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런던은 건축
걷고 싶은 날의 런던 건축 안내서
베스트
예술 top100 2주
가격
14,000
10 12,600
YES포인트?
7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태그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서문
용어해설
걷기 여행 1, 2, 3

1 런던 정경대 소 스위 혹 학생회관
2 존 손 경 박물관
3 브런즈윅 센터
4 로열 발레 학교의 염원의 다리
5 매기의 바트
6 넘버원 폴트리
7 블룸버그 본사
8 바비칸 에스테이트
9 세인트 폴 대성당
10 센터 포인트
11 로이드 빌딩
12 스미스필드 마켓
13 선 레인 룸스
14 대영박물관
15 밀레니엄 브리지
16 M 바이 몽캄
17 20 펜처치 스트리트
18 런던 아쿼틱스 센터
19 화이트채플 갤러리
20 윌튼스 뮤직홀
21 세인트 폴스 보 커먼
22 리오 시네마
23 아일 오브 독스 양수장
24 푸르니에 스트리트
25 테이트 모던
26 옥소 타워 워프
27 리볼리 볼룸
28 덜위치 픽처 갤러리
29 엘텀 팰리스
30 라반 빌딩
31 더 샤드
32 배터시 발전소
33 국립극장
34 뉴포트 스트리트 갤러리
35 더 채플
36 사우스 런던 갤러리
37 페컴 도서관
38 골드스미스 현대미술센터
39 서펜타인 새클러 갤러리
40 이스마일리 센터
41 디자인 박물관
42 월머 야드
43 미쉐린 하우스
44 웨스트민스터 지하철역
45 트렐릭 타워
46 영국 왕립 건축가 협회
47 후버 빌딩
48 큐 왕립 식물원
49 콜 드롭스 야드
50 왕립 의사회
51 BAPS 슈리 스와미나라얀만디르 (니스덴 사원)
52 런던 이소콘 플래츠
53 하이게이트 공동묘지
54 켄우드 하우스

런던은 건축 여행, 박찬용
런던 안에서, 임지선
나의 다음 런던은, 강수정

저자 소개6

수자타 버먼

 

Sujata Burman

저널리스트인 수자타 버먼은 런던에서 태어나서 줄곧 살았다. 런던 건축의 진화와 함께 성장한 그녀는 현재 〈월페이퍼*〉의 온라인 디자인 에디터로 근무하며 디자인과 관련된 전문 지식을 전하고 있다. 가장 좋아하는 런던의 랜드마크는 후버 빌딩(No.47)인데, 1930년대에 지어진 이 아르데코 건물의 슈퍼마켓에서 쇼핑카트를 탔던 어린 시절의 향수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로사 베르톨리

 

Rosa Bertoli

로사 베르톨리는 이탈리아 우디네에서 태어났고 지금은 런던에 살고 있다. 역시 〈월페이퍼*〉의 디자인 에디터인 로사는 다양한 스타일의 디자인과 건축, 예술이 서로 어우러지며 공존하는 모습에 특히 매력을 느낀다. 폐쇄된 발전소를 개조한 곳부터 모더니즘과 브루탈리즘의 정수를 담아낸 곳에 이르기까지 런던 건축의 다채로운 풍경을 재발견하는 일에 지칠줄 모르는 열정을 쏟고 있다.

박찬용

 
잡지 에디터, 저자. 1983년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다. 서강대학교 영미어문학과를 졸업하고 내내 라이프스타일 잡지 업계에서 일했다. ‘라이프스타일’이라 부르는 소비생활의 여러 요소를 조사하고 취재해 지면 정보 형태로 정리해 왔다. ‘한국에서 프로 잡지 에디터 직군이 성립 가능한가’와 ‘서울에서 선진 잡지형 콘텐츠 비즈니스가 지속 가능한가’를 계속 고민하고 있다. 2023년 현재 남성 패션 잡지 [아레나옴므플러스] 피처 디렉터다. 『요즘 브랜드』 『모던 키친』 등 대도시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생활에 관련된 책을 냈다.

박찬용의 다른 상품

임지선

 
런던에서 Workshop Lim이라는 스튜디오를 꾸리며 재미난 건축작업을 모색중이다. Covid19 Pandemic 락다운 동안 동네풍경을 기록한 사진을 모아 ‘Framing the Local’이라는 제목으로 전시를 열었다.

사진태런 윌쿠

 

Taran Wilkhu

요크셔에서 태어난 태런 윌쿠는 런던 남부의 목골조 주택에서 살고 있는데, 자가건축 시스템을 개발한 월터 시걸의 디자인으로 지은 집이다. 여행과 패션, 영화와 방송계를 두루 거친 태런은 이제 그 창의력과 열정을 사진에 쏟고 있다. 라이프스타일과 건축을 다룬 그의 작품은 〈타임스〉와 〈가디언〉, 〈텔레그래프〉, 〈디진Deezeen〉과 〈모노클〉을 비롯한 여러 매체에 수록되었다.

강수정

 
어려서 책장 한쪽에 〈문학사상〉과 〈현대문학〉이 빼곡했다. 어린이 세계문학전집을 뗀 후로 엄마가 구독하던 그 월간지들을 손에 잡히는 대로 뽑아서 시와 단편소설을 읽었다. 그 탓인지 전공과 전혀 무관한 출판 쪽 일을 하게 되었고, 출판사와 잡지사를 들락거리다가 전업으로 번역을 시작한 지도 얼추 스무 해 가까이 되어간다. 연세대를 졸업한 후 출판사와 잡지사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는 『오만과 편견』, 『모비 딕』, 『태어나서 처음으로』, 『손으로 말하고 슬퍼하고 사랑하고』, 『웨인 티보 달콤한 풍경』, 『시스터스 : 우린 자매니까』,
어려서 책장 한쪽에 〈문학사상〉과 〈현대문학〉이 빼곡했다. 어린이 세계문학전집을 뗀 후로 엄마가 구독하던 그 월간지들을 손에 잡히는 대로 뽑아서 시와 단편소설을 읽었다. 그 탓인지 전공과 전혀 무관한 출판 쪽 일을 하게 되었고, 출판사와 잡지사를 들락거리다가 전업으로 번역을 시작한 지도 얼추 스무 해 가까이 되어간다.

연세대를 졸업한 후 출판사와 잡지사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는 『오만과 편견』, 『모비 딕』, 『태어나서 처음으로』, 『손으로 말하고 슬퍼하고 사랑하고』, 『웨인 티보 달콤한 풍경』, 『시스터스 : 우린 자매니까』, 『마지막 기회라니?』, 『베아트릭스 포터의 집』, 『신도 버린 사람들』, 『여기, 우리가 만나는 곳』, 『우리 시대의 화가』, 『보르헤스에게 가는 길』, 『그랜드마더스』 등이 있다.

강수정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07월 12일
쪽수, 무게, 크기
200쪽 | 232g | 113*162*13mm
ISBN13
9791190314084

출판사 리뷰

정보만으로는 부족하다. 중요한 건 의견이다!

검색만 하면 원하는 정보가 온라인에 가득한데 굳이 가이드북을 살 이유가 있을까? 맞는 말이다. 하지만 장황한 정보보다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제시하는 의견을 더 좋아하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요즘처럼 정보가 넘치는 시대란 없었으니까.
런던 최고의 건물을 엄선해 소개하는 이 책 〈런던은 건축〉은 뻔뻔할 정도로 짧은 가이드북이다. 디자인/건축 전문 매체 〈월페이퍼*〉의 에디터인 두 저자의 박식한 해설에 〈타임스〉, 〈가디언〉, 〈모노클〉과 일하는 포토그래퍼 태런 윌쿠의 탁월한 사진을 더한 이 리스트는 런던의 뛰어난 건축을 오감으로 느끼고 싶은 사람에게 더없이 알맞다. 또한 이 리스트를 바탕으로 걷기 여행 코스를 제안했는데 5~10가지 건축물을 반나절 안에 돌아볼 수 있는 적절한 동선이라 부담없이 알차다.

왜 런던은 건축일까?

건물은 스토리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 스토리(storey)라는 영어 단어에는 건물의 ‘층’이라는 뜻도 있기 때문이다. 스토리는 그림을 그려 넣은 일련의 창문을 의미하는 중세 라틴어 ‘히스토리아’에서 유래했으며, 실제로 인물을 그려 넣은 그림이나 조각(이를테면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을 모두 스토리(story)라고 칭하던 때도 있었다.
그렇다면 런던이라는 도시는 도대체 얼마나 방대한 도서관인 셈인가. 문득 모든 건물이 누가 읽어 주길, 또는 새롭게 쓰이길, 아니면 다시 회자되길 기다리는 책이 된다. 이 얼마나 도시를 상상하는 매력적인 방법인가!
매년 9월 런던에선 최고의 건물들을 자유롭게 출입하며 감상할 수 있는 축제, ‘오픈하우스 런던’이 열린다. 다채로운 풍경과 개성있는 건물이 어우러진 ‘건축의 도시’ 런던이기에 이 이벤트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극복하며 올해 서른 번째 오픈한다.

17세기 네오클래식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런던이라는 도시는 얼마나 방대한 도서관인가!


건물들이 들려주는 스토리는 처음에 짐작했던 것과 번번이 다르다. 런던 도심에서 웅장한 자태를 자랑하는 포스트모더니즘 건축물 넘버원 폴트리(No.6)만 해도 그렇다. 설계가가 이미 세상을 떠난 후 80년대의 디자인을 90년대에 완성한 이 건물을 대부분의 비평가들이 웃음거리로 취급했던 게 불과 얼마 전이다. 그런데 지금은 순수주의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장난스러운 에너지를 발하는 이 건물을 모두 사랑한다. 어쩌면 계속해서 변모하는 도시에서 건물들은 그렇게 자신의 이야기를 계속 고쳐 쓰는 건지도 모른다.
거나하게 점심을 먹은 은행장의 옆구리처럼 불룩한 형태의 워키토키(No.17)는 또 어떤가? 영감을 고스란히 현실로 만들어 냈다는 점에서는 물론 완벽하다. 그러니 이곳을 너무 미워하지 말자. (어쩌면 의외로 마음에 들어서 깜짝 놀랄 수도 있다.)
인파로 북적이는 코벤트 가든을 지나다 보면 멋진 콘서티나(아코디언 비슷한 6각형 악기) 같은 ‘로열 발레 학교의 염원의 다리(No.4)’를 못 보고 지나치기 십상이다. 그래서 가끔 하늘을 봐야 하는 모양이다. 건물과 건물 사이의 연결통로인 이 다리는 발레리나의 동작처럼 우아한 모습이다.
힐링이 절실한 대도시 사람들에게 런던에서 가장 오래되고 근사한 녹지대 속 켄우드 하우스(No.54)는 어떨까? 17세기에 지어진 이 아름다운 네오클래식 저택은 사실 철거 위기에 처했었다. 다행히 이 집은 (유명 주류회사 회장을 지낸) 에드워드 세실 기네스가 1925년에 구입했고, 그는 공동체를 위해 공원과 갤러리로 꾸며 무료로 개방하기로 했다. 그의 유지는 지금까지 지켜지고 있다.
지금 여러분이 손에 들고 있는 이 책에는 이렇게나 변덕스럽고 혹은 웃음을 자아내는 이례적이고 도전적인 건물들이 가득하다. 신중한 고민을 거쳐 선정된 건물들은 시간을 내서 찾아가 볼 가치가 충분하다.

당신의 다음 런던을 위한 세 가지 관점 (저널리스트 박찬용, 런던의 건축가 임지선, 번역가 강수정의 에세이를 수록한 팬데믹 에디션)

이 책은 팬데믹 에디션이다. 세 사람의 필자가 런던과 건축 여행을 주제로 쓴 에세이를 수록했다. 코로나19 상황이라는 지금, 그리고 일상을 회복하고 다시 여행하게 될 가까운 미래를 생각하며 쓴 글들이다.
첫 해외 여행지가 런던, 마지막 출장지도 런던인 저널리스트 박찬용은 건축 여행을 좋아한다. 건축물을 찾아가는 남다른 동선이 여행의 우연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런던은 그가 최적의 건축 여행지로 추천하는 곳 중 하나다.

“건축 여행을 떠나기에 런던은 아주 좋은 도시 중 하나다. … 런던은 옛것을 유지하는 동시에 새것을 받아들이는 감각이 좀 특이하다. 단순히 헐어 버리고 새로 짓거나, 그냥 오래됐다고 남겨 놓는 수준이 아니다. 괴팍할 만큼 보수적이면서도 정신 나갔다 싶을 만큼 전위적이고, 그러면서도 앞뒤가 딱딱 맞는 이상한 논리가 런던에는 있다.”

건축가 임지선은 2004년 런던에 정착한 이래 이토록 텅빈 풍경은 처음이었다. 관광객과 다양한 인종으로 늘 활기가 넘치던 거리에서 생기라곤 찾아볼 수 없는 날들이 지속되었다. 런던 북부 이즐링턴에 발이 묶인 채 옴짝달싹 못할 뿐이었다. 그런데 이런 상황이 오히려 오랜 관심사였던 지역 건축을 대면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임지선은 코로나19 이후 다시 활기를 띠게 될 도시 여행을 이렇게 제안한다.

“건축물의 외피를 우리가 걸치는 옷에 비유할 수 있다면, 코로나 이후 런던을 다시 찾을 때 건축물들이 입고 있는 옷을 가까이서 접촉해 보길 권한다. 못 본 새 어딘가 변했는지 낯설지만 눈에 익은 코트를 걸치고 등장한 친구를 만난 듯, 런던과의 대면 접촉은 우려보다 편안하고 기대보다 훨씬 반가울지 모른다.”

런던에 처음 갔을 때가 봄이었던 번역가 강수정은 다음 봄의 런던을 기대한다.

“봄을 기다리는 마음은 늘 섣부르지만 봄이 올 거라고 믿는 마음에 봄은 온다. 그곳에 다시 가게 된다면 더 구석구석 깊숙이 길을 헤매 보고 싶다.”

런던에서 첫인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건물은 단연코 하나도 없다. 어쩌면 뛰어난 건물들은 그렇게 다층적인 면모를 지니는지도 모른다. 이 작은 책에는 수많은 스토리가 담겨 있고, 그중에 짧은 이야기는 하나도 없다.
12,600
1 12,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