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 볼까?
청소년을 위한 살아있는 정치 이야기
이효건
사계절 2013.07.10.
베스트
청소년 top20 11주
가격
12,000
10 10,800
YES포인트?
6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 2020년 선거법 개정 내용 반영된 도서로 출고 됩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1318 교양문고

이 상품의 태그

책소개

목차

1부. 정치란 무엇인가?
정치가 내 삶의 구석구석을 바꾼다고? -정치의 기능
학생의 자치인가, 선생님의 통치인가? -자치와 통치
국가는 왜 만들어졌을까? -국가의 역할
“법대로 해!”는 정당할까? -법치주의
민주주의는 생활 속에 있다! -민주주의의 의미
헌법이 없으면 민주주의가 아니라고? -입헌주의
권력은 모아 주면 안 된다! -권력 분립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까? -자유와 평등
고대 그리스에서 민주주의가? -민주 정치의 기원
드디어 시민이 주인이 되다! -시민 혁명
특정 사람들에게만 선거권이 있다면? -선거권의 확대 과정
학교 일을 전교생이 모여 결정한다? -직접 민주제, 간접 민주제

2부. 올바른 정치 참여는 어떻게?
살색을 살구색으로 -정치 참여와 참여 민주주의
민주주의는 내 몸과 마음의 자유로부터 -두발 자유화 운동
의사 표시가 없으면 “뜻대로 하소서!”가 된다고? -참여에 따른 정책 결정
반장은 누가 뽑는 것이 좋을까? -선거의 의미와 기능
국민의 손으로 뽑을 수 있는 사람은? -우리나라 선거의 종류
학생은 왜 교육감 선거를 못하지? -교육감 선거
쉿, 누굴 뽑았는지 알리면 안 돼! -선거의 4대 원칙
반장은 반에서, 학생회장은 학교 전체에서 -선거구
반장은 몇 표를 얻어야 할까? -소수 대표제, 다수 대표제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고? -비례 대표제
돈 없으면 선거에도 못 나가나? -선거 공영제
당선되면 공약은 ‘뻥이야’? -매니페스토 제도
왜 무소속으로 대통령에 당선된 사람은 없을까? -정당의 역할
학교 매점이 하나여서 불편하다면? -정당 제도
‘학생 없는 학생회’는 잘될까? -정당 정치의 문제점
학생 식당이 비싸고 맛없다면? -이익 집단 활동 ①
촌지? 치맛바람? -이익 집단 활동 ②
장래 희망이 시민 단체 활동가? -시민 단체
청소년이 스스로 만든 단체도 있다! -청소년 단체
촛불 시위의 의미를 기억해! -여론의 중요성
건의 사항을 미리 검사받아야 한다면? -언론 자유 ①
학교 신문에서 교장 선생님을 비판한다면? -언론 자유 ②
광고주가 왕 노릇 한다고? -언론 자유 ③
우리도 언론인! -청소년이 만드는 대안 언론
거짓말하는 언론도 있다! -올바른 대중 매체 활용 자세

3부. 우리나라 헌법은 어떤 내용?
정치는 법에 따라, 법은 정치에 따라! -법과 정치의 관계
우리나라 헌법의 특징은? -성문 헌법, 경성 헌법
우리나라 헌법은 어떻게 바뀌었나? -헌법 개정의 역사 ①
독재를 위해 헌법이 계속 바뀌었다고? -헌법 개정의 역사 ②
국민의 항쟁과 민주화의 시작 -헌법 개정의 역사 ③
우리 헌법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졌을까? -헌법의 원칙 ① 국민주권
모두가 잘살 권리가 있다! -헌법의 원칙 ② 복지국가
우리나라만 편하면 될까? -헌법의 원칙 ③ 국제 평화주의
통일은 왜 해야 할까? -헌법의 원칙 ④ 평화 통일 지향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란 무엇일까? -기본권의 성격
경찰이 지나가는 사람의 머리카락을 자른다고? -기본권 제한의 한계
내가 가진 천부 인권은 무엇일까? -기본권의 내용 ① 평등권
몸과 마음을 자유롭게! -기본권의 내용 ② 자유권
정치는 내 손으로! -기본권의 내용 ③ 참정권
사람답게 살 권리! -기본권의 내용 ④ 사회권
권리 보장을 위한 권리 -기본권의 내용 ⑤ 청구권
나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무얼 해야 하나? -국민의 의무

4부. 국민의 권리 실현을 위한 국가 기관
국회는 어떤 곳일까? -입법부의 역할
국회 의원에게는 특권이 있다고? -국회 의원의 특권
헌법과 법률은 어떻게 만들고 고칠까? -입법 과정
국회에는 무슨 문제가? -오늘날 의회의 문제
행정부는 무엇을 하는 곳이지? -행정부의 구성과 역할
대통령은 무슨 일을 할까? -대통령의 권한과 역할
법원은 무서운 곳인가, 정의를 실현하는 곳인가? -사법부의 역할
일반 국민이 재판을 한다고? -배심원 제도
왜 재판은 세 번이나 할까? -법원 조직과 심급 제도
헌법 재판이 뭘까? -헌법 재판소의 권한과 역할

품목정보

발행일
2013년 07월 10일
쪽수, 무게, 크기
200쪽 | 450g | 153*224*20mm
ISBN13
9788958286820

추천평

학생들은 흔히 정치를 어른의 영역으로 여깁니다. 그러나 이 책은 정치가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고 꼭 배워야 할 중요한 내용임을 알려 줍니다. 특히 학생들이 겪는 생활 주변의 사례로 쉽고 흥미롭게 풀어낸 교양서입니다. ‘깊이 있는 내용과 재미를 담은 수업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고민하기 마련인 사회과 선생님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모경환 (서울대 사회교육과 교수)
정치를 빼놓고 우리 생활을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정치를 흥미롭고 명쾌하게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마침 이 책에는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겪으며 얻은 살아 있는 정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덕분에 어렵게 느껴지던 정치가 쉽고 생생하게 손에 잡히게 되며, 정치란 ‘남의 일’이 아닌 ‘내 일’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 줍니다.
박광기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단장, 대전대학교 정치언론홍보학과 교수)
사회 교과서 속 핵심 용어를 중고생의 눈높이에 맞게 술술 풀어내어 정치가 무엇인지 머리에 쏙쏙 들어옵니다. 역사 속 일화부터 최근의 시사 소재까지 흥미로운 민주주의 이야기가 가득합니다. 정치는 머리 아프다는 우리 학교 학생들과 올해 중학교에 입학한 막내에게도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임향신 (불광중학교 사회과 교사)

리뷰/한줄평18

리뷰

9.8 리뷰 총점

한줄평

9.2 한줄평 총점
10,800
1 1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