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9년 04월 25일 |
---|---|
쪽수, 무게, 크기 | 364쪽 | 655g | 152*225*21mm |
ISBN13 | 9791189580056 |
ISBN10 | 1189580055 |
발행일 | 2019년 04월 25일 |
---|---|
쪽수, 무게, 크기 | 364쪽 | 655g | 152*225*21mm |
ISBN13 | 9791189580056 |
ISBN10 | 1189580055 |
추천사 · 004 프롤로그 | ‘진정한 조직문화’란 무엇이고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 008 Part 01 조직문화 점검하기 조직문화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는 5가지 유형 Chapter 1 [철학의 혼선] 조직은 어디를 향해 가는가? · 018 조직이 존재하는 이유(Mission)를 구성원들과 함께 공유하기 · 019 업(業)의 개념 이해와 명확한 방향성이 가진 힘 활용하기 · 026 핵심 가치(Core Value) 활용을 통한 일하는 재미 올리기 · 032 Chapter 2 [제도의 오용] 제도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 039 제도가 조직에 적합한지 알아보기 · 040 제도의 취지가 제대로 살아있는지 살펴보기 · 048 제도를 통하여 조직 활성화 방안 찾기·056 Chapter 3 [리더의 무능] 리더가 제 역할을 하고 있는가? · 062 조직문화는 리더의 관심 없이는 어렵다 · 063 리더의 본심과 언행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 067 때로는 너무도 가혹한 리더의 역할 · 073 Chapter 4 [직원의 무지] 구성원들이 조직을 이해하고 있는가? ‘너희들이 조직문화를 알아?’ · 080 조직에는 왜 인성 무식자, 조직 무식자가 꼭 있지 · 081 조직문화 무식자도 조직문화는 잘 안다고 한다 · 092 조직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 하나 정도는 가지자 · 097 조직문화를 진단해 볼 수 있는 도구 3가지 · 101 Chapter 5 [관리의 부재] 조직문화를 방치하고 있는가? · 105 조직문화의 원인 분석을 잘하지 못했을 때의 문제점 · 106 조직문화는 원인 분석이 중요하다 · 113 역사문화와 달리 조직문화는 관리가 중요하다 · 117 조직문화는 결국 일하는 방식이다 · 122 Part 02 조직문화 설계하기 알아두면 유용한 조직문화 구축방법 Chapter 1 우리 조직문화의 수준 알아보기 · 128 1단계: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 · 129 2~3단계: 조직문화 제도화와 시스템 장착과 조직화 · 133 4~5단계: 조직문화 확산 및 실천 그리고 조직문화 선도 · 138 Chapter 2 우리 조직에 적합한 조직문화 만들기 · 141 간편하고 이해하기 쉬운 조직유형 분류법 · 142 조직문화 설계와 가치 체계 정렬 · 147 설계에 따른 제도와 시스템 구축 및 실행력 향상 · 151 Chapter 3 벤치마킹을 통한 단위부서 조직문화 만들기 · 155 벤치마킹 능력이 조직의 경쟁력 · 156 조직문화 벤치마킹을 위한 12가지 팁 · 159 단위 부서 조직문화 만들기 4단계 · 166 Chapter 4 긍정적인 조직문화 만들기 · 170 최고 경영자가 해야 할 것과 해서는 안 되는 것 · 171 부서장이 해야 할 것과 해서는 안 되는 것 · 176 조직문화 담당자가 해야 할 것과 해서는 안 되는 것 · 180 구성원들이 해야 할 것과 해서는 안 되는 것 · 184 제도적으로 해야 할 것과 해서는 안 되는 것 · 188 Part 03 개선 방향 고민하기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기본 아젠다 Chapter 1 리더십: 리더십으로 조직문화 꽃피우기 · 192 리더가 하는 일이 단지 성과 달성뿐이라면 · 193 리더십교육 이제는 이렇게 바꿔볼 필요 있어 · 197 Chapter 2 회의법: 회의 성공이 경영의 성공 · 200 리더가 기본적으로 가져야 할 능력 회의 주재력 · 201 회의 끝이 회의 주재자의 결론 도출로만 끝나서야 · 204 Chapter 3 회식과 휴가: 회식과 휴가의 목적 달성 · 207 회식을 악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 208 휴가의 자유로운 사용여부가 조직문화의 수준 · 212 Chapter 4 교육과 멘토링: 조직문화 교육과 멘토링으로 구축 · 216 교육의 시작은 일하는 자세와 태도 그리고 조직문화 · 217 멘토링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는 법 · 221 Chapter 5 건강관리와 가족친화: 조직문화는 건강관리와 가족친화로 시작 · 226 건강한 조직문화는 구성원의 건강관리에서 시작 · 227 무엇이 진정한 가족친화 경영인가 · 231 가족친화 조직이 국가적 영웅이 되는 시대적 요구 · 235 Chapter 6 격려/칭찬 및 불평불만 관리: 진짜로 필요한 이유 · 239 축하와 격려는 진심이 살아야 한다 · 240 불평불만이야말로 세심한 관리 포인트 · 245 Part 04 사회 이슈 속 조직문화 왜 지금 우리는 조직문화에 주목해야 하는가 Chapter 1 우리나라의 조직문화, 그 현재와 미래 전망 · 252 국가문화가 조직문화의 기본 바탕 · 253 대한민국 현대사가 조직문화에 미친 5가지 영향 · 258 밀레니얼 세대와 함께 달성해야 할 조직의 미션 · 278 Chapter 2 수평적 조직으로의 전환이 어려운 이유 · 282 현실의 수직적 구조 vs. 이상향 수평적 구조 · 283 수직적 구조를 망치는 무능한 관리자 유형 3가지 · 287 수직적 구조의 핵심 성공 요인 · 290 수평적 조직 구축의 실패 요인 · 293 Chapter 3 주인의식의 진정한 의미 · 298 주인의식이라는 말에는 정작 주인이 없다 · 299 구성원 각자가 자신의 삶에 주인 되기 · 303 Chapter 4 제대로 말하지 않고 올바르게 알아듣길 바라는가 · 307 개떡같이 말하면 당연히 개떡 밖에 안 된다 · 308 제대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법을 알고 있는가 · 311 ‘말보다 글이 강하다’는 것을 증명한 사례 · 314 일론 머스크가 본인의 승인을 요구한 것은? · 317 Chapter 5 조직폭발의 전조증상 파악하는 법 · 320 자살, 태움 등 심상치 않은 전조증상 및 집단행동을 무시하면 안 되는 이유 · 321 전조증상을 만든 3가지 요소와 각 조직의 비등점 · 326 선진국은 어떻게 조직 내 괴롭힘을 관리하는가 · 334 Chapter 6 워라밸이 우리에게 주는 진정한 의미 · 339 워라밸의 속뜻을 아십니까? · 340 시간의 패러다임을 바꾸어야 하는 진짜 이유 · 344 워라밸이 혁신을 전제로 해야 하는 까닭 · 347 Chapter 7 조직문화는 구성원의 수준과 조직의 품격 · 352 품격 있는 조직의 기준 3가지 · 353 보이지 않는 것도 잘 만드는 조직을 지향하자 · 357 에필로그 | 조직문화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 360 |
그동안 조직문화하면 구글이나 페이스북 등 외국의 조직문화를 떠올렸다.
마음껏 일하도록 최상의 복지와 사원들의 높은 급여가 조직에 헌신하도록 만드는 원동력임을 알았다.
하지만 구글 같은 글로벌 기업이나 한국에서 선망의 대상인 대기업에서도 점점 퇴사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신세대의 문화이기에 그럴까? 그러나 단순히 세대별 문화차이 때문은 아니었다. 그 중심에는 조직문화가 자리잡고 있었다.
흔히 조직문화는 복지와 급여가 눈에 보이는 결과물이라면 그 이면에 진짜 중요한 조직문화를 움직이는 변수들이 있었던 것이다.
이 책은 바로 그런 조직문화를 분석하고 진단하고 개선하는 방법 및 툴을 제시한 조직문화의 참고서 같은 책이다.
저자들은 먼저 왜 조직문화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조직의 미션을 구성원들과 함께 공유하지 못하고 일에 대한 이해와 방향성을 알지 못하면 조직은 산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먼저 제시한다.
또한 여러 가지 제도가 조직에 맞는지 그리고 취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제도를 위한 제도인지 아니면 진정으로 구성원과 조직을 위한 제도인지를 점검하라고 조언한다.
더 나아가 조직문화의 열쇠는 리더십에 있다는 사실을 주지시키며 또한 팔로워들 역시 동일한 이해기반으로 함께 뛰어야 함을 강조한다. 결국 조직문화는 제대로 된 원인분석과 함께 관리가 필요한 문화이고 함께 고민해서 팀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저자들은 적합한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는 조직문화의 수준을 점검한 후 조직문화와 설계를 통해 시스템을 구축한 후에 실행할 것을 권한다. 이때 잘 나가는 조직문화를 벤치마킹해서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서 무엇을 하고 어떤 것을 하지 말아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이때 조직문화를 구성하는 열쇠가 되는 몇 가지 팁이 있는데 그것은 리더십과 회의법과 회식 및 휴가 그리고 교육과 멘토링의 중요성이다. 더나아가 건강관리와 가족친화 및 소통의 원리이다. 재미있는 것은 저자들의 마다 다른 관점으로 접근해서인지 골라서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있어서 더 좋았다. 천편일율적으로 이것을 하시오 하지 않고 다양한 제안이 오히려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주고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주었다.
어찌보면 마지막 파트는 제일 먼저 와도 될 것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것은 바로 왜 이식에 조직문화를 주목하고 거기에 전략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만들어야 되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앞선 파트의 내용들이 what과 how에 대한 내용들이라면 마지막 파트는 why에 해당되는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들이다.
저자들은 조직문화가 단순히 한 기업의 문화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국가와 현대사 안에서 분석하고 특히 MZ 세대의 특성 안에서 함께 달성해야 할 조직의 사명이자 한국사회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과업이라고 설명한다. 그러고 보니 기업문화도 현대사의 발전에 따라 결을 같이 하면서 움직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현재의 문화도 중요할 것 같다.
저자들은 무조건 수평적 구조와 수직적 구조의 균형을 제시하면서 적재적소에 적합한 구조를 만들 것을 제안한다. 모든 것이 수평적 구조로 되면 민주적이 될 것 같지만 여러 가지 단점도 있다면서 조직의 적합성을 먼저 생각할 것을 제시한다.
또한 조직의 주인의식을 가지기 전에 먼저 자신의 삶에 주인이 되어야 함을 말하는 것과 소통도 쌍방간의 제대로 된 훈련과 의식을 통해 양쪽이 다 노력해야 함을 말하며 조직문화를 위해 모두가 노력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마지막 부분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은 저자들이 워라밸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가 라며 던진 화두이다.
저녁이 있는 삶과 일과 삶의 균형 그리고 근로기준법에 대해 일부는 동의하지만 그 근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위험성을 말한다. 단순히 시간을 줄인다고 되는 것이 아님을 말이다. 그렇다. 퇴근시간을 칼같이 지킨다고 해서 업무가 끝나는 것은 아니다. 남은 일을 집에 가지고 가서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저자는 오히려 시간의 질을 말하면서 일과 조직의 혁신이 전제 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개인의 혁신 또한 중요하다고 말하는 부분에서 무엇이 먼저 선행되어야 진정한 워나밸이 될 수 있는지를 알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이 책은 조직문화의 방법론도 충실히 제시했지만 그보다 더 인상적인 것은 끊임없이 왜 그것을 해야 하는지와 무엇 때문에 필요한지를 묻는 질문이 인상적이었다. 남들이 하니까 다른 조직이 하니까라는 태도가 아니라 지금 우리 조직에 왜 이것을 해야 하는지와 무엇을 해야 우리 조직만의 문화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근원을 찾게 하는 디딤돌이어서 좋았다.
내용이 기본적으로 읽기 쉽게 쓰여 있다. 필자들이 오랫동안 조직문화와 변화 관리를 담당하며 시행착오를 겪었기 때문인지 내용이 많이 공감 되고 쉽게 읽혔다.
또한 익히 알려진 사례들이나 이론들이 나오기 때문에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었던 거 같다. 조직문화 이론들도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적용되는지를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어서 좀 더 흥미롭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조직문화에 관심이 있다면 겁내지 말고 읽어봐도 좋을 것 같다.
이 책 한 권이면 조직문화는 끝이에요. 내용이 정말 알차요!
다 읽고 나면 깔끔하게 정리된 느낌이에요.
마치 차가 고장 나서 수리하러 갔는데, 현재 차 상태에 대한 점검, 고장 난 부분의 수리 방법, 수리 후 차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 어떠한 습관이 차를 고장 나게 했는지까지 싹 깔끔하게 알려주는 느낌이었습니다.
이 책의 내용으로 말해보자면
파트 1에서는 지금의 조직문화에 대한 점검 방법을
파트 2에서는 조직문화 구축 방법을
파트 3에서는 조직문화를 어떻게 개선해 나갈지를
파트 4에서는 현재 조직문화는 사회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알려줍니다.
조직문화에 대해 궁금한데, 어떠한 부분이 궁금한지 콕 집을 수 없는 분들께 강추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