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7년 02월 10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160쪽 | 296g | 128*188*20mm |
ISBN13 | 9788932918143 |
ISBN10 | 8932918147 |
발행일 | 2017년 02월 10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160쪽 | 296g | 128*188*20mm |
ISBN13 | 9788932918143 |
ISBN10 | 8932918147 |
MD 한마디
[이 책의 결말은 걸작 중에서도 걸작이다] 1930년대 독일을 배경으로 유대인 소년과 독일 귀족 소년의 아름답고 슬픈 우정을 그린 걸작. 나치즘과 홀로코스트의 시대를 다룬 소설 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지금까지 널리 읽히는 책 중 하나다. 특히 엄청난 반전이 담긴 결말은 강렬한 충격과 감동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 문학MD 김도훈
1977년판 서문 아서 케스틀러 1997년판 서문 장 도르메송 동급생 옮긴이의 말 |
<그는 1932년 2월에 내 삶으로 들어와서 다시는 떠나지 않았다.>주인공인 한스 슈바르츠에게 아주 강렬한 만남이었음을 알 수 있는 문장이었어요. 결말이 중요하다는 주의사항을 읽고 그냥 쭉 읽었는데 그러기를 잘 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16세의 유대인 한스는 친구 하나 없이 지루하게 학교를 다니던 중 독일 귀족 호엔펠스 가문의 콘라딘이 전학을 와요. 한스는 사춘기가 아닌가 싶을 만큼 특별한 친구를 원했는데 그런 친구가 나타난 거예요. 두 소년의 우정과 시대상이 절묘하게 섞여 들여서 재미있었어요.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연상시키는 작품이었다.
데미안이 데미안과 싱클레어의 우정을
동급생은 콘라드와 한스의 우정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데미안이 청소년의 내적인 성장을 주로 다룬 것에 비해
동급생은 두 인물의 우정을 통해 인종 차별의 부조리를 중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어리지만 진정 어린 우정을 보여준 두 인물이 너무 매력적이다.
마지막 한 문장은 책을 덮고 나서도 책에서 그려지지 않은 콘라드의 삶을 짐작하게 함으로써
강한 여운을 남긴다.
마지막 반전이 백미라는 평에 이끌려 이 소설을 선택하게 되었다. 중편 정도 분량의 길지 않은 소설인데 누구라도 읽으면 후회하지 않을 만큼 재미있는 소설이었다.
이 소설은 히틀러가 막 권력을 잡기 시작할 무렵, 독일의 슈투트가르트를 배경으로, 16살 독일 귀족 소년과 유태인 소년의 우정을 다루고 있다. 소년의 예민한 감수성으로 우정을 쌓아가는 두 소년의 이야기는 잔혹한 인종차별주의 분위기 속에서 펼쳐진다.
'나' 한스 슈바르츠는 유대인 랍비의 손자이자 의사의 아들이다. 그가 다니는 학교에 어느날 독일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와서 역사책에서 배우던 호엔펠스 백작가의 아들 콘라딘 폰 오엔펠스가 전학을 온다. 학교 생활에서는 늘 한발짝 떨어져 지내던 '나'는 귀족적이며 우아한 콘라딘과 친구가 되고 싶어하고 이를 위해 학교에서 돋보이기 위해 토론에도 참여하고 체육 수업에서 평행봉을 멋지게 시범해 보인다. 그리고 콘라딘의 주목을 끌기 위해 자신이 수집하고 있던 그리스 동전을 학교에 가지고 가기도 한다. 마침내 한스와 콘라딘은 친구가 되며 마을의 아름다운 자연 여기 저기를 돌아다니고 횔덜린의 시를 함께 낭송하며 두터운 우정을 쌓아간다.
나치스와 공산주의자들 사이의 충돌이 보도되기도 했지만 그것은 마을을 벗어난 먼 곳의 이야기일 뿐이었다. 한스는 콘라딘을 자신의 집으로 초대하여 자신이 모은 동전들을 더 보여주기도 한다. 그들은 종교, 예술, 인생의 의미 등에 대해 이야기하며 우정을 키워간다.
한스 역시 콘라딘의 집을 방문하였으나 그가 방문할 때마다 콘라딘의 부모는 부재중이었다. 콘라딘의 부모님을 소개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품던 어느 날, 한스는 오페라에 갔다가 그의 가족들을 보게 되었으나 콘라딘은 한스를 모른 척한다. 크게 상처 받은 한스는 콘라딘에게 이유를 물었고 콘라딘은 자신의 어머니가 유태인을 혐오한다는 이야기를 한다. 마침내 소년들도 홀로코스트가 만연한 현실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둘의 학교도 점차 동급생들이 유태인 혐오를 아무렇지도 않게 드러내기도 하고 게르만 제일주의를 내세우는 역사교사가 오는 등 분위기가 바뀐다.
한스의 부모님은 한스를 미국으로 보내기로 결심한다. 독일 조국을 사랑하는 그의 아버지는 독일이 곧 이 광기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독일의 모습을 되찾을 것이라 믿고 독일에 남기로 하였으며 그들의 이별이 길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콘라딘은 한스에게 편지를 쓰는데 그 편지 내용에는 히틀러의 연설을 들었으며 그가 독일의 도덕적 우월성을 회복시킬 것이며 그가 유대적인 요소 중에서 바람직한 것과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가려낼 것이며 곧 한스가 돌아올 수 있을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책은 30년 후 한스의 회고를 담고 있다. 독일을 사랑했던 그들의 부모는 결국 홀로코스트 분위기 속에서 자살을 한다. 시인이 되고 싶었던 한스는 미국에서 변호사가 된다.
한스는 그가 다니던 김나지움에서는 2차 세계대전 때 죽은 동창들을 위한 추모비 건립을 위한 기부를 요청한다는 서신을 받게 된다. 알파벳으로 나열된 4백명이 넘는 동문들은 러시아, 아프리카 땅에서 죽었다. 명단과 죽은 이유를 읽으며 한스는 H열을 빼고 읽어 나간다.
그리고 고민하다가 마침내 H 열의 명단을 읽게 된다.
소설은 이 마지막 문장으로 끝을 맺는다.
폰 호엔펠스, 콘라딘. 히틀러 암살 음모에 연루, 처형.
이 한 문장으로 콘라딘의 이후의 스산했던 일생을 상상하게 되었다. 1차 세계대전의 막대한 배상금으로 인해 독일 경제는 파탄해 쳐해 졌고 공산주의 바람은 불어오고 희망이 없어 보였을 것이다. 그 때 나타난 작지만 호소력 짙은 웅변으로 독일의 재번영을 약속하는 히틀러에게 한스는 아마도 희망을 품었겠지. 그러나 그는 유태인 인종 청소를 하려던 정신 병자였을 뿐이었고 이를 알게 되었을 때, 예술을 사랑하고 신실한 신앙심을 가졌던 콘라딘은 절망하고 아마도 행동했겠지. 콘라딘의 이러한 죽음은 독일 조국으로부터 버림 받았고 평생 상처였던 한스에게 어느 정도 치유가 되어 주었으리라 생각했다.
마지막 한 문장으로 콘라딘의 남은 삶을 상상하게 만드는 작가의 치밀한 구성이 놀랍다.
작가는 실제로 슈투트가르트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유태인이었고 히틀러가 집권한 1933년 프랑스로 망명한 뒤 영국에 정착했다고 한다. 소설에서 그려지는 슈투트가르트의 아름다운 자연 환경과 예술에 대한 자부심은 실제 작가의 생각이었을 것이다.
누가 읽더라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분량도 짧다. 홀로코스트를 다룬 많은 작품이 있지만, 소년들의 순수함과 열정이 잘 그려진 작품이라 색다른 감동이 있어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