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부. 정치란 무엇인가?
정치가 내 삶의 구석구석을 바꾼다고? -정치의 기능 학생의 자치인가, 선생님의 통치인가? -자치와 통치 국가는 왜 만들어졌을까? -국가의 역할 “법대로 해!”는 정당할까? -법치주의 민주주의는 생활 속에 있다! -민주주의의 의미 헌법이 없으면 민주주의가 아니라고? -입헌주의 권력은 모아 주면 안 된다! -권력 분립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까? -자유와 평등 고대 그리스에서 민주주의가? -민주 정치의 기원 드디어 시민이 주인이 되다! -시민 혁명 특정 사람들에게만 선거권이 있다면? -선거권의 확대 과정 학교 일을 전교생이 모여 결정한다? -직접 민주제, 간접 민주제 2부. 올바른 정치 참여는 어떻게? 살색을 살구색으로 -정치 참여와 참여 민주주의 민주주의는 내 몸과 마음의 자유로부터 -두발 자유화 운동 의사 표시가 없으면 “뜻대로 하소서!”가 된다고? -참여에 따른 정책 결정 반장은 누가 뽑는 것이 좋을까? -선거의 의미와 기능 국민의 손으로 뽑을 수 있는 사람은? -우리나라 선거의 종류 학생은 왜 교육감 선거를 못하지? -교육감 선거 쉿, 누굴 뽑았는지 알리면 안 돼! -선거의 4대 원칙 반장은 반에서, 학생회장은 학교 전체에서 -선거구 반장은 몇 표를 얻어야 할까? -소수 대표제, 다수 대표제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고? -비례 대표제 돈 없으면 선거에도 못 나가나? -선거 공영제 당선되면 공약은 ‘뻥이야’? -매니페스토 제도 왜 무소속으로 대통령에 당선된 사람은 없을까? -정당의 역할 학교 매점이 하나여서 불편하다면? -정당 제도 ‘학생 없는 학생회’는 잘될까? -정당 정치의 문제점 학생 식당이 비싸고 맛없다면? -이익 집단 활동 ① 촌지? 치맛바람? -이익 집단 활동 ② 장래 희망이 시민 단체 활동가? -시민 단체 청소년이 스스로 만든 단체도 있다! -청소년 단체 촛불 시위의 의미를 기억해! -여론의 중요성 건의 사항을 미리 검사받아야 한다면? -언론 자유 ① 학교 신문에서 교장 선생님을 비판한다면? -언론 자유 ② 광고주가 왕 노릇 한다고? -언론 자유 ③ 우리도 언론인! -청소년이 만드는 대안 언론 거짓말하는 언론도 있다! -올바른 대중 매체 활용 자세 3부. 우리나라 헌법은 어떤 내용? 정치는 법에 따라, 법은 정치에 따라! -법과 정치의 관계 우리나라 헌법의 특징은? -성문 헌법, 경성 헌법 우리나라 헌법은 어떻게 바뀌었나? -헌법 개정의 역사 ① 독재를 위해 헌법이 계속 바뀌었다고? -헌법 개정의 역사 ② 국민의 항쟁과 민주화의 시작 -헌법 개정의 역사 ③ 우리 헌법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졌을까? -헌법의 원칙 ① 국민주권 모두가 잘살 권리가 있다! -헌법의 원칙 ② 복지국가 우리나라만 편하면 될까? -헌법의 원칙 ③ 국제 평화주의 통일은 왜 해야 할까? -헌법의 원칙 ④ 평화 통일 지향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란 무엇일까? -기본권의 성격 경찰이 지나가는 사람의 머리카락을 자른다고? -기본권 제한의 한계 내가 가진 천부 인권은 무엇일까? -기본권의 내용 ① 평등권 몸과 마음을 자유롭게! -기본권의 내용 ② 자유권 정치는 내 손으로! -기본권의 내용 ③ 참정권 사람답게 살 권리! -기본권의 내용 ④ 사회권 권리 보장을 위한 권리 -기본권의 내용 ⑤ 청구권 나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무얼 해야 하나? -국민의 의무 4부. 국민의 권리 실현을 위한 국가 기관 국회는 어떤 곳일까? -입법부의 역할 국회 의원에게는 특권이 있다고? -국회 의원의 특권 헌법과 법률은 어떻게 만들고 고칠까? -입법 과정 국회에는 무슨 문제가? -오늘날 의회의 문제 행정부는 무엇을 하는 곳이지? -행정부의 구성과 역할 대통령은 무슨 일을 할까? -대통령의 권한과 역할 법원은 무서운 곳인가, 정의를 실현하는 곳인가? -사법부의 역할 일반 국민이 재판을 한다고? -배심원 제도 왜 재판은 세 번이나 할까? -법원 조직과 심급 제도 헌법 재판이 뭘까? -헌법 재판소의 권한과 역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