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장 생활과 풍속에서 나온 속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10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 12 가는 날이 장날 14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 16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18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 20 등잔 밑이 어둡다 22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는데 김칫국부터 마신다 24 구관이 명관이다 26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 28 부뚜막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 30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32 콩으로 메주를 쑨다 해도 곧이듣지 않는다 34 2장 동물에 빗댄 속담 가재는 게 편 38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40 꿩 먹고 알 먹고 42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 44 쇠귀에 경 읽기 46 우물 안 개구리 48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함함하다고 한다 50 뱁새가 황새 따라가면 가랑이 찢어진다 52 굼벵이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 54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 56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58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 60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62 호랑이에게 물려 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64 3장 사람의 심리가 담긴 속담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68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70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한다 72 꿈보다 해몽이 좋다 74 이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 76 내 코가 석 자 78 남의 밥그릇이 더 커 보인다 80 저 먹자니 싫고 남 주자니 아깝다 82 똥 누러 갈 적 다르고 올 적 다르다 84 금강산도 식후경 86 바다는 메워도 사람 욕심은 못 채운다 88 잘되면 제 탓, 안되면 조상 탓 90 남의 제사에 감 놔라 배 놔라 한다 92 웃는 낯에 침 못 뱉는다 94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 96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 98 제 버릇 개 못 준다 100 4장 역사 속 인물이 가르쳐 준 속담 공든 탑이 무너지랴 104 구르는 돌은 이끼가 끼지 않는다 106 말이 씨가 된다 108 우물을 파도 한 우물을 파라 110 무쇠도 갈면 바늘 된다 112 산 입에 거미줄 치랴 114 이미 엎질러진 물이다 116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118 티끌 모아 태산 120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122 신선놀음에 도낏자루 썩는 줄 모른다 124 평안 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 126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128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 130 5장 세상의 이치를 담은 속담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134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136 고생 끝에 낙이 온다 138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140 물이 깊어야 고기가 모인다 142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144 뿌린 대로 거둔다 146 입에 쓴 약이 병에는 좋다 148 지성이면 감천 150 피는 물보다 진하다 152 팔십 노인도 세 살 먹은 아이한테 배울 것이 있다 154 |
우리누리의 다른 상품
이창우의 다른 상품
외양간은 농경 사회에서 가장 큰 재산인 소를 기르는 곳이에요. 외양간을 아무렇게나 내버려두었다가 소를 잃어버리고 나서 고쳐 봐야 아무 소용이 없겠죠? 이처럼 평소에 준비를 소홀히 하다가 일을 그르친 뒤에야 후회하며 손을 쓰려는 사람을 두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라고 해요.
--- p.11 옛날 집에서는 아궁이에 불을 때면 연기가 굴뚝으로 빠져나가요. 그러니 불을 때지 않으면 연기가 날 리 없지요. 따라서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라는 속담은 모든 일에는 반드시 그런 일이 일어날 만한 원인이 있다는 뜻이에요. 원인이 없으면 결과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지요. --- p.13 옛날에는 밤이 되면 등잔불을 켰어요. 등잔불을 켜면 등잔 주변은 환하게 밝지만, 그 바로 밑에는 그림자가 생겨 의외로 어둡답니다. 이처럼 ‘등잔 밑이 어둡다’라는 말은 가장 가까운 데 있는 것을 찾지 못하거나 모른다는 뜻이에요. 남의 일은 잘 알면서 자기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은 오히려 잘 모를 때도 이 속담을 사용해요. --- p.23 고슴도치는 몸에 바늘 같은 가시가 촘촘히 돋은 동물이에요. 하지만 이런 뾰족한 가시마저 함함해 보이는 게 부모의 마음이지요. ‘함함하다’는 털이 보드랍고 윤기가 있다는 뜻이에요.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함함하다고 한다’는 부모 눈에는 제 자식이 다 잘나고 귀여워 보인다는 말이랍니다. --- p.51 |
생각과 표현의 폭을 넓혀주는 속담,
속담을 알아야 문해력이 자랍니다 “짱이다” “망했다” “짜증난다” 요즘 아이들이 가장 많이 쓰는 어휘입니다. 이처럼 단편적이고 직접적인 화법에 익숙해진 아이들은 점점 생각이 그 안에 갇히게 되고 어휘력이나 표현력을 키우기도 어렵습니다. “앗싸, 개이득!”과 “와, 꿩 먹고 알 먹고다!”라고 말하는 아이 중 누구의 상상력과 표현력이 더 풍부할까요? 우리가 흔히 접하는 속담은 언뜻 보면 짧고 쉬운 말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는 삶의 지혜와 세상의 이치가 함축적으로 담겨 있습니다. 속담에 사용된 비유와 은유를 이해하고 문맥을 유추하는 과정에서 종합적인 문해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생각의 폭이 넓어집니다. 또 일상생활에서도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훨씬 더 풍부하게 표현할 수도 있지요. 네 칸 만화로 속담을 ‘재미있게’ 배우고 유래 이야기로 속담을 ‘제대로’ 이해해요! 이 책은 네 칸 만화와 동화 형식의 짤막한 글을 통해 속담의 유래를 알려주면서 그 뜻과 쓰임새를 재미있게 알려주는 책이에요. 뜻풀이만 나열한 사전 형식의 책과 달리, 속담이 생겨난 배경을 알려주기 때문에 더 깊이 있고 정확하게 속담을 배울 수 있지요. 또 속담에 담긴 우리의 옛 문화를 엿볼 수 있어서 더 좋아요. 기계적으로 달달 외우는 속담이 아니라, 이해하고 실생활 속에서 바로 써먹는 속담을 배워 보세요. 재미있는 유래 이야기를 읽으며 속담의 뜻과 쓰임을 제대로 배워요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어떻게 생겨난 말일까요? 이 속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소가 농경 사회에서 가장 큰 재산이었던 것을 알아야 해요.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옛 불교 설화에서 나온 속담으로, 그 설화를 알면 뜻과 쓰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지요. 이처럼 우리가 흔히 쓰는 속담에는 저마다 생겨난 이유와 배경이 있어요. 옛사람들의 일상을 담고 있기도 하고, 동물의 모습에 빗대거나 역사 속 이야기에서 만들어진 속담도 많아요. 이렇게 재미있는 유래 이야기를 읽다 보면 속담의 뜻과 쓰임새를 외우지 않아도 자연스레 익힐 수 있답니다. 속담을 통해 삶의 지혜를 배우고 세상을 보는 눈을 넓혀요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말을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공든 탑이 무너지랴’는 노력의 힘을, ‘무쇠도 갈면 바늘 된다’는 꾸준함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속담이에요. 또 ‘바다는 메워도 사람 욕심은 못 채운다’라는 속담은 사람의 욕심을 재치 있게 풍자하기도 하지요. 이처럼 속담에는 예로부터 전해지는 삶의 지혜가 가득 담겨 있어요. 속담을 배우는 것은 마치 어린이 자기계발서를 읽는 것과 같습니다. 속담으로 우리 조상의 삶을 더 잘 이해하는 동시에 그 속에 녹아 있는 지혜와 슬기까지 엿볼 수 있답니다.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중요 속담 위주로 구성했어요 일상생활과 초등 교과서, 뉴스, 신문에서 자주 쓰이는 속담 위주로 가려 뽑았어요. 한 속담에도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뉘앙스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책에는 가장 대표적인 뜻풀이를 실었어요. 지금까지 몰랐거나 두루뭉술하게만 알고 넘어갔던 속담의 정확한 뜻을 깨닫는 재미를 느껴 보세요. 또 네 칸 만화 하단에는 비슷한 속담, 사자성어 등을 따로 정리해 놓아서 학습자료로도 손색이 없답니다. 책 마지막에 ‘찾아보기’ 코너가 있어서 필요한 속담만 쏙쏙 찾아볼 수도 있어요. 학습만화만 좋아하는 아이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어요 이야기가 시작되는 왼쪽 페이지마다 재미있는 네 칸 만화가 나와요. 만화만 읽어도 그 속담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한 번에 이해할 수 있어요. 오른쪽 페이지에는 유래 이야기가 짤막한 동화 형식으로 나와 있어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답니다. 학습만화에만 익숙해져 있거나 긴 글 읽는 것을 어려워하는 아이들도 재밌게 읽을 수 있어 부모와 아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책이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