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작가의 말 | 4
1장 플라 로봇의 반란 | 9 도와줘요, 쓰레기 박사! | 20 플라스틱은 왜 문제가 되나요? 미세 플라스틱이 뭐예요? 쓰레기 분리배출은 왜 해야 하나요? 편의점 쓰레기 분리배출법 2장 이상한 쓰레기 박사님 | 25 도와줘요, 쓰레기 박사! | 49 우리나라 날씨는 왜 동남아시아 날씨로 바뀌고 있나요? 할머니가 주운 폐지는 어떻게 되나요? 에베레스트산에도 쓰레기가 있다고요? 3장 엄마들의 쓰레기 전쟁 | 53 도와줘요, 쓰레기 박사! | 64 재활용 쓰레기는 어떻게 배출하면 되나요? 분리배출 표시된 것은 무조건 분리배출하면 되나요? 분리배출한 후에 쓰레기는 어떻게 재활용이 되나요? 4장 쓰레기를 줄여라 | 69 도와줘요, 쓰레기 박사! | 91 입지 않은 옷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종이 팩은 어떻게 다시 종이가 될까요? 페트병은 어떻게 재활용될까요?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5장 지행일치 공연 | 97 도와줘요, 쓰레기 박사! | 108 플라스틱 방앗간이 뭐예요? 줍깅이 뭔지 궁금해요! 바다에서 쓰레기를 건져 올리는 사람들 6장 쓰레기 소각장, 어떻게 할 것인가 | 113 도와줘요, 쓰레기 박사! | 129 쓰레기 소각장은 왜 문제가 되나요? 소각장을 멋지게 지으면 문제가 해결될까요? 전처리 시설을 지으면 소각장을 안 지어도 될까요? |
홍수열의 다른 상품
홍연시의 다른 상품
“쓰레기는 어떻게 환경을 오염시킬까?”
“쓰레기는 그냥 더러워서 환경을 오염시킨다고 생각했어요.” “쓰레기가 금방 썩어 없어지면 문제가 안 될 거야. 그런데 버려지는 쓰레기가 너무 많아졌어.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하면서 더욱 많아졌지. 잘 썩지 않는 비닐이나 플라스틱 쓰레기가 많아진 것도 큰 문제고. 한 번도 입지 않은 옷이 산더미처럼 버려지는 것도 큰 문제야.” --- pp.41-42 “엄마, 있잖아요. 쓰레기 분리배출을 잘하려면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행동이 더 중요하거든요. 행동은 습관이 되어야 하고요. 습관이 되려면 시간이 걸리죠. 그러니까 참을성 있게 기다리면서 즐거운 마음으로 분리배출을 하게 도와주세요.” “너, 내 아들 맞냐? 우리 미오가 쓰레기 반장이 되더니 의젓해졌구나, 호호!” --- p.63 “누가 벼룩시장에 대해 말해 볼래요?” 태규가 손을 번쩍 들고 말했어요. “중고품을 파는 시장을 말합니다. 안 쓰는 중고품을 팔고, 필요한 사람이 그걸 사면 쓰레기를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어요.” “잘 설명했어요.” 태규가 어깨를 으쓱하며 미오를 흘끗 보았어요.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어요. 이번에 쓰레기 줄이기를 실천하는 방법으로 학교에서 벼룩시장을 열기로 했어요. 다음 주 토요일, 모든 학급에서 학교 운동장에 판매대를 열 거예요. 학교 주변에서 사는 주민들도, 여러분의 부모님들도 참여하실 수 있어요. 쓰레기 반장 미오를 중심으로 계획을 잘 짜 보세요.” --- pp.73-74 “어떤 사람이 우유 회사에 플라스틱 빨대를 없애 달라는 편지를 보냈는데, 우유 회사에서 그 편지를 보고 정말로 빨대를 없앴거든. 그 결과 매년 온실가스 342톤을 줄이는 효과를 봤대. 또 한 초등학교 아이들이 음료 회사에 플라스틱 병에 붙은 비닐 라벨을 쉽게 뗄 수 있게 만들어 달라는 편지를 써 보냈는데, 음료 회사에서 그렇게 실천했대. 그러면 플라스틱 병을 더 많이 재활용할 수 있으니까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는 효과를 보는 거지.” --- p.82 |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고의 방법은 지행합일! 편의점에서 분리배출도 제대로 하지 못하던 소년 미오는 쓰레기에 전혀 관심이 없었어요.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방문하게 된 ‘홍 박사 쓰레기 연구소’에서 쓰레기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배우게 됩니다. 쓰레기라면 모르는 것이 없는 괴짜 홍 박사 덕분에 미오는 평소 무심하게 스쳐 지났던 짐수레 위의 폐지, 아파트 쓰레기 분리배출장에 관심을 두게 되고, 당당히 학급 쓰레기 반장으로도 선출됩니다. 특히나 아는 것을 몸소 실천할 줄 아는 친구 리애가 곁에 있어 미오는 일상 속 쓰레기들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고요. 각종 쓰레기 문제에 맞서는 미오와 리애, 그리고 홍 박사의 좌충우돌을 함께하다 보면 자연스레 어린이의 눈높이에서 ‘줍고, 분리배출하고, 다시 쓰고, 나눠 쓰는’ 쓰레기 문제 해결 방법들을 배워 나갈 수 있게 됩니다. 이야기 중간중간에 마련된 정보페이지에는 더 자세하고 깊이 있는 정보들이 담겨 있어 쓰레기 문제와 관련한 각종 토론 수업의 자료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