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 문
서 론 1부·혁명가들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1장·혁명적 서구의 종언 1. 프롤레타리아 2. 청년: 혁명적 세력 3. 지식인 4. 결론은? 2장·제3세계 1. 아프리카 2. 라틴아메리카의 혁명적 상황 3. 게릴라 4. 결론4 3장·중국의 문화혁명 1. 학설의 원천 2. 모순의 변증법 3. 혁명의 성공에 관하여 6 4장· 혁명과 대항문화 1. 첫 번째 혁명 - 반란 2. 미국 혁명 2부·혁명에서 반란으로 1장 ·결말도, 수단도 없다 1. 끝없는 싸움 2. 수단과 방법의 부재 2장·‘불가능한 혁명’에서 ‘반란의 봄’으로 1. 혁명 앞에 우뚝 솟은 장애물 2. 무의미한 혁명 3. 필요조건 성취 불능 4. 반란으로의 회귀 결 론 |
Jacques Ellul
자끄 엘륄의 다른 상품
안성헌의 다른 상품
자끄 엘륄의 서론
이 책은 반란과 혁명에 관해 분석했던 『혁명의 해부』(Autopsie de la revolution)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러나 『혁명의 해부』에서 분석했던 개념들로 회귀하지 않을 것이다. 『혁명의 해부』에서 나는 반란과 혁명을 둘러 싼 무수한 오해를 짚었고, 상대적으로 둘의 차이가 단순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반란과 혁명의 관계도 제시했고, ‘혁명’과 혁명 운동이 전개되는 ‘사회’의 개념 자체에 존재하는 관계도 다뤘다. 다양한 사회에서 벌어지는 혁명은 그 내용, 과정, 조건, 대상, 심지어 개념까지도 모두 상이하다. 우리가 포괄적으로 혁명이라 부르는 것과 사회에 부여된 유형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아닌 한 가지 유형론에서 시작할 때, 결과적으로 혁명의 사회학은 불가능할 것이다. 어떤 혁명도 결코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했다. 혁명의 정의나 혁명 현상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스파르타쿠스, 스텐카 라친, 크롬웰의 혁명에서 도출된 자료들을 누적할 필요는 없다. 또한 ‘혁명은 특정 사회에서 벌어진 특수 현상’이라는 일종의 공통체(共通體)를 만들 필요도 없다. 결국 『혁명의 해부』 결론부에서 나는 과연 무엇이 ‘현재’ 우리 사회, 즉 기술과 국가로 구현된 사회에 부합하는 혁명일 수 있는지를 말하려 했다. 그 점에서, 혁명 사회에 속하는 [파리] 코뮌이나 1917년에 대한 명상은 별 소용없다. 혁명이 존재해야 한다면, 반드시 ‘이 시대’를 위한 혁명이 되어야 한다. 이것이 나의 마지막 분석이었다. 더불어 나는 이러한 혁명이 과연 구체적으로 가능한지를 자문하면서, 이 책 『혁명에서 반란으로』를 시작하려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난제와 갈등의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 그것은 이 사회를 위해 필요한 혁명, 유일무이한 혁명과 맞물릴 수 있는가? 아니면 이 사회가 이미 누적한 각종 성향들을 확인하는데 그치는 다소 지체된 운동들에 불과한가? 우리가 탐구했던 “혁명의 시기”마다, 혁명의 거대한 물줄기도 예외 없이 장기간 그 흐름을 타다가 결국 시들해졌다. 혁명의 물줄기를 태동시킨 상황이 좌절되었을 때, 그 흐름을 야기했던 문제가 사라졌을 때, 어김없이 혁명의 조류는 사라졌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자문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서구에서 혁명은 여전히 가능한가? 과연 이 세계의 상황이 혁명을 생각할 수 있는 상황인가? |
“그는 진정한 사상가이다” - Royaliste
|
“그는 통찰력을 가지고 이미 거의 모든 것을 예측했다” - Reforme
|
“그의 글은 불쾌하게 남지만, 선지자적 목소리는 여전히 공명한다” - La Croix
|
오늘날 자끄 엘륄을 읽는다는 말은 각자의 삶과 행동의 원천을 발견하고, 방향을 바꿔 또 다른 희망을 찾아 나서고, 협잡(挾雜)의 가면을 벗기는 투쟁을 수용한다는 말과 같다. 그것은 “구글(Google)이 짜 놓은 세상을 단념”할 수 있는 위험까지도 감수하는 삶의 수용일 것이다. - 프레데릭 호뇽 (프랑스 스트라스부르그 대학교 개신교 신학대학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