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6년 07월 04일 |
---|---|
쪽수, 무게, 크기 | 272쪽 | 480g | 145*232*17mm |
ISBN13 | 9788965133735 |
ISBN10 | 8965133734 |
출간일 | 2016년 07월 04일 |
---|---|
쪽수, 무게, 크기 | 272쪽 | 480g | 145*232*17mm |
ISBN13 | 9788965133735 |
ISBN10 | 8965133734 |
코스모스를 뒤흔든 30가지 천문학 이야기 『청소년을 위한 코스모스』에서는 코스모스를 뒤흔든 천문학에 관한 30가지 이야기를 들려준다. 32,000년 전 선사시대 인간이 달의 모양이 바뀐다는 사실을 안 순간부터 불과 50년 전 닐 암스트롱이 달 표면을 걸을 수 있게 되기까지, 천문학은 수많은 관찰과 실험, 시행착오를 겪으며 발전해 왔다. 그 시간을 거슬러 오르며 코스모스를 뒤흔든 천문학에 관한 30가지 이야기를 추렸다. 이 재미난 이야기를 통해 우주를 탐험하고, 놀라움을 맛보고, 몰랐던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될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32,000년 전에는 선사시대 인류가 달위상을 관찰했고, 7,000년 전에는 메소포타미아인들이 별자리를 고안했다. 3,000년 전, 이집트인들이 해시계를 발명했고, 2,400년 전에는 그리스인들이 행성에 이름을 지어주었다. 2,300년 전, 아리스토텔레스가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했으며, 헤라클레이데스는 지구가 도는 것을 발견해 냈다. 알 수피는 1,100년 전, 안드로메다은하를 발견했고, 1,000년 전에는 중국인들이 초신성을 관측했다. |
들어가며 1. 32,000년 전, 선사시대 인류가 달위상을 관찰하다 실험 : 달위상을 재현하자 (★) 2. 7,000년 전, 메소포타미아인들이 별자리를 고안하다 실험 : 전갈자리를 찾아보자 (★★) 3. 3,000년 전, 이집트인들이 해시계를 발명하다 실험 : 해시계를 만들자 (★★★) 4. 3,000년 전, 이집트인들이 변광성을 알아보다 실험 : 변광성을 관찰하자 (★★★) 5. 2,400년 전, 그리스인들이 행성에 이름을 지어주다 실험 : 화성의 이동을 관찰하자 (★★) 6. 2,300년 전, 아리스토텔레스가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하다 실험 : 월식 때 지구의 둥근 그림자를 관찰하자 (★) 7. 2,300년 전, 헤라클레이데스가 지구가 도는 것을 발견하다 실험 : 큰곰자리의 이동을 관찰하자 (★★★) 8. 2,300년 전, 피테아스가 지구의 기울기를 측정하다 실험 : 지구의 기울기를 측정하자 (★★★) 9. 2,200년 전, 에라토스테네스가 지구의 원주를 측정하다 실험 : 지구의 크기를 추산해 보자 (★★★) 10. 2,200년 전, 히파르코스가 천체의 식을 예측하다 실험 : 일식이 언제 돌아올지 계산해 보자 (★★★) 11. 2,200년 전, 히파르코스가 별들을 밝기에 따라 분류하다 실험 : 세 별의 ‘등급’을 비교하자 (★) 12. 2,000년 전, 중국인들이 태양흑점을 관측하다 실험 : 태양흑점을 관찰하자 (★★) 13. 1,100년 전, 알 수피가 안드로메다은하를 발견하다 실험 : 거대한 안드로메다은하를 찾아보자 (★★) 14. 1,000년 전, 알 하이삼이 어둠상자를 이해하다 실험 : 어둠상자를 만들자 (★★) 15. 1,000년 전, 중국인들이 초신성을 관측하다 실험 : 게성운 M1을 찾아보자 (★★★) 16. 500년 전, 레오나르드 다 빈치가 지구반사광을 발견하다 실험 : 지구반사광을 그려 보자 (★) 17. 500년 전, 코페르니쿠스가 태양중심설을 내세우다 실험 : 미니 태양계를 만들자 (★) 18. 400년 전, 케플러가 행성들의 운동을 방정식화하다 실험 : 궤도 위를 나아가는 지구의 속도 변화를 관찰하자 (★★★) 19. 400년 전,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하늘을 관측하다 실험 : 목성의 위성들이 어떻게 움직이나 알아보자 (★) 20. 400년 전, 갈릴레이가 태양중심설을 옹호하다 실험 : 금성의 위상 변화를 관측하자 (★★) 21. 350년 전, 호이겐스가 토성고리를 발견하다 실험 : 망원경으로 토성을 관찰하자 (★) 22. 300년 전, 핼리가 혜성이 돌아오리라 예측하다 실험 : 미니 혜성을 만들자 (★) 23. 230년 전, 허셜이 쌍성을 이해하다 실험 : 맨눈으로 쌍성을 관찰하자 (★★) 24. 200년 전, 프라운호퍼가 분광학을 개발하다 실험 : 분광기를 만들자 (★★★) 25. 180년 전, 베셀이 별들의 거리를 측정하다 실험 : 3D 별자리 모형을 만들자 (★★) 26. 150년 전, 스키아파렐리가 별똥별의 기원을 이해하다 실험 : 유성진을 거두어 보자 (★★★) 27. 120년 전, 헤르츠스프룽이 별들의 색깔을 이해하다 실험 : 별들의 색깔을 구분해 보자 (★★) 28. 100년 전, 바너드가 우주 먼지를 사진으로 찍다 실험 : 우리은하의 먼지를 관찰하자 (★★★) 29. 90년 전, 허블이 우주의 팽창을 발견하다 실험 : 팽창 중인 우주의 모형을 만들자 (★) 30. 50년 전, 닐 암스트롱이 달 위를 걷다 실험 : 달 표면의 약한 중력을 느껴보자 (★) 색인 |
아이가 아직 초등학생이라서 코스모스는 조금 어려울수도 있을것 같아 청소년을 위한 코스모스를 먼저 읽으면 좋을 것 같아 구입하였습니다.
이 책은 코스모스를 뒤흔든 천문학에 관한 30가지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합니다.
책소개를 보니 유익한 내용이 참 많네요~
32,000년 전 선사시대 인간이 달의 모양이 바뀐다는 사실을 안 순간부터 불과 50년 전 닐 암스트롱이 달 표면을 걸을 수 있게 되기까지, 천문학은 수많은 관찰과 실험, 시행착오를 겪으며 발전해 왔다. 그 시간을 거슬러 오르며 코스모스를 뒤흔든 천문학에 관한 30가지 이야기를 추렸다. 이 재미난 이야기를 통해 우주를 탐험하고, 놀라움을 맛보고, 몰랐던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될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32,000년 전에는 선사시대 인류가 달위상을 관찰했고, 7,000년 전에는 메소포타미아인들이 별자리를 고안했다. 3,000년 전, 이집트인들이 해시계를 발명했고, 2,400년 전에는 그리스인들이 행성에 이름을 지어주었다. 2,300년 전, 아리스토텔레스가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했으며, 헤라클레이데스는 지구가 도는 것을 발견해 냈다. 알 수피는 1,100년 전, 안드로메다은하를 발견했고, 1,000년 전에는 중국인들이 초신성을 관측했다.
먼저 이 책은 제목만 코스모스일 뿐, 칼세이건의 코스모스와 아무 관련이 없는 책이다.
나처럼 낚시질 당한 분들에게 위로를 전한다.
그래도 뭔가 건질 게 있을까 싶어 내용을 읽어봤는데..
그냥 이것저것 난잡하게 집어넣었다. 이야기의 흐름도 순서도 없다.
페이지수가 워낙 적다보니 모든 설명이 대충대충이다. 난이도는 낮은데 내용이 형편없어서 아이들이 이해하기에 불편하다.
즉, 이것저것 집어넣고서 대충 겉핥기식으로 설명을 써놨다.
천문학에 호기심을 가진 아이라면 아무 스토리 없는 내용에 흥미를 잃을 것이고
천문학을 좋아하는 아이라면 난잡하고 성의없는 내용에 집어치울 것이다.
진정 아이들이 천문학을 좋아하길 바란다면, 이 책은 모두 거둬들여서 땔감으로나 쓰는게 훨씬 이로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