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2년 12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44쪽 | 208g | 130*224*20mm |
ISBN13 | 9788954619578 |
ISBN10 | 8954619576 |
발행일 | 2012년 12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44쪽 | 208g | 130*224*20mm |
ISBN13 | 9788954619578 |
ISBN10 | 8954619576 |
시인의 말 1부 나의 사인(死因)은 너와 같았으면 한다 인천 반달 미신 당신의 연음 동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동백이라는 아름다운 재료 꾀병 용산 가는 길-청파동 1 2:8-청파동 2 관음-청파동 3 언덕이 언덕을 모르고 있을 때 光 나의 사인(死因)은 너와 같았으면 한다 태백중앙병원 2부 옷보다 못이 많았다 지금은 우리가 미인처럼 잠드는 봄날 유월의 독서 호우주의보 기억하는 일 야간자율학습 환절기 낙(落) 오래된 유원지 파주 발톱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학(鶴) 옷보다 못이 많았다 여름에 부르는 이름 이곳의 회화를 사랑하기로 합니다 별들의 이주-화포천 광장 3부 흙에 종이를 묻는 놀이 모래내 그림자극 마음 한철 별의 평야 청룡열차 천마총 놀이터 가을이 겨울에게 여름이 봄에게 낙서 저녁-금강 문병-남한강 꽃의 계단 눈을 감고 날지 못하는 새는 있어도 울지 못하는 새는 없다 꼬마 연 눈썹-1987년 4부 눈이 가장 먼저 붓는다 연화석재 2박 3일 잠들지 않는 숲 입속에서 넘어지는 하루 희망소비자가격 미인의 발 해남으로 보내는 편지 누비 골방 가족의 휴일 유성고시원 화재기 오늘의 식단-영(暎)에게 동생 당신이라는 세상 세상 끝 등대 1 세상 끝 등대 2 발문│이번 생의 장례를 미리 지내며 시인은 시를 쓰네 허수경(시인) |
책 제목으로 쓰인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는 시는 제목만 많이 들어봤지 정작 그 시는 본 적이 없어 이 책을 사게 되었다. 또 같은 작가의 산문집을 흥미롭게 읽어서도 이 책을 고른 이유에 있었다. 실린 시들은 산문집에 실린 글들과 크게 다를바가 없었다. 시는 함축적이라서 시를 구성하는 문장들이 길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박준 시인의 시는 짧은 산문같았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성숙한 분위기였다. 그래서 그런지 아직 내게 조금은 거리감이 느껴지는 이야기들도 있었다.
무거운 생을 짊어진 당신의 이름
박준 시인의 시집 『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 를 읽고 (「문학동네」 2012년)
시가 좋아서,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좋아서 무작정 가입했다. ‘북적북적’ 동아리 이름까지 어찌나 마음에 쏙~~ 들던지……. 즐거움을 맛보려면 30%는 하기 어려운 일을 감당해야 한다고 했던가, 그저 손 놓고 앉아 해박하고 찬찬하고 쿨~한 교수님의 해설을 듣고 시집의 내막을 밝혀 들으면 금상첨화겠다 생각했었다.
가벼워서 추켜든 박준 시인의 시집 『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 는 결코 내용까지 가볍지는 않았다. 시의 이면을 생각하며 읽으려는 습성 때문에 시가 하려는 말을 찾을 수 없어서 당혹스럽기도 하다. 전체적인 분위기는 가라앉아 있다. 무언가 후회스럽고 안타까운 체념들이 안개처럼 퍼져 있는 느낌이다. ‘미인’이 시인의 죽은 누이라는 사실을 알고 읽어서인지 내 맘이 벌써, 울 준비를 하는 것 같다.
첫 시집에는 가족 이야기가 많이 담긴다는 강의 내용처럼 어머니가 나오고 무서운 아버지도 나온다. 제목에서도 내용에서도 별이 여러 차례 나와서 나를 안심시켰다. 별이 나오는 배경이 좋았다. 왠지 별의 일은 알 것도 같았다. 역시나, 박준 시인님도 밤하늘을 좋아하시나 지레짐작해 본다. 별처럼 달도 자주 등장해서 위로의 말을 더해 준다.
스스로 일기나, 메모를 잘하는 사람임이 짐작되었다. 무언가를 적었다고 표현하는 부분에서 화자는 ‘쓰는 사람’임을 자랑스러워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 밖의 상황을 짐작하며 읽는 독서나 시인과 화자가 동일인이라는 생각을 지양해야 함에도 고쳐지질 않았다. 무언가를 들고나왔다는 부분에서는 고개가 갸웃거려진다. 철없던 어린시절 이야기 같은 것은 시에 쓰고 싶지 않기에…….
<꽃의 계단>을 읽을 때, 시골에서 살다가 광주로 고등학교를 가면서 자취했을 때가 생각났다. 자췻집마다 연탄을 보관하는 창고가 따로 있었다. 창고에 한 달간 쓸 연탄을 채우는 날에는 그 연탄들이 곳간의 양식이라도 되는 듯 충만했다. 연탄도 꽃이 될 수 있는 지점이었다.
무거운 세상을 살아내야만 하는 사람이 죽을 수는 없어서 세상이 미는 대로 그냥 체념하며 흘러가는 대로 살아가는 것처럼 느껴졌다. 그러다가도 견디는 몸부림으로 세상과 맞닥뜨리며 묵묵히 살아내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의 시집으로 읽혔다. 왠지 가련한 청년에서 힘내서 살아내라고 기도를 보낸다.
유명한 시집이죠! 시인의 말에 이끌려서 읽게 되었지만 정말 잘 읽은 시집이에요
좋아하는 뮨장들 같이 올려봅니다
- 우리는 그러지 못했지만 모든 글의 만남은 언제나 아름다워야 한다는 마음이었다
- 한철 머무는 마음에게 서로의 전부를 쥐여주던 때가 우리에게도 있었다
- 어제는 책을 읽다 끌어안고 같이 죽고 싶은 글귀를 발견했다 대화의 수준을 떨어뜨렸던 어느 오전 같은 사랑이 마룻바닥에 누워 있다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
21,600원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