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0년 12월 18일 |
---|---|
쪽수, 무게, 크기 | 376쪽 | 680g | 152*225*30mm |
ISBN13 | 9791189580575 |
ISBN10 | 1189580578 |
발행일 | 2020년 12월 18일 |
---|---|
쪽수, 무게, 크기 | 376쪽 | 680g | 152*225*30mm |
ISBN13 | 9791189580575 |
ISBN10 | 1189580578 |
MD 한마디
IT 기술력을 앞세워 가상 세계를 만들어가는가 하면, 자체 보유 기술은 부족하더라도 온라인 게임 캐릭터 등 또다른 세계의 힘을 빌어 매출을 높이고자 하는 사람들, 메타버스 속 이야기다. 스노우카메라부터 아마존, 루이비통까지. 메타버스를 통해 시장을 구축해가는 이들의 모습을 담은 책이다. -경제경영MD 강민지
Prologue 갑자기 다가온 언택트 세상? 사실은 나만 몰랐던 메타버스 메타버스를 거부한다면, 우리는 모르핀에 중독된 쥐가 된다 메타버스를 여행하는 탐험가 메타버스 여행 가이드 1. 인류는 디지털 지구로 이주한다 새로운 세상, 디지털 지구, 메타버스의 탄생 디지털 테라포밍: 호모 사피엔스, 파베르, 루덴스 & 데우스 같지만 서로 다른 세상에 사는 X, Y, Z세대 말하기를 다시 배워야하는 세상 디지털 지구, 메타버스에 올라타라 2. 증강현실 세계: 현실에 판타지 & 편의를 입히다 현실 세계 + 판타지 + 편의 = 증강현실 세계 0.005%만 취하는 뇌: 게으른 뇌가 선택한 쾌락 후퇴하는 호모 사피엔스: 자막 없는 영상의 몰락 현빈 & 박신혜가 보여준 메타버스: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21세기 봉이 김선달: 나이앤틱의 지구 땅따먹기 코카콜라의 텔레포트: 싱가포르에 눈을 뿌리다 도둑질 대회: 대박 난 호텔의 비결 돈 내고 감옥에 갇히는 Z세대: 방탈출 카페 증강현실로 탄생한 또 다른 나: 스노우 & 제페토 증강현실이 만들어낸 스마트 팩토리: 에어버스 & BMW 메타버스의 미래 또는 그림자 #1: 증강현실 콩깍지 3. 라이프로깅 세계: 내 삶을 디지털 공간에 복제한다 현실의 나 - 보여주고 싶지 않은 나 + 이상적인 나 = 라이프로깅 세계 메타버스 속 친구의 의미: 인생의 동반자 vs. 여행의 동반자 메타버스 속 스키너 상자: 상처받은 뇌를 위한 안식처 뇌의 전속 질주: 40% 더 빨라지는 시간 우리는 서로를 돕는 멍청한 개미이다 21세기 지킬과 하이드: 멀티 페르소나 메타버스에는 외톨이가 없다 ‘인간극장’에서부터 ‘나 혼자 산다’까지 사생활 판매 경제: 방학 일기는 안 썼지만, 브이로그는 꼭 한다 흥한 페이스북, 유튜브 vs. 망한 싸이월드 나는 널 언제라도 자를 수 있어! 세계인의 운동 기록을 삼킨 나이키 메타버스 메타버스의 미래 또는 그림자 #2: 유튜브 다음은 뷰튜브 메타버스의 미래 또는 그림자 #3: 브레인 투어 4. 거울 세계: 세상을 디지털 공간에 복제한다 현실 세계 + 효율성 + 확장성 = 거울 세계 땅콩 먹는 원숭이의 뇌 구글은 왜 지도를 만들까? 마인크래프트 세상을 3조 원에 사들인 마이크로소프트 방 없는 호텔: 에어비앤비 요리 안 하는 식당: 배달의 민족 에이즈 백신을 탄생시킨 디지털 실험실 하버드보다 입학하기 어려운 대학: 미네르바스쿨 언택트 세상, 모두의 교실이 된 Zoom 블록체인으로 만들어진 거울 세계: 업랜드 한국인의 94.9%가 이주: 카카오 유니버스 에이즈 백신을 탄생시킨 디지털 실험실 슬픔을 비추는 거울: 댓드래곤캔서 메타버스의 미래 또는 그림자 #4: 핑크빛 평등 5. 가상 세계: 어디에도 없던 세상을 창조한다 신세계 + 소통 + 놀이 = 가상 세계 젊은 야만인의 놀이터 초인을 키우는 놀이터 멘탈 시뮬레이션 플랫폼 코로나19 이전에 이미 역병을 이겨낸 WoW 로블록스 메타버스의 주인이 된 아이들 가상 세계 속 시간 여행: 레드데드온라인 & 사이버펑크2077 메타버스 속 인공지능 오토와 인간의 투쟁 가상 세계로 들어간 기업들: 광고를 삼키는 포트나이트 가상 세계로 떠난 명품: 루이비통과 LoL의 콜라보 현실이 된 SF영화: 레디플레이어원 & 하프라이프 알릭스 메타버스로 진출한 정치인: 모동숲에 깃발을 꽂은 바이든 메타버스의 미래 또는 그림자 #5: 기억거래소, 헤븐 서버는 등장할까? 6. 메타버스, 이렇게 개척하자 삼성전자: 사이버펑크2077에 제품을 깔아보자 SK바이오팜: 디지털 실험실을 오픈하자 현대자동차: 매드맥스 세계관을 넣어보자 LG화학: 메타버스에 화학공장을 건설하자 카카오: 자서전을 대신 써주자 빙그레: 로블록스에 빙그레우스 궁전을 건설하자 국순당: GTA 온라인에 주점을 차리자 아모레퍼시픽: 메타버스에 디지털 화장품을 팔자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위버스에 K팝 왕국을 건설하자 CJ대한통운: 거울 세계에 이야기를 입히자 7. 메타버스가 낙원은 아니다 현실은 소멸되는가? 메타버스와 현실의 관계 도피인가? 도전인가? 그 세상도 내게는 피곤하다 아마존이 진짜 무서운 이유, 메타버스의 거대한 손 가진 게 없으나 모든 것을 다 가진 자 vs. 네 것이 맞냐? 메타버스 속 헝거게임 NPC, 인공지능에게 인권이 있을까? 우리는 나이, 성별, 이름을 묻지 않습니다 폭발하는 공격성 Epilogue 장자의 꿈 & 매트릭스 메타버스 사용법 & 주의사항 인터넷, 스마트폰, 그 다음은 메타버스? 메타버스의 미래 |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메타버스
저자 김상균
우리의 삶에 언제부턴가 심심치 않게 들려오는'메타버스'
유명 아이돌 걸그룹은 멤버의 인물을 본따 가상의 캐릭터를 만들어냈고,
일반인들은 게임속에서는 자신만의 아바타를 만들고 꾸미며,
증강 현실을 통해 화면 속 나타나는 가상의 인물을 접하기도 한다.
우리의 생활상이 급속도로 변해가며 더해지는 편리함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낯선 세상에 대한 걱정이 밀려오기도 한다.
"도대체 그 '메타버스' 란 뭘까?"
"우리는 어디로 흘러가고 있을까?"
코로나 19를 겪으며, 한단어가 새롭게 등장한다.
접촉을 뜻하는 콘택트 contact 와 반대를 뜻하는 언 un- 을 합쳐서 만든 신조어 언택트
비대면, 원격교육, 줌 등 이른바 언택트 시대, 언택트 세계는 코로나19 이전에도 존재 했지만,
코로나19를 겪으며 현실속에서 제약을 겪는 상황들을 해결하고, 이제는 자연스레 일반적인 문화가 되었다.
이러한 언택트 세계를 우리는 메타버스 라고 한다.
스마트폰, 컴퓨터, 인터넷 등 디지털 미디어에 담긴 새로운 세상,
인간이 디지털 기술로 현실세계를 초월해서 만들어낸 여러 세계,
가상 meta 와 우주 를 뜻하는 universe 의 합성어.
메타버스는 말그대로 현실을 초월한 가상의 세계 를 의미한다.
375p 남짓한 페이지를 넘겨가며,
메타버스를 여행하는것은 나에게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메타버스가 이미 현실 속 우리 삶에 녹아들어 있음에 놀랍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 메타버스가 어디까지 우리의 삶을 바꿔 놓을지,
두려움과 함께 기대감이 들기도 했다.
내가 찾아가는 맛집의 주소를 알기 위해 네이버 맵을 켜고,
내 일상을 공유하며 인스타그램을 통해 소통하고,
배달 앱을 켜서 편리하게 주문을 하고.
이미 삶의 변화는 시작 되었고, 우리가 그것을 누리고 있다면,
아무 것도 모른채 흘러가는 변화에 편승하기보다는
내가 직접 그 변화에 탑승하는 것은 어떨까?
메타버스가 반드시 낙원은 아니지만,
새로운 가치와 편리함, 거기서 오는 이익을 이용하고 얻을 수 있다면,
이 순간에도 우리와 연결 되있을 메타버스를 우리는 탐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상상의 나래를 넓게 펼치시면 좋겠습니다.
새로운 메타버스에서 우리 아이들이 어떻게 학습하고 성장할지,
기업경영과 산업 환경이 어떻게 진화할지, 상상해 보시길 바랍니다.
소설 '데미안' 의 싱클레어처럼 알을 깨고
메타버스로 날아가시기 바랍니다.
-2020년 10월 10일, 소중한 날에 김상균 올림-
쌓여가는 지식 속에서 점차 기술이 발달하는 정도가 급격해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라는 직격타를 맞이하면서 언택트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온라인 강의 화상 회의, 채팅 재택근무 등
온라인으로 많은 것들이 이뤄졌다.'
해외에서는 몇몇 기업들이 온라인으로 진행되던것이
보수적인 문화를 지닌 한국에서도 코로나라는 변수를 맞이하여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