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0년 03월 0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68쪽 | 489g | 170*250*20mm |
ISBN13 | 2589420124001 |
발행일 | 2020년 03월 0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68쪽 | 489g | 170*250*20mm |
ISBN13 | 2589420124001 |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2 [2018]
14,250원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5 [2021]
14,250원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8 [2019]
14,250원 (5%)
News&Issues 종교는 어떻게 공중 보건을 위협하는가 | 해리엇 홀 인공지능은 영화 속 성별 편향을 알고 있다 | 이병주 Cover Story 코로나19와 질병X의 시대 코로나19의 출현과 질병X의 시대 | 송대섭 바이러스, 우리에게는 면역계가 있다 | 이원우 전염병 확산을 어떻게 예측할 수 있을까 | 김범준, 조원국 전염병은 왜 혐오를 일으키는가 | 박한선 코로나19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 강병철 Special Section 스티븐 핑커, 우리 본성의 합리적 천사에게 탈진실을 넘어 사실의 세계로 | 스티븐 핑커 Focus 신은 악과 공존 가능한가 세상에 악이 있다면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 개리 휘튼버거 신의 도덕은 인간의 잣대로 판단할 수 없다 | 브라이언 허플링 자애로운 신이 폭력적인 세계를 창조했을까 | J. L. 셸런버그 Theme 실험실의 탄생은 과학을 어떻게 바꾸었나 | 전주홍 우리 안에 천사와 악마는 없다| 이상아 Column 성기능 장애가 여성에게 더 많다는 연구의 진실 | 캐럴 태브리스 현대 의학에 남아 있는 동종요법의 흔적들 | 알렉산더 판친 집중연재 나는 존재한다, 더구나 생각도 한다 | 김상욱 본능의 유전학 | 이대한 지적생명체의 출현은 필연인가 | 이명현 Agenda & Article 사라진 이스라엘 12지파를 자처하는 사람들 | 팀 캘러핸 |
하루가 지났는지, 일주일이 지났는지, 시간 감각이 흐려진 채로 봄을 맞았다. 일년 같은 하루, 하루 같은 일년이라는 말을 떠올리게 되는 순간들이 이전에 없었던 건 아니지만, 어떤 경험도 이번만큼은 아니었다. 집과 회사만을 오가는 매우 단조로워진 생활의 반복으로, 한참을 통화했던 내용이 한시간 전의 일인지 어제의 기억인지 문득 멍해지는 일, 같은 것들이 몇 번이고 반복되다가…그러다가…어느 사이에 겉옷이 얇아졌다. 밝아지는 시간이 한참 전에 일러졌다는 걸 이제야 알아차린다. 어느 때보다도 라이브 뉴스, 속보, 휴대폰의 재난알림, 이런 것들에 촉각을 곤두세웠던 지난 두 달이지만, 때로는 언론조차 갈팡질팡하는 걸 보면서, 소문에 노심초사 하면서 배운 게 도둑질이라고 이 재난과 관련된 책들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생각보다 관련된 경고는 이전부터 있어왔고, 업데이트 되는 현 상황에 대한 견해도 많았다. 보면 다 알 수는 있는지는 천천히 생각하기로 하고. 2018년 세계보건기구 WHO는 가장 위험한 전염병 중 하나로 ‘질병X’를 지목했다. 질병X란 현재 알려지지 않았지만 미래에 대유행이 가능한 전염병을 통칭한다. 코로나19를 통해 알 수 있듯 우리는 어떤 변종이 어떻게, 언제 일어날 지 모른다. - p.40, 「코로나19의 출현과 질병X의 시대」, 송대섭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불청객은 이미 질병X 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미리 ‘어떤 것’으로 존재할 수 있었던 건, 사실 우리가 이 ‘X’들을 꾸준하게, 그리고 최근 들어 더 잦은 빈도로 만나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사스, 메르스, 혹은 또 다른 어떤 이름들로. 안타까운 건, 최근 인간의 생활패턴 변화로 이들을 만나게 될 기회가 점점 많아질 것이란 전망이다. 대다수 국민이 일상을 포기하며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고, 사명감 있는 의료진이 헌신하여 세계 어느 국가보다 훌륭하게 이 코로나19와 대치하고 있는 대한민국은, 한편으로 이와 같은 방역 체계와 검진 시스템을 갖출 수 있던 공을 ‘메르스 때의 경험’으로 돌린다. 그렇다면 이렇게 온 나라가 마비되어 만만치 않은 대가를 치른 이번의 경험은, 이 다음에 오는 질병X를 대응하는데 바탕이 되는 훌륭한 선례가 되면 그뿐인가? 왜 우리는 다른 어떤 이름으로 다시 올 질병X가 당연한 시대에 살게 되었는가? 동물이 서식지를 잃고 죽는다면, 그 속에 살던 미생물 역시 갈 곳이 없다. 특히 바이러스는 다른 생물의 살아 있는 세포 속에서만 증식한다. 다른 생물의 몸속으로 뛰어들든지 사멸하는 수밖에 없다. …(중략)… 서식지를 잃은 수많은 동물이 인간과 접촉하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미생물이 전파되고, 또 그때마다 엄청난 수의 RNA 바이러스가 증식하며 수많은 돌연변이가 반복적으로 일어난다면, 어느 날 병원체에게도 '쨍하고 해뜰날'이 찾아온다. 그것이 바로 사스요, 메르스요, 코로나19다. 모두 코로나바이러스, 즉 RNA 바이러스가 일으킨 대유행이다. 그리고 대유행은 점점 더 자주 일어나고 있다. - p.96, 「코로나19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강병철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대다수 역병이 그러했듯, 아마도 코로나19도 곧 지나갈 것이다. 이번 경험으로 세계는 신종 감염병에 대한 염려와 경고의 목소리를 더욱 높일 것이고,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회의 보수성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 건강에 대한 염려, 감염에 대한 불안으로 생물학적, 사회적 면역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질 것이다. 하지만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병을 예측하고, 감시 시스템과 방역 체계를 강화하는 것 말고, 좀 더 근본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있지 않을까?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거침없이 자연의 가장 깊숙한 곳까지 다가가는 인간에게 지구의 녹지가 몇 퍼센트 줄었다느니, 빙하가 얼마가 녹았다느니 하는 이야기는 이미 너무 오래전부터 반복되어온 전래동요 같은 것이 되었는지 모른다. 이들 누구에게도 경고되는 참사는 '이번 생은 아닌' 일로 여겨지기 일쑤다. 하지만 4월 7일 현재, 전세계 130만명 이상이 감염되고 7만명 이상을 사망하게 한 전염병의 상황을 보며, 이것을 단순히 극복해야할 또 하나의 전 인류적인 도전으로만 생각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
스켑틱 21호의 내용의 주제는 코로나19와 질병X의 시대입니다.
이번 2019년 말부터 창궐한 코로나19로 우리의 일상생활이 많이 바뀌었는데 이에 대한 여파등을 다룬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 외에 스켑틱 특징답게 다양한 음모론을 제기하는데, 그 중 하나는 신은 악과 공존이 가능한지에 대해 다룬 것이었습니다.
신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것부터 내용이 흥미로웠습니다. 또한 종교는 어떻게 공중 보건을 위협하는지에 대해 다룬 내용은 코로나19로 가장 큰 파급력을 보였던 종교활동으로 인한 전염성, 신이 전염병으로부터 구원해줄거라는 신앙심으로 비롯된 위험성등을 다시 한번 상기하게 되었습니다.
바다출판사에서 나온 한국 스켑틱 21호 리뷰입니다.
우선 코로나 19가 나타나고, 일상을 지배하면서 크고 작은 일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든 생각이 이건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사람들과도 관련이 있는 일이다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작은 울타리인 제 생각에 의견을 보충해주고 새로운 지식들을 쌓아줄 책들을 찾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이 책을 알게되어 사게 되었습니다. 종이도 빳빳하고 광고도 없고, 잡지로서 만족합니다. 좋아요.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