신의 물건을 함부로 쓰거나, 가방 안에 무슨 물건이 들어 있는지 뒤적이는 사람들이 있다. 살면서 걸핏하면 호형호제하고 아무 일이 아닌데도 아첨하는 사람을 만난다면 반드시 입장을 분명히 해서 상대방의 값싼 열정에 쉽게 끌려가지 말아야 한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