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우리 사이에는 : 양과 늑대의 이야기
양장
신순재조미자 그림
천개의바람 2025.05.22.
가격
15,000
10 13,500
크레마머니 최대혜택가?
12,000원
YES포인트?
7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바람 그림책

이 상품의 태그

카드뉴스로 보는 책

카드뉴스0
카드뉴스1
카드뉴스2
카드뉴스3
카드뉴스4
카드뉴스5
카드뉴스6
카드뉴스7

상세 이미지

책소개

저자 소개2

신순재

 
그림책과 동화를 씁니다. 그동안 『양과 늑대의 이야기 문제가 문제야』, 『딱 알맞은 집』, 『한발 늦었네』, 『우리 할머니, 제인』, 『시인 아저씨, 국수 드세요』 등의 그림책과 『외계어 받아쓰기』 등의 동화를 썼습니다.

신순재의 다른 상품

그림조미자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강원도 춘천에서 그림책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창작 그림책으로 『어느 공원의 하루』, 『거미가 줄을 타고 올라갑니다』, 『노란 잠수함을 타고』, 『바람이 살랑』 ,『보글 보글 퐁퐁』, 『내 방에서 잘 거야』, 『내가 싼 게 아니야』, 『걱정 상자』, 『불안』, 『가끔씩 나는』, 『타이어 월드』, 『두 발을 담그고』, 『깜깜하지 않은 밤에』, 『책 속으로』 등이 있다. 『축하합니다』 그림책에 글을 쓰고, 『마음이 퐁퐁퐁』, 『꼴뚜기』, 『미운 오리 새끼를 읽은 아기 오리 삼 남매』 등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홈페이지 www.chomija.modoo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강원도 춘천에서 그림책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창작 그림책으로 『어느 공원의 하루』, 『거미가 줄을 타고 올라갑니다』, 『노란 잠수함을 타고』, 『바람이 살랑』 ,『보글 보글 퐁퐁』, 『내 방에서 잘 거야』, 『내가 싼 게 아니야』, 『걱정 상자』, 『불안』, 『가끔씩 나는』, 『타이어 월드』, 『두 발을 담그고』, 『깜깜하지 않은 밤에』, 『책 속으로』 등이 있다. 『축하합니다』 그림책에 글을 쓰고, 『마음이 퐁퐁퐁』, 『꼴뚜기』, 『미운 오리 새끼를 읽은 아기 오리 삼 남매』 등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홈페이지 www.chomija.modoo.at 인스타그램 @chomija.river

조미자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5년 05월 22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40쪽 | 228*250*15mm
ISBN13
9791165736309
KC인증
kc마크 인증유형 : 적합성확인

출판사 리뷰

● 함께 살아가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 〈사이〉

〈양과 늑대의 이야기_ 우리 사이에는〉을 처음 보았을 때 정현종 시인의 [섬]이라는 시가 떠올랐습니다.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 싶다

섬을 두고 누구는 외로움을 이야기한다 하고, 누구는 사람과 사람을 잇는 관계, 즉 연결고리라고도 합니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시. 그런데 정말 중요한 건 섬보다 ‘사이’라는 단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외로움도 관계도, 모두 나와 너 ‘사이’라는 말이 존재해야 이야기할 수 있으니까요. 사이 또는 관계는, 사람이 사회 안에서 살아갈 때 떼려야 뗄 수 없는 단어일 것입니다. 이것은 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두에게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런 까닭에 〈양과 늑대의 이야기_ 우리 사이에는〉은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사이’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습니다. 양과 늑대의 평범한 일상을 통해 가벼우면서도 중요한 문제를 깊게 생각하도록 이끌고 있지요.

나와 너 사이에는 길이 있어.
너와 나 사이에 때로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있어.
너와 나 사이에 다른 누군가가 끼어들기도 해.

눈으로 볼 수 있는 시각적인 부분부터, 보이지 않는 감정적인 마음, 그리고 여러 사람이 얽히는 관계까지. 〈양과 늑대의 이야기_ 우리 사이에는〉은 다양한 사이들을 예로 들어 줍니다. 이를 통해 어린 독자는 상대와 나 사이에서 균형을 잃지 않고 즐거운 관계를 맺는 방법을 떠올려볼 수 있습니다.
● 다른 사람과 관계 맺기를 응원하는 그림책

〈양과 늑대의 이야기_ 우리 사이에는〉은 양과 늑대가 서로 친구가 될 수 없는 사이라는 불안감을 시작으로 다양한 사이들을 이야기합니다. 너와 나의 관계부터 시작된 대화는 사물과 사물 간의 거리, 우주의 빈 공간으로 확장되지요. 이를 통해 신순재 작가는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요?

바위와 바위 사이에 틈이 있어서
시냇물이 졸졸졸 흘러내릴 수 있는 것처럼,
별과 별 사이 캄캄한 어둠이 있어서
별이 더 밝게 빛나는 것처럼!

세상은 무수한 ‘사이’로 가득합니다. 집과 집 사이에 놀이터라는 공간이 있어서 아이들이 뛰어놀고, 수업과 수업 사이에 쉬는 시간이 있어서 공부에서 벗어나 쉴 수 있으며, 친구와 친구 사이에 틈이 있어서 비집고 들어가 삼총사가 되기도 합니다. 사이는 비어 있으면서, 동시에 채워져 있습니다.
〈양과 늑대의 이야기_ 우리 사이에는〉은 비어 있거나 때론 채워져 있는 자유로운 ‘사이’가 있기에 새롭고 재밌는 공간이 만들어지고, 여유가 생기며, 즐거운 관계가 맺어질 수 있음을 알려 줍니다. 누군가와 관계를 맺는 일이 아직 서툰 독자들에게 어떤 사이, 무슨 사이에 집착하지 말고 편안한 자세를 가지라고 응원하고 있습니다.

● 이야기의 주제를 독자가 ‘공감’ 할 수 있도록 만든 구성

문장과 문장 사이에 무엇이 있나요? 장면과 장면과 사이에 무엇이 있나요? 신순재 작가의 글과 조미자 작가의 그림 사이에 무엇이 있나요? 〈양과 늑대의 이야기_ 우리 사이에는〉을 보다 보면 문장과 문장 사이에 행간이 넓고, 대사체는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습니다. 또 문답으로 이루어진 글과 그런 글을 색으로 표현한 그림 사이에도 동양화처럼 여백이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양과 늑대의 이야기_ 우리 사이에는〉을 단순히 재밌게 보고 끝낼 것이 아니라, 양과 늑대가 주고받는 대화를 읽으며 함께 생각하고 이야기에도 참여하도록 끌어들이기 위함입니다. 〈양과 늑대의 이야기_ 우리 사이에는〉은 그림책과 독자 사이에 충분한 ‘공감’과 ‘이해’가 만들어져서, 독자들이 주제를 확장시켜 생각하고 즐길 수 있게 합니다.
13,500
1 13,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