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3년 12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39쪽 | 326g | 148*210*20mm |
ISBN13 | 9788957692233 |
ISBN10 | 8957692231 |
발행일 | 2013년 12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39쪽 | 326g | 148*210*20mm |
ISBN13 | 9788957692233 |
ISBN10 | 8957692231 |
머리말 | 지금 이십대가 위험하다 1장 강의실에서 바보가 된 어느 시간강사 이야기 “날로 정규직 되려고 하면 안 되잖아요!” 동병상련은 없다! 비정규직인 건 자기계발 안 한 탓? 이십대를 이해하는 것, 그래서 이십대에게 할 수 있는 말 2장 자기계발서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이십대의 자기계발 아이러니 왜 아무도 문제시 하지 않는 걸까? 촛불 든 이십대, 사회에 눈 감다 차별과 해고를 정당하다 여기는 이유 시간관리, 자기 통제, 그리고 칼날 3장 괴물이 된 이십대의 자화상 ‘멋진 신세계’가 이룩한 재앙 첫째: 타인의 고통에 무감각해지기 둘째: 편견의 확대재생산 셋째: 주어진 기존의 길만 맹목적으로 따라가기 왜 학력위계주의가 문제인가 덫에 걸린 대학생들의 자기방어 진리의 빛, 수능점수 ‘떨어지는’ 동년배에 대한 무시 또는 배려 다른 이를 평가하는 좁은 잣대 “내가 이룬 성과를 존중해달라” 대학서열에 대한 무모한 집착 본질에서 벗어난 평가 점점 단단해지는 기존의 편견 어두운 수능의 추억 학력위계, 끌어 내리기와 밟아 오르기 상품화된 개인, 그런데‘팔리지 않는’개인 학교 야구잠바의 사회학 피해자이자 가해자가 된 이십대 미래도 희망적이지 않다 원인1: IMF의 추억 원인2: 경영학과의 사회학 원인3: before/after의 덫 4장 자기계발 권하는 사회를 치유하자! ‘원래 그런 세상’은 없다 긍정과 희망을 논하기 전에 우리가 알아야 할 것 『아프니까 청춘이다』는 무엇을 간과했을까 공정성을 다시 생각하자 기회는 균등한가? 과정은 공정한가? 맷집의 사회학 CPA의 사회학 결과는 정의로운가? 맺음말 | 그따위 위로는 당장 멈춰라! 주 |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오찬호 박사의 오래된 작품이다. 몇 년 전 한 8~9년 전에 대학 강의를 듣는데 어느 교수가 추천해준 책인데 읽지는 않고 넘겼던 책이기도 하다. 당시 나는 무척이나 바빴고, 안 그래도 분기탱천한 하루하루를 보냈기에 굳이 저 작품을 읽고 추가적인 자극을 받을 필요는 없었기에. 그런데 지금 이 책을 보는 이유는 내가 과연 얼마나 과거로부터 벗어났는가, 아니면 그래도인가 알고 싶어서이다.
약자들이 저항하는 방식이 연대이고, 강자들이 군림하는 방식이 분할이다. 그래서 책 처음에 소개되는 KTX 여승무원의 정규직화에 당연하게 대학생들이 찬성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많은 대학생들은 비정규직이 정규직이 되는 것에 대해서 공정하지 않다고 반대한다. 즉 시험이라는 관문을 통과하지 않고 공기업의 정직원이 되는 것은 무임승차이고 반칙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미래의 대학생 자신들이 갈 수 있는 자리를 박탈당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공정과 정의에 대해서 인식의 차이가 대학생들과 저자 사이에 크다.
현재의 대학이 두산 모 회장님의 말을 빌리면 직업인 양성소가 되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 대학에 경영학을 배우는 학생이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목표가 좋은 곳에 취업하는 것이다. 그래서 모두 취업 하나에 맞춰서 살아가는 것이다. 그것이 또 멋지게 자기계발로 포장되어 설명되어진다.
대학생의 대표로 첫 번째 나오는 인물이 강진솔이다. 대학 학점은 우수하지만 취업에서 매번 탈락하고 만다. 그래서 졸업을 유예하고 계속 4학년 2학기로 살아가는 학생이다. 6년을 취업을 목표로 공부하고, 토익도 880점 학생이다. 이 학생에게 대학 취업 지원팀에서 해 준 충고는 토익 점수를 좀더 올려 취업하라는 것이다.
이 책 저자는 노력이 부족해서 취업을 못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 시스템이 잘못되어서 취업이 안 된다는 것이다. 절대평가로 뽑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좁은 문을 통과하는 상위 몇 퍼센트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니 게임의 룰을 바꾸자는 제안한다. 한편으로 20대가 사회 문제에 관심 없는 것을 안타까워한다.
대학의 서열 문제에 대해서 심각하게 바라본다. 서강대 경영학과이면 매우 상위에 있는 좋은 과임에도 이 책의 인물들은 만족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성균관대를 무시하고, 중앙대를 무시하고, 같은 학교 다른 과 학생들을 무시한다. 실제로 성적이 가장 좋은 예로 서울대 한 두개 학과를 제외하면 다 무시 받는 것이다. 대학 서열화가 21세기에 새로 생긴 것도 아니고, 지금 정도가 심해졌다고 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개천에서 용이 나는 시대가 사라진 것은 참으로 안타깝다. 부모님의 재산 정도에 의해서 심각하게 차이가 난다는 것은 이미 증명된 사실이다. 우리 사회는 교육의 기회의 균등에 대해서 치열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청춘으로서 누릴 수 있는 것이, 일탈, 실패를 해도 다시 기회가 오는 것 이런 것일 것이다. 당장 현실과 생활에 구속받지 않고 사고의 여유로움을 가지는 것이 대학생활의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직업학교의 교육생으로 취업, 취업을 위한 스펙으로만 살아가는 것이다. 그래서 여유에서 나오는 타자에 대한 관심이 없다. 사회문제에도 관심이 없으며, 약자에 대한 연민이 없다. 세상 모두가 적이며, 상대방이 잘 되는 것이 곧 나의 밥그릇을 빼앗아 가는 행위이다. 여유롭고 너그러워질 것을 권해본다. 당장 학자금 대출이 어떻고 하겠지만, 한발 뒤에서 천천히 잘 관찰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게임의 룰을 다시한번 생각해본다. 고도 성장을 멈추고 저성장 시대에 들어서면서 과거와 같은 호황은 사라지고, 취업의 문이 좁아지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IMF 시대를 지나면서 지나치게 자본의 논리가 강해지면서, 약자들을 착취하는 시대가 되었다. 같은 노동을 하면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차이가 심한 것을 설명할 수 없다. 이것을 사회 여론이 질책하지 않으므로, 비정규직이 착취당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다. 그리고 안정적인 정규직이 사라져도 당연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제 비정규직도 없애고, 급여도 올려줘야 할 것이다. 그러면 대학에서의 취업에 향한 경쟁이 완화될 것이다.
이 책은 참으로 우울하다. 꿈과 희망으로 즐겁게 청춘을 보내야 할 대학생이 기껏 대기업 족벌 재벌회사의 직원이 되고 싶어 안달한다는 것이 정상 사회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