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저도다야마 가즈히사
관심작가 알림신청도다야마 가즈히사의 다른 상품
역이소담
관심작가 알림신청이소담 의 다른 상품
이제까지는 공포는 철학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사람들은 왜 무서워하면서도 공포 영화를 보는 걸까? 공포와 웃음이 공존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공포를 느끼는 대상은 왜 이토록 다채로운 걸까? 우리는 왜 공포를 느낄까? 저자가 호러 영화를 처음 만난 것은 고등학생 때였다. 그날 영화관에서는 두 편의 영화가 동시상영 중이었는데, 그중 하나가 〈텍사스 전기톱 학살〉이었고, 나머지 하나가 앤디 워홀의 괴작 〈프랑켄슈타인〉이었다. 저자는 전기톱을 들고 피해자를 쫓는 살인마 ’레더페이스’의 괴상한 모습에 겁을 먹고, 구토감을 느낄 정도로 공포를 느꼈다. 이때 마음속에 의문이 생겼다. ‘왜 허구인 줄 알면서 구토를 할 정도로 무서웠을까?’ 그런데 ‘이렇게 무서운데 왜 영화를 즐겼을까?’, 그리고 ‘사람은 왜 이토록 다양한 것을 무서워하게 된 걸까?’ 이 책은 그 오래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저자는 이 책을 “호러를 소재로 공포란 대체 무엇인지 철학해보고자 하는 무모한 시도의 결과물”이라고 평했다. 왜냐하면 공포는 제대로 철학의 주제가 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공포는 왜 철학의 주제가 되지 못했을까? 전통적으로 정서는 이성적 판단과 합리적 추론을 방해하는 요소로 취급받아 왔다. 과연 정서는 제거되어야 할 이성과 합리의 적일까? 그렇다면 왜 이성과 합리를 추구하는 인간은 아직까지 정서를 제거하지 못하고 있는 걸까? 혹시 정서도 우리의 행동에 합리성을 가져다주는 작용을 하는 것은 아닐까? 라는 의구심 속에서 정서야말로 합리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주역이라는 견해가 철학, 심리학, 뇌신경 과학에서도 두드러졌다. 웃음, 사랑, 절망과 같은 정서가 철학에서 왕성하게 논의될 때도 심장 고동, 동공 수축, 얼굴 혈관 확장, 손발 떨림 같은 신체적 반응에서 시작하는 공포는 동물적이고 본능적인 반응에 지나지 않는다고 여겨져 철학에서 연구 주제로 삼지 않았다. 하지만 공포라는 정서에는 위의 질문들처럼 생각해볼만한 수수께끼가 많다. 그리고 호러라는 장르의 존재가 공포의 수수께끼를 더욱 다양하고 심오하게 해준다. “의문이 존재하는 이상 생각해보는 것이 철학”이라며 공포를 파헤치기 시작한다. 한번도 제대로 철학의 주제가 되지 못한 것을 철학한다는 것은 저자는 공포의 원형을 ‘어라? 무서워! 꺄!’ 체험이라고 정의한다. 일상어에 가까운 ‘어라 무서워 꺄’는 만화 영화 주제곡 가사다. 저자는 거기에 이미 공포에 대한 정의가 들어있다고 말하며 공포를 인식하는 과정을 3단계로 분석한다.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 대상을 인지하는 단계인 ‘어라?’, 공포와 무서움을 느끼는 단계인 ‘무서워!’, 위해를 줄이려는 행동을 촉구하는 ‘꺄!’ 단계까지 이렇게 공포는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사이코〉, 〈13일의 금요일〉, 〈텍사스 전기톱 학살〉, 〈스크림〉 등 고전 공포 영화를 통해 더 자세하게 분석한다. 철학이라고 해서 거창하고 어려운 이야기가 아닌 우리가 생활 속에 있는 공포 영화에서 시작하는, 그야말로 살아있는 철학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영화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공포는 정서의 일종이므로 감정 심리학이나 정서 철학의 지표들을 이용해 공포가 무엇인지 분석한다. 정서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논하는 제시 프린츠의 ‘부분의 문제’라든지, 캐넌의 중추기원설, 왓슨의 행동주의 심리학, 인지적 평가 이론 등 다양한 이론들을 분석하며 공포의 본질을 찾으려고 한다. 이 책을 통해 철학의 주제가 된 적이 없는 것을 어떻게 철학적으로 접근해가는지 알게 될 것이다. 살아있는 철학을 하는 철학자 도다야마 가즈히사는 도쿄대학교에서 과학철학을 공부하고, 나고야대학교 정보학연구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에서 17만 부 이상 판매된 《초보자를 위한 논문 쓰기 교실》을 써서 과학철학과 논리학 입문서 저자로도 이름이 높다. 《과학으로 풀어낸 철학입문》 《과학자에게 이의를 제기합니다》 등을 통해 과학 철학의 대중화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 역시 일본 대학에서 철학 입문 교재로 쓰일 정도로 철학에 대한 접근성을 가깝게 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은 과학과 기술, 정보, 사회와의 접점에서 ‘살아있는’ 철학의 주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과학 철학을 기반으로 수 · 정보 · 심리적 상태 등의 추상적 대상을 유물론적 세계관에 어떻게 부합 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와 과학 기술은 시민 일반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있다면서 응용 윤리, 과학 기술의 사회론적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또한 지식은 인간의 전매특허가 아니라 다른 생물들도 볼 수 있는 자연 현상이라고 하면서 인식론을 자연과학의 일부에 포함하는 인식론의 자연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