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15,000
10 13,500
YES포인트?
7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자끄엘륄총서

책소개

목차

일러두기·11
참고문헌·12
전문서적·13
감사의 글·14
편집자 서문·15

저자 서론·23

Ⅰ. 기원들과 철학 사상·35

1. 마르크스 사상의 기원들·35
1.1. 헤겔과 변증법·39
1.2. 포이에르바하·43
1.2.1. 인간과 자연·43
1.2.2. 종교와 이성을 분리한 포이에르바하·44
1.2.3. 인간을 허약하게 만드는 행위·45
1.2.4. 기독교 구출하기·46
1.3. 헤겔과 포이에르바하에 직면하는 마르크스·47
1.3.1. 포이에르바하의 종교 개념을 따르는 마르크스·47
1.3.2. 마르크스에게 있어 헤겔 : 실증주의적 오류·49

2. 마르크스 사상의 전체 윤곽·52
2.1. 방법·52
2.1.1. 과학적 사회주의·52
2.1.2. 정치경제학에 적용·54
2.1.3. 마르크스 방법론에서 필연성·55
2.2. 프락시스에 관한 질문·56
2.2.1. 마르크스의 프락시스·56
2.2.2. 프락시스와 가치·58
2.3『. 1844년 경제학-철학 수고』·61
2.3.1『. 1844년 경제학-철학 수고』에 대한 다양한 해석·61
2.3.2. 수고에서 도출되는 세 가지 기본 사상·64

3. 마르크스의 유물론·70
3.1. 유물론의 여러 요소·70
3.1.1. 전제 : 물질로서의 세계·70
3.1.2. 물질 :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최초 소여所與·70
3.2. 유물론의 영역·71
3.2.1. 인간·71
3.2.2. 마르크스의 인간주의 문제·77
3.2.3. 사회·80
3.3. 유물론의 여러 양태·82
3.4. 이러한 유물론의 약점·83

4. 역사 개념·84
4.1. 역사의 질료·84
4.2. 역사의 변증법적 운동·87
4.2.1. 유물론적 변증법·87
4.2.2. 힘의 변증법·89
4.2.3. 인간 집단 사이의 변증법 : 계급투쟁·91
4.2.4. 일례 : 산업 혁명에 따른 부르주아 계급의 권력 획득·92
4.2.5. 마르크스에 따른 변증법의 방향·94
4.3. 역사의 운명?·96
4.3.1. 쟁점·96
4.3.2. 마르크스 사상에 대한 현대적 해석·99
4.4. 역사의 전개·106
4.4.1. 원시 공산제·107
4.4.2. 노예제 사회·107
4.4.3. 봉건주의 체제·109
4.4.4. 자본주의 체제·111
4.4.5. 역사 전개의 고전 도식에 대한 대안·113
4.4.6. 특수 사례 : 아시아적 생산양식·115
4.4.7. 사회주의 시기·117

Ⅱ. 마르크스의 경제 사상·121

1. 서 론·121

2. 마르크스의 정치경제 제반 관점·126
2.1. 경제학·126
2.1.1. 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의 정치경제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마르크스·126
2.1.2. 마르크스의 문제 : 자유주의 정치경제학의 불충분성·127
2.2. 경제학의 대상·130
2.2.1. 노동·130
2.2.2. 사적 소유·136
2.3. 경제 현상의 통일성·141
2.3.1. 생산과 소비의 관계·142
2.3.2. 생산과 분배의 관계·143
2.3.3. 교환과 생산의 관계·144
2.4. 마르크스가 보는 자본주의의 기원·144
2.4.1. 산업 자본의 발생·150
2.5『자본론』에 대한 대략적 묘사·152

3. 가치와 가격들·167
3.1. 가치 이론·168
3.2. 가격·174
3.2.1. 가치와 가격의 관계에 대한 일반적 시각·175
3.2.2. 생산에서 상품으로의 이행에 따른 가치와 가격·176
3.2.3. 가격으로 전환된 교환 가치로서의 생산과 노동·177
3.2.4. 자연 가격과 시장 가격을 구분하는 마르크스·178
3.2.5. 자연 가격에 대한 시장 가격 변동·179
3.2.6. 가치와 가격의 근본적 차이·180

4. 잉여가치·181
4.1. 잉여가치와 이윤·181
4.1.1. 노동력의 가치·182
4.1.2. 노동력 실행·183
4.1.3. 잉여가치·185
4.1.4. 가치 분할·186
4.1.5. 노동 상품 : 마르크스 경제 사상의 중심 개념·188
4.2. 절대적 잉여가치와 상대적 잉여가치·189
4.2.1. 절대적 잉여가치·189
4.2.2. 상대적 잉여가치·191
4.2.3. 임금 수준에 대한 노동자와 자본가 사이의 논쟁·193

5. 돈과 화폐·196
5.1. 경제적 측면들·196
5.1.1. 돈의 존재 조건 : 임금 노동·196
5.1.2. 돈과 부·197
5.2. 돈의 사회적, 인간적 측면·200
5.2.1. 첫 번째 측면 : 내재된 모순들·200
5.2.2. 두 번째 측면 : 매개의 문제·201
5.2.3. 지배와 종속 문제·202
5.2.4. 도덕적 효과도 갖는 돈·204

6. 자본·205
6.1. 잉여가치의 자본으로의 변형·206
6.2. 자본 구성 요소에 관한 분석·208
6.2.1. 불변 자본과 가변 자본·208
6.2.2. 고정 자본과 유동 자본·209
6.3. 자본 순환의 제반 과정·210
6.4. 시간적 요소의 통합·210
6.5.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 법칙·211
6.5.1. 임금과 축적·211
6.5.2. 축적의 진행 동안의 자본 구성의 연속적 변화들·212
6.5.3. 자본들의 집중·213
6.6. 자본주의의 여러 경향 법칙·214
6.6.1. 이윤율 저하 경향 법칙·214
6.6.2. 성장 점유 경향 법칙·216

Ⅲ. 마르크스의 정치 사회 개념들·217

1. 이데올로기·217
1.1. 이데올로기의 정의·217
1.2. 역사 생성에서 이데올로기 비판·219
1.3. 이데올로기와 사회 계급의 관계·222

2. 국가·225
2.1. 국가 개념과 부르주아 국가·227
2.1.1. 일반 국가·227
2.1.2. 부르주아 국가·228
2.1.3. 법·231
2.2. 민주주의·233
2.2.1. 마르크스의 표명 : 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세 가지 비판·233
2.2.2. 여타의 것들과 마찬가지인 국가로서 민주주의·235
2.2.3. 민주주의에 완전히 적대적이지 않은 마르크스·237
2.3. 사회 민주주의와 사태의 효력 상실·238
2.3.1. 형식 민주주의와 부르주아 민주주의 붕괴 일반론·238
2.3.2. 부르주아 민주주의 종말과 사민주의 시작의 시기·239
2.3.3. 파리 코뮌의 교훈·241

3. 종교 물음·243
3.1. 종교 현상 분석·243
3.1.1. 종교 현상에 대한 독창적 해석·244
3.1.2. 마르크스에 따른 종교사 :『신성가족』·246
3.2. 반(反)종교 투쟁·250
3.2.1. 종교, 자본주의 양식의 요소·250
3.2.2. 반(反)유신론자 마르크스·251
3.2.3. 실천 영역에서 종교에 대해 극단적이지 않은 마르크스·253

4. 소외·254
4.1. 노동에서의 소외·254
4.2. 돈에서의 소외·255
4.3. 정치적 소외와 종교적 소외·259
4.4. 소외에 대한 마르크스의 답변·259

5. 프롤레타리아 이론·261
5.1. 무산 계급화 이론·262
5.2. 빈곤화 법칙·266
5.3. 프롤레타리아“ 신화”·272

6. 계급투쟁·279
6.1. 사회 계급들·279
6.2. 역사 내 계급 발전·283


부록 : 자끄엘륄 저서 연대기·285

저자 소개2

자끄 엘륄

관심작가 알림신청
 

Jacques Ellul

"사고는 세계적으로 행동은 지역적으로"라는 지성인의 행동강령을 말한 프랑스 지성으로, 마르크스의 사회경제학적 접근과 기독교의 가치관을 조화시킨 4개의 박사학위를 가진 학자이자 실천가이다. 1912년 1월 6일 프랑스 보르도에서 태어났다. 1937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의 연구부장으로 지명되었으나 비시 프랑스 (Vichy France) 정부에 의해 해임되었다. 1936~1939년 사이에 프랑스 정계에 투신하여 활동하였고, 1940~1944년에는 레지스탕스 운동에 열렬히 가담했다. 1953년부터는 프랑스 개혁교회의 총회 임원으로 일하였다. 법학박사인 그는 다수의 책을 저술하여 사
"사고는 세계적으로 행동은 지역적으로"라는 지성인의 행동강령을 말한 프랑스 지성으로, 마르크스의 사회경제학적 접근과 기독교의 가치관을 조화시킨 4개의 박사학위를 가진 학자이자 실천가이다. 1912년 1월 6일 프랑스 보르도에서 태어났다. 1937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의 연구부장으로 지명되었으나 비시 프랑스 (Vichy France) 정부에 의해 해임되었다. 1936~1939년 사이에 프랑스 정계에 투신하여 활동하였고, 1940~1944년에는 레지스탕스 운동에 열렬히 가담했다. 1953년부터는 프랑스 개혁교회의 총회 임원으로 일하였다.

법학박사인 그는 다수의 책을 저술하여 사회학자, 신학자, 철학자로서 널리 알려졌다. 보르도대학에서 오랫동안 교수로 근무하였으며 '신앙과 삶'의 편집주간으로 활동하였다. 사후인 2002년 이스라엘의 얏 바셈(Yad Vashem)재단에 의해 나치 치하의 유대인 가족들을 위험을 무릎쓰고 도와준 것이 밝혀져 "열방가운데 의인"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기술(technique)에 대한 개념으로 현대사회를 설명하였으며, 법과 제도, 자유에 대한 탁월한 식견을 보였다. 또한 기독교인으로서의 다양한 저서를 집필하였는데, 한국에는 『세상속의 그리스도인』(1990), 『뒤틀려진 기독교』(1991), 『하나님이냐 돈이냐』(1992) ,『의심을 거친 믿음』, 『머리 둘 곳 없던 예수』 등 주로 신학관련 서적이 소개되었다. 최근에는 기술체계, 마르크스와 예수 등 사회와 역사 분야의 서적이 소개되고 있으며, 특히 『이슬람과 기독교』(2009)는 엘륄의 유작으로 영미권보다 한국어로 먼저 번역 소개된 바 있다.

자끄 엘륄의 다른 상품

연세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교 개신교신학과 박사과정에 있다. 현시대 인간론 재구성, 탈성장과 정치생태학, 종교와 경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본서를 비롯해, 자끄 엘륄의『 마르크스 사상』(대장간 2013), 『마르크스의 후계자』(대장간 2015),『 혁명에서 반란으로』(대장간 2019),『 생태감수성의 혁명적 힘』(비공 2021),『 기술담론의 허세』(대장간 2023), 아킬레 로시의『 시장 신화』(대장간2021), 리카르도 페트렐라 등의『 탈성장』(대장간 2021)을 우리말로 옮겼다.

안성헌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3년 12월 13일
쪽수, 무게, 크기
288쪽 | 152*225*20mm
ISBN13
9788970713137

출판사 리뷰

왜 자끄 엘륄 (Jacques Ellul)이 때론 마르크스의 분석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때론 가차없이 신랄하게 비판했는지 이 책이 답한다.

30년 간 개설된 이 강의에 앞서 엘륄이 한 말은 지금 이땅에서도 유효하다.

“나는 마르크스 사상이 19세기에서 멀리 벗어나 있는 가장 중요한 사상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또한 20세기를 위한 가장 중요한 지적 도전이다. 우리는 마르크스 사상에 관해서만 생각할 수 있을 뿐이다. 만일 우리가 마르크스 사상을 무시한다면, 그에 대해 우리는 그 무엇도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좀 더 심술궂은 표현으로 말하자면, 우리는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다. 나는 여러분이 마르크스에 대한 동조나 반대 입장을 취하게 되는 이유를 인식하게 되는 방향으로 이 강좌를 진행하고자 한다. 만일 여러분이 마르크스 사상에 동조한다면, 여러분은 왜 거기에 동조하는지를 알아야 할 것이다.
나는 여러분이 교조주의에서 벗어나기를 바란다. 내가 수용할 수 없는 교조주의가 존재하고, 항상 마르크스를 하나의 물신처럼 다루기를 거부하는 틀에서 본다면, 나 자신은 정통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다. 그러나 마르크스 사상은 지속적으로 내게 자극을 주고, 영감을 준다. 정치, 경제, 사회 현상들에 접근하는 마르크스의 방법론은 오늘날까지 우리에게 만족스러운 결과물들을 주는 유일한 방법론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그의 방법론보다 더 과학적인 방법론은 없다. 물론, 마르크스가 우리를 초대하는 매 순간, 자아비판이 실행되는 조건에서 그렇다.”

18세부터 마르크스 저작을 읽은 엘륄은 마르크스에 대한 매우 심오한 인식을 보여주며, 마르크스 사상에 대한 엘륄의 설명은 간결하고 명쾌하다. 자끄 엘륄은 마르크스주의와 기독교 신앙 사이에 모순을 세우지는 않는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배타적이고 치명적인 전투에 참여가 아닌 변증법적 갈등 관계가 존재한다. 여기에 칼 마르크스에 호소하는 현대인을 향하여 기독교 신앙을 증거 해야 할 이유가 있다. 마르크스는 엘륄이 이 세계를 이해하고 거기에 사는 인간들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그에게 성서는 인간적 그리고 사회적 실재를 읽을 수 있는 좌표를 제공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대답을 제공하는 책이 아니라, 하나님이 인간에게 던지는 질문을 담은 책이기 때문이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3,500
1 13,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