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강력추천
229가지 자연의 맛 선재 스님의 사찰 음식
양장
베스트
국내도서 top100 5주
가격
15,000
10 13,500
YES포인트?
7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행복이 가득한집 생활무크

책소개

목차

1. 가을
송편
녹두 빈대떡, 마 된장 참께 무침
마 두부찜, 차조기 마 샐러드, 마 구이
땅콩 찰떡, 땅콩 조림
산초 장아찌, 산초차
표고버섯 탕수, 생표고버섯 구이
생표고버섯 밑동 조림, 표고버섯 채소밥
토란 들깨탕, 토란 단호박 견과류 튀김, 토란대 들깨 볶음
우엉 잡채
우엉탕, 우엉 고추장 무침
우엉 양념구이, 우엉 찹쌀구이
아욱 수제비, 아욱국
단호박 된장 국수
통도라지 양념구이, 삼색 비빔국수
유부 채소밥, 두부 김밥
송이국, 송이 장아찌
송이구이, 송이밥
능이버섯 초회, 능이버섯 국
싸리버섯 볶음, 박나물
우엉잎 조림과 깻잎조림
재피잎 볶음, 김 무침, 연밥 조림
차조기 꽃대 장아찌, 방아잎 간장 장아찌, 방아잎 된장 버무리
토마토 간장 장아찌, 당귀잎 간장 장아찌, 재피잎 간장 장아찌, 재피잎 된장 버무리
얼갈이 배추김치, 누런 콩잎 장아찌
옥잠화 맨드라미 전, 과일떡
감 단자, 은행 경단, 무화과 잼
오갈피차, 뽕잎차, 칡차, 감잎차, 마가목차
이 계절의 마무리 - 사찰의 별미, 부각

2. 겨울
떡국, 팥죽
단호박 시루떡
늙은호박전, 늙은호박국
삼색 밀전병 동치미 국수, 만가닥버섯 무채 무침
콩나물 장조림, 콩나물 마지기국, 콩나물 잡채

이하 생략

저자 소개1

선재 스님

관심작가 알림신청
 
사찰음식 명장. 1980년 경기도 화성 신흥사 성일 스님을 은사로 출가, 수원 봉녕사 승가대학 대교과를 졸업했다. 여러 선방에서 정진하였으며 화성 신흥사 청소년 수련원에서 수행 지도를 했다. 1994년 중앙승가대학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며 발표한 「사찰음식문화연구」는 사찰음식에 대한 최초의 논문으로, 불교계는 물론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 뒤 큰 병을 앓고 사찰음식으로 치유한 뒤, 사람들이 자신과 같은 아픔을 겪지 않도록 위법망구(爲法忘軀, 바른 길을 전하기 위해 몸을 아끼지 않음) 정신으로 사찰음식을 전하는 한편, 불교 경전을 바탕으로 사찰음식의 철학과 정신을 체계
사찰음식 명장. 1980년 경기도 화성 신흥사 성일 스님을 은사로 출가, 수원 봉녕사 승가대학 대교과를 졸업했다. 여러 선방에서 정진하였으며 화성 신흥사 청소년 수련원에서 수행 지도를 했다. 1994년 중앙승가대학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며 발표한 「사찰음식문화연구」는 사찰음식에 대한 최초의 논문으로, 불교계는 물론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 뒤 큰 병을 앓고 사찰음식으로 치유한 뒤, 사람들이 자신과 같은 아픔을 겪지 않도록 위법망구(爲法忘軀, 바른 길을 전하기 위해 몸을 아끼지 않음) 정신으로 사찰음식을 전하는 한편, 불교 경전을 바탕으로 사찰음식의 철학과 정신을 체계적으로 다듬었다. 그것은 불교의 우주론적 관점에서 자연과 음식, 생명과 인간을 연관 지어 모든 생명이 행복하게 존재할 수 있는 평화와 공존으로서의 사찰음식이다.

전국비구니회관, 사찰음식체험관, 기업, 학교, 종교기관 등 국내 강연만 4천여 회, 세계슬로푸드대회와 세계 3대 요리학교인 프랑스의 르 꼬르동 블루 등 해외에서의 강연을 이어오고 있으며, 전 세계 유명요리사들이 찾아와 가르침을 스님에게 청하고 있다. 또 사찰김치 대중화, 학교급식에 전통 장 쓰기, 초등학교에 장독대 만들어주기 운동, 어린이 미각교실, 바른 식생활을 위한 어린이뮤지컬 〈그거 알아요. 음식은 생명!〉 제작 등 사찰음식 대중화와 어린이 음식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명리를 위한 일들은 단호히 거절하고 경계하며, 오직 사람들의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보살행으로서의 사찰음식을 알리고 만들어온 지 40여 년. 이러한 공功을 인정받아 지난 2016년 대한불교조계종단으로부터 최초로 ‘사찰음식 명장’을 수여받았다. 저서로 『선재 스님의 이야기로 버무린 사찰음식』, 『선재 스님의 사찰음식』이 있다.

선재 스님의 다른 상품

감수 : 김수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한 내과 전문의로 미국, 영국, 스웨덴, 중국에서 현대의학과 대체의학을 비교, 통합하는 작업을 해왔다. 현재 세경내과 원장, 세경 통합의학 연구소 소장으로 강의와 연구를 통해 통합의학의 중요성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11년 03월 03일
쪽수, 무게, 크기
239쪽 | 866g | 195*237*20mm
ISBN13
9788970419176

책 속으로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사찰음식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어떤 자세로 음식을 대할 것인가'이다. 사찰음식은 식도락의 대상이나 식욕을 충족시키는 도구가 아니다. 인간의 육체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영양분을 섭취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내도록 하는 것이 바로 사찰음식인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음식을 약으로 대하라고 하셨다. '음식은 약이다.' 이 말이 바로 음식을 대하는 바른 자세이다.

사찰음식과 일반음식은 만드는 방법에서도 차이가 난다. 사찰음식에 있어 조리는 맛을 내는 과정이 아니라 약을 만들기 위한 과정이다. 즉, 자연에서 나온 모든 산물에서 독은 제거하고 약 성분은 강화시킴으로써 음식을 약으로 만드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찰음식은 먹는 방법을 중요시한다. '때 아닌 때에 먹지 않고 필요한 때에 적절히 먹는 것'이 바로 음식을 약으로 먹는 자세인 것이다.

--- p.5-6

'모름지기 승려는 플뿌리와 나무껍질로 주린 배를 위로하라'는 원효대사의 글귀에는 인간의 오욕(五慾)을 떨쳐버리고 기름지지 않으며 맛보다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소찬(素饌)을 권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그렇다면 불교에서 허용하는 승려의 음식 즉 사찰음식이란 어떤 것인가를 정의내려보자. 사찰음식이란 오신채(마늘, 파, 달래, 부추, 홍거)와 산짐승을 뺀 산채, 들채, 나무열매, 나무껍질, 해초류, 곡류만을 가지고 음식을 만들되 음식의 조리방법이 간단하여 주재료의 맛과 향을 살리도록 양념을 제한하고 인위적인 조미료를 넣지 않은 음식이다.

--- p.14

두릅 600g, 소금 약간, 고춧가루 2큰술, 홍고추 3개
1. 두릅은 보라색 껍질이 붙은 것으로 골라 칼로 딱딱한 밑동을 잘라내고 껍질을 벗긴 후 물로 잘 씻는다. 물이 끓을 때 소금을 넣고 두릅을 밑동부터 넣어 숨만 살짝 죽을 만큼 데친 후 찬물에 한 번 헹구고, 그 물은 버리지 말고 둔다. 두릅을 데쳤던 물도 물김치 국물로 쓰기 위해 식혀둔다.

2. 두릅은 큰 것은 5cm 크기로 자르고, 굵은 것은 반으로 가른다. 두릅에 고춧가루와 소금을 넣고 무쳐 항아리에 담는다. 홍고추는 어슷썬다. 두릅 삶은 물에 두릅 헹군 물을 섞어 소금으로 삼삼하게 간한 후 두릅이 잠길 정도로 붓고 어슷썬 홍고추를 띄운다. 이틀 정도 두면 특유의 향이 나며 맛이 든다.

---p.159

두릅 600g, 소금 약간, 고춧가루 2큰술, 홍고추 3개
1. 두릅은 보라색 껍질이 붙은 것으로 골라 칼로 딱딱한 밑동을 잘라내고 껍질을 벗긴 후 물로 잘 씻는다. 물이 끓을 때 소금을 넣고 두릅을 밑동부터 넣어 숨만 살짝 죽을 만큼 데친 후 찬물에 한 번 헹구고, 그 물은 버리지 말고 둔다. 두릅을 데쳤던 물도 물김치 국물로 쓰기 위해 식혀둔다.

2. 두릅은 큰 것은 5cm 크기로 자르고, 굵은 것은 반으로 가른다. 두릅에 고춧가루와 소금을 넣고 무쳐 항아리에 담는다. 홍고추는 어슷썬다. 두릅 삶은 물에 두릅 헹군 물을 섞어 소금으로 삼삼하게 간한 후 두릅이 잠길 정도로 붓고 어슷썬 홍고추를 띄운다. 이틀 정도 두면 특유의 향이 나며 맛이 든다.

---p.159

리뷰/한줄평19

리뷰

9.4 리뷰 총점

한줄평

9.6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채널예스 기사1

  • 선재 스님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마음이 달라진다”
    선재 스님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마음이 달라진다”
    2017.01.26.
    기사 이동
13,500
1 13,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