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2년 03월 1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44쪽 | 424g | 135*205*17mm |
ISBN13 | 9791167371379 |
ISBN10 | 1167371372 |
사은품 : 모노톤 머그 (포인트 차감)
출간일 | 2022년 03월 1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44쪽 | 424g | 135*205*17mm |
ISBN13 | 9791167371379 |
ISBN10 | 1167371372 |
MD 한마디
[이효석문학상 수상 작가 이서수 장편소설] 『헬프 미 시스터』는 생계유지를 위해 플랫폼 노동에 뛰어든 한 가족의 이야기다. 소설은 가족과 자신을 지키기 위해 기꺼이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 사람들을 한 명 한 명 세심하게 그리며, 그들이 머물렀던 과거의 상처로부터 한 발 다시 걸음을 딛는 과정을 따뜻하고 진솔하게 담아낸다. -소설 MD 박형욱
무해한 척, 유해한 세상에서 자기가 정한 방향대로 한 발 나아가는 삶 황산벌청년문학상ㆍ이효석문학상 수상 작가 이서수 신작 장편소설 『당신의 4분 33초』로 제6회 황산벌청년문학상을 수상하며 “한국문학을 한 단계 비약시킬 중요한 자산”이라는 평을 받았던 소설가 이서수. 그는 연이어 발표한 단편소설 「미조의 시대」로 제22회 이효석문학상을 수상하며 독자와 문학계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젊은 작가로 급부상했다. 이번에 출간된 『헬프 미 시스터』는 이서수의 두 번째 장편소설로, 전작 『당신의 4분 33초』가 전위적 음악가 존 케이지를 통해 시대와 불화한 ‘이기동’이라는 인물의 삶에 집중했다면, 『헬프 미 시스터』는 삼대가 함께 부대끼며 살아가는 모습을 통해 플랫폼 산업과 여성 노동의 현실, 혈연과 인연으로 엮인 가족 구성원의 연대를 솔직하고 유쾌하게 풀어낸다. 약물 성범죄를 당할 뻔한 뒤 회사를 그만둔 수경, 그런 딸의 곁을 지키는 엄마 여숙, 이렇다 할 직장 없이 집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버지 천식, 이익보다 손실이 더 큰 전업투자자 남편 우재, 수경의 집에 얹혀 살고 있는, 일찍 철들어버린 조카 지후와 준후. 그리고 수경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틴챗’ 유저 은지와 수경을 위해 ‘투쟁’하고 있는 보라까지. 모두에게 커다란 충격을 준 사건을 겪었지만, 수경의 가족은 생계유지를 위해 각자가 할 수 있는 플랫폼 노동에 뛰어들게 된다. 자차 배송을, 뚜벅이 배달을, 대리운전을, 그리고 여성을 위한 심부름 대행 어플 ‘헬프 미 시스터’ 일을. 이서수는 15평짜리 낡은 빌라에 사는 다섯 식구와 그 집을 오가는 두 소녀의 좌충우돌 ‘플랫폼 노동 도전기’를 통해 우리에게 “아픔과 고통을 외면하는” 대신 “서로를 껴안고 구원”(소설가 박상영)해야 한다고 전한다. 언제 부서져도 이상하지 않을 것 같았던 그들은, 서로에게 기대고 의지하며 단단하게 성장해나간다. |
1부 2부 3부 4부 5부 작가의 말 |
"돈이 제일 무섭다는 거 놀면서 깨달았어."
진심이었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트라우마 운운하기에 수경은 너무 현실적이었다. 어떤 분노는 가난 때문에 그것을 충분히 드러낼 시간조차 주어지지 않는다. 억지로 수습되어버린다. _15p.
_
푸시 알림을 볼 때마다 늘 대기 상태로 있는 것 같은 기분에 시달렸다. 끄면 되는데 그게 도무지 쉽지가 않다. 딱히 할 일이 없으면 슬슬 운전해서 가보는 것도 나쁘지 않잖아. 그런 식으로 자신을 설득하다 보면 핸드폰을 놓을 수 없게 된다. 단가가 점차 인상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지켜보고 있노라면, 마권을 쥔 도박사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다. 그래, 이쯤에서 배팅해? 쉬기로 결심했더라도 그런 결심은 금세 무효가 된다. 그런 식으로 휴일과 노동일의 경계가 불분명해진다. 이젠 주말에 쉬는 것조차 죄책감이 느껴졌다. _172p.
노부부와 경력단절 4년차의 남편, 수경이 실질적인 가장이었지만 '사건'으로 인해 사람을 한다는게 두려워졌다. 수경이 벌어오는 돈으로 생활하던 가족의 침몰을 느끼고 이제 돈을 벌러 나가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30년 된 15평짜리 낡은 빌라에 사는 여섯 가족. 어디서나 볼 수 있을 것 같은 가족들은 저마다 플랫폼에서 무언가를 초조하게 기다린다. 택배 배달, 배달 앱, 틴챗, 키오스크 사용, 헬프 미 시스터 등 앱을 통해 사람을 상대할 일이 없는 플랫폼이 안전한 세상인 것만 같다. 하지만,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플랫폼이야말로 안전하지 않는 곳일지도 모른다.
답답할법도 하건만 다그치치 않고 자신들이 할 수 최선을 다해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하는 가족들, 다양한 세대의 인물들이 지금을 살아내는 모습은 때론 고통스럽지만 '지금'을 외면하지 않고 당당하게 오늘을 살아간다. 올망졸망한 가족들과 주변인물들의 이야기는 현실의 막막함 속에서도 한 조각의 기쁨을 찾고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들의 삶의 연대를 묵묵히 응원하게 된다.
"현재만 사는 사람이 되어버린 것 같을 때가 있어요. 현재가 제일 중요한 것 같은 기분이 들어요. 일거리가 죄다 일회적이고, 일거리를 캐치하는 순간에만 노동자가 되는 거니까 나머지 시간엔 노동자로서의 존재감이 희박해지죠. 그런데 자꾸 드는 생각이, 일이라는 게 원래 이런 게 아닐까, 이런 식으로 여러 가지 일거리를 캐치해서 살면 되지 않을까, 그래요. 이상해지는 거 같아요. 사람이." _281p.
어쩌면 양천식 씨의 말대로 기적이 일어난 건지도 모르겠다.
그들 모두 이렇게 한마음으로 함께 있다는 것이 기적.
그들 모두 포기하지 않고 다시 해보기로 결심했다는 것이 기적.
그들 모두 웃고 있다는 것이 기적.
기적이라고 생각하면 정말로 모든 게 기적이 되는 건지도 모른다. _338p.
#헬프미시스터 #이서수 #은행나무 #소설 #한국소설 #소설추천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책
15평 빌라에서 여섯 명의 가족이 복닥거리며 사는 걸 상상해 본다. 작은방에는 조카 둘, 거실에는 어머니, 아버지가, 안방에는 젊은 부부가 산다. 문제는 네 명의 어른 중 제대로 된 직장을 다니는 사람이 한 명도 없다는 거다. 이 가족은 무슨 일을 해서 먹고 살아야 할까. 그럼에도 이 가족은 돈 벌어오지 않는다고 누군가를 타박하지 않는다. 그저 조용히 바라보고 지켜보고 있을 뿐이다. 부정적인 의미는 아니다. 말없이 서로를 지지해준다고 해야 옳겠다.
수경과 우재, 여숙과 천식, 준후와 지후가 그들이며 더불어 은지와 보라가 이 가족과 얽혀 소설을 이끌어 간다. 플랫폼 노동자를 다룬 이야기나 여성 서사의 이야기로도 읽힌다. 회사를 다니며 여성으로 산다는 것에 대한 의미를 묻는 소설이기도 하다.
수경은 업무적으로 친한 직원이 건네준 약물을 탄 음료를 마시고 성범죄를 당할 뻔했다. 직장을 그만두고 트라우마에 시달린다. 유일한 직장인이었던 수경을 가족 누구도 뭐라 하지 않는다. 다 같이 아파하고 자기만의 골방에서 스스로 걸어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 수경은 집 밖으로 나왔다. 휴대폰에 어플만 있으면 일할 수 있는 택배 배송을 시작한다. 타인의 지나친 관심 따위 받을 일 없는 것이 마음에 들었다. 엄마와 함께 택배 배송을 하기 시작하자 남편 우재도 해외 선물 거래 틈틈이 야간 대리운전을, 아버지는 걸어서 음식 배달하는 일을 시작한다.
마치 알에서 깨고 나오는 가족들 같다. 한없이 웅크리고 있다가 드디어 알 밖의 세상에 관심을 갖게 된 것처럼 보인다. 4개월여 기간 동안 고통스러워하다가 직접 부딪치며 이겨내야겠다는 자각이 컸다. 물론 경제적인 면도 없잖았다. 그 전에는 하고 싶은 말을 삼켰다면 이제부터는 서로의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비로소 소통하는 가족이 되고 있다는 뜻이다.
처음 택배 배송을 하고 엄마가 준비해 온 도시락을 먹으며 노동의 힘겨움 속에서 서로 마음을 터놓기 시작했다. 직장 다닐 때 느껴보지 못했던 노동자의 삶에 눈을 떴다고 해야겠다. 모든 것이 연결되어있는 플랫폼. 플랫폼 안에서 노동자로 산다는 것의 애환을 엿볼 수 있었다. 겪어보지 않으면 모른다.
이 작품의 귀결은 헬프 미 시스터라는 여성을 위한 심부름 대행 어플이다. 휴대폰을 켜면 일을 받을 수 있고, 의뢰인은 여성이며 의뢰를 받는 사람도 시스터다. 수경과 여숙이 받은 일 중에 결혼식 가족 대행도 있었고, 시댁에 가서 제사음식을 해달라는 것도 있었다. 왜 시어머니가 되면 며느리를 괴롭히게 되는 걸까. 가족들 먹인다는 이유로 일하는 며느리를 불러 제사음식을 해야 할까. 아들은 일하는 사람이라 괜찮고, 일하는 며느리는 휴가를 내고 와야 하나. 여성 차별을 여자가 하는 경우가 많으니 더 문제다. 부조리한 제도에서 여성으로 살아가는 자의 고통이 스며든다.
소설 속 인물 중에서 수경의 엄마 여숙의 행보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처음에는 나이가 많아 젊은 애들 틈에서 견디기가 힘들어도 척척 해내는 모습을 보며 박수를 보내고 싶다. 자동차 운전을 하는가 하면 햄버거집 키오스크 앞에서도 아무렇지 않게 주문할 수 있게 되었다. 자립이라는 단어는 여숙 씨에게 해당하는 말일지도 모르겠다. 수경과 함께 스스로 일어설 수 있었으니 말이다.
어쩌면 양천식 씨의 말대로 기적이 일어난 건지도 모르겠다.
그들 모두 이렇게 한마음으로 함께 있다는 것이 기적.
그들 모두 포기하지 않고 다시 해보기로 결심했다는 것이 기적.
그들 모두 웃고 있다는 것이 기적.
기적이라고 생각하면 정말로 모든 게 기적이 되는 건지도 모른다. (338페이지)
다소 부족하더라도 가족이 함께라면 이기지 못할 것이 없다. 살짝 반지층이라도 서로에게 주어진 나만의 공간이 있다면 그것만으로 족하다. 조금 노력하면 웃을 수 있다. 미소를 짓는 수경이나 여숙 씨, 우재와 천식 씨, 지후나 준후가 웃을 수 있으면 되었다.
#헬프미시스터 #이서수 #은행나무 #책 #책추천 #소설 #소설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북리뷰 #한국소설 #한국문학 #여성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