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베스트
서양사/서양문화 top100 1주
가격
35,000
35,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시리즈 2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뷰타입 변경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책소개

목차

제 3 부
-표트르 대제를 바라보는 학계와 러시아 사회의 여러 시각들
-17세기 말 모스크바의 정치정세와 생활사정
-표트르 대제 시대
표트르의 유년시절과 소년시절(1672~1689)
1689~1699
1700년 이래 표트르의 대외정책
1700년 이래 표트르의 대내 활동
표트르의 활동에 대한 당대인들의 태도
표트르의 가족관계
표트르 활동의 역사적 의의
-표트르 대제에서 옐리자베타 등극에 이르기까지의 시대(1725~1741)
1725년부터 1741년까지의 궁정 사건들
1725년부터 1741년까지의 통치와 정책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시대(1741~1761)
옐리자베타 시대의 통치와 정책
-표트르 3세와 1762년의 정변
-예카테리나 2세 시대(1762~1796)
예카테리나 2세의 입법활동
예카테리나 2세의 대외정책
예카테리나 2세 활동의 역사적 의의
-파벨 1세 시대(1796~1801)
-알렉산드르 1세 시대(1801~1825)
-니콜라이 1세 시대(1825~1855)
-황제 알렉산드르 2세 시대와 대개혁에 대한 간략한 개요

부록 1 러시아와 인접 국가의 역사적 주요 사건 연표
부록 2 용어 해설
부록 3 주요 러시아사 사료 및 사료집 목록
부록 4 러시아 왕조 계보도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
약력

저자 소개2

세르게이 표도로비치 플라토노프

관심작가 알림신청
 
1860년 체르니고프에서 태어난 세르게이 표도로비치 플라토노프는 9세 때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1879년부터 1882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의 역사-문헌학 학부에서 수학하였다. 1888년 17세기 동란시대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890년 모교인 페테르부르크대학의 러시아사 교수직에 임명되어 1916년까지 재직하였다. 이 기간 동안 로마노프조 황실의 몇몇 아이들을 개인적으로 가르치기도 하였으며, 여자 교육대학을 1905년부터 1916년까지 책임지기도 하였다. 사회주의 혁명 후인 1920년에는 소비에트 정부와 폴란드 사이에 맺어진 리가조약의 협상
1860년 체르니고프에서 태어난 세르게이 표도로비치 플라토노프는 9세 때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1879년부터 1882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의 역사-문헌학 학부에서 수학하였다. 1888년 17세기 동란시대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890년 모교인 페테르부르크대학의 러시아사 교수직에 임명되어 1916년까지 재직하였다. 이 기간 동안 로마노프조 황실의 몇몇 아이들을 개인적으로 가르치기도 하였으며, 여자 교육대학을 1905년부터 1916년까지 책임지기도 하였다. 사회주의 혁명 후인 1920년에는 소비에트 정부와 폴란드 사이에 맺어진 리가조약의 협상에 전문가로 참여하였다. 또 같은 해에 소비에트 학술원 정회원이 되어, 소련 정권의 전복이라는 근거 없는 혐의로 스탈린 테러의 희생물이 되었던 1929년까지 학술원 도서관 관장이자 학술원 연구소인 푸시킨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5년 유형형을 받은 그는 1933년 유형지인 볼가강 유역의 사마라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러시아사 강의』외에『보리스 고두노프』,『이반 뇌제』,『동란시대』,『표트르 대제』등이 있다.

세르게이 표도로비치 플라토노프의 다른 상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러시아사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사는 스탈린 시대의 소련사이며, 최근에는 냉전기 소련 사회의 연구에도 힘을 쏟고 있다. 스탈린 시대의 노동 수용소와 흐루쇼프 시대의 소련 사회, 소련과 냉전 등 소련사의 다양한 주제에 관해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함께 쓴 책으로 『세계화 시대의 서양 현대사』, 『러시아의 민족 정책과 역사학』, 『세계의 과거사 청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유럽 1950-2017』, 『러시아사 강의 1·2』, 『레닌』, 『코뮤니스트』, 『얄타에서 베를린까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러시아사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사는 스탈린 시대의 소련사이며, 최근에는 냉전기 소련 사회의 연구에도 힘을 쏟고 있다. 스탈린 시대의 노동 수용소와 흐루쇼프 시대의 소련 사회, 소련과 냉전 등 소련사의 다양한 주제에 관해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함께 쓴 책으로 『세계화 시대의 서양 현대사』, 『러시아의 민족 정책과 역사학』, 『세계의 과거사 청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유럽 1950-2017』, 『러시아사 강의 1·2』, 『레닌』, 『코뮤니스트』, 『얄타에서 베를린까지』, 『실패한 제국 1·2』 등이 있다.

김남섭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09년 11월 25일
쪽수, 무게, 크기
608쪽 | 978g | 148*210*35mm
ISBN13
9788930084352

출판사 리뷰

혁명 이전의 저명한 러시아 역사가 플라토노프의 대작을 완역하다
이 책은 아직까지 한국에서 일반 독자는 물론이고 학계에도 거의 알려지지 않은 저자 세르게이 표도로비치 플라토노프가 1917년에 출간한《러시아사 강의》를 우리말로 그대로 옮긴 것이다. 1890년 페테르부르크대학의 러시아사 교수직에 임명된 플라토노프는 그 후 페테르부르크 역사학계의 대표적인 인물로 성장하여 일생 동안 일급 러시아사 연구자로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엄청난 주목을 받았다.
이 책의 본문은 크게 3부로 나뉘어져 있으며, 서문 격으로 러시아사의 대상과 과제 및 플라토노프 자신의 시각을 서술하고 기존의 러시아 역사연구에 대한 개요와 사료들에 대한 개관을 제공하는 긴 장이 첨부되어 있다. 본문의 제1부는 러시아 국가의 기원이 시작된 8~9세기로부터 키예프와 수즈달 및 노브고로드를 비롯한 모스크바 이외의 루시에 대한 서술을 거쳐 15세기 말~16세기 초 모스크바 공국의 이반 3세(대제) 시기까지를 다룬다. 제2부는 처음으로 차르의 칭호를 획득한 이반 4세(뇌제)의 시대부터 17세기 말의 차르 표도르 알렉세예비치의 시대까지를 포괄한다. 끝으로 제3부는 강력한 서구화정책을 통해 러시아를 유럽에 적극 참여하게 만든 17세기 말~18세기 초의 표트르 1세(대제)로부터 농노해방 등, 근대적 개혁을 적극 실시했던 19세기 후반의 알렉산드르 2세 시대까지를 취급한다.
러시아 국가가 형성되기 시작한 9세기 이전부터 근대화가 시작된 19세기까지 근 1,000년에 이르는 기간을 다루는 만큼 책의 서술은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지만, 플라토노프의 서술에는 전 시대를 관통하는 그의 균형적인 역사관이 들어 있다. 그것은 플라토노프가 당시 러시아 역사학계를 지배하고 있던 두 가지 큰 학문적 흐름을 종합하는 데 성공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일찍이 러시아 역사학자들은 1차 사료의 수집과 그것의 엄격한 이용을 중요시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학파와 사회경제적?지정학적 접근을 중요시하는 모스크바학파로 크게 나뉘어져 있었다. 플라토노프는 이 두 학파의 전통을 매끄럽게 수용하여 러시아 역사의 다양한 사건과 사실에 대한 서술의 방법으로 적극 활용하였고, 이 책은 그 뛰어난 방법을 보여주는 결정판이라고 이야기해도 지나친 칭찬은 아닐 것이다.

러시아의 상고사에서 시작하여 19세 후반에 이르는 당대 최고의 개설서
1899년에 첫 판이 발간되어 러시아혁명이 발발한 1917년까지 10판을 거듭하면서 러시아 학계와 일반인들 사이에 널리 읽힌 저명한 역사가 С. Ф. 플라토노프의《러시아사 강의》는 러시아의 상고사에서 시작하여 19세기 후반의 알렉산드르 3세의 통치시대까지를 포괄하는 당대의 최고 러시아사 개설서 중의 하나이다. 이 책에서 플라토노프가 개진한 이론적?방법론적 시각의 바탕에는 19세기 말 자유주의적 역사연구에 풍미하던 실증주의 철학이 놓여 있고 이것은 그가 책 전체의 집필과정에서 관통시키고자 했던 “요인론”에 반영되어 있다. 요인론의 핵심은 역사과정의 여러 요소, 즉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지리적, 인종적 요인 등이 역사의 진행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정하는 데 있다.
이렇듯 러시아 역사를 하나의 요인, 하나의 측면이 아니라 여러 요인, 여러 측면에서 바라보려는 플라토노프의 노력은 러시아 역사의 중요한 순간과 그 외에 다른 여러 사건을 이해하는 데에 기존의 연구 성과를 뛰어넘는 참신한 해석을 낳았다. 몽골-타타르의 지배보다는 동란시대를 중요하게 다룬 점이나, 표트르 대제 시대를 근본적인 변화가 없는 시대로 새로 평가한 사실, 그리고 농노제가 러시아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지체시킨 장애물이었다는 해석과 그에 대응한 민중운동을 세밀히 조명한 것 등은 플라토노프의 러시아사 연구가 보여주는 중요한 특징이다.

한편 이 번역서에는 원문에는 없는 각주, 문헌해제나 부록 등의 형태로 추가 자료를 첨부해 다소 난해한 본 러시아사 개설서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부록은 이 책의 내용과 관련된 『연표』, 『용어 해설』, 『러시아사 사료 목록』, 『왕조 계보도』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옮긴이 해제』는 세르게이 플라토노프라는 이 책의 저자가 한국의 일반 독자는 물론이고 전문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은 인물인 점을 감안하여 그의 학문적 일생을 재구성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옮긴이 해제가 우리 학계에서 위대한 러시아 역사가 플라토노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촉진하는 조그만 출발점이 되기를 소박하게나마 기대해 본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선택한 상품
35,000
1 3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