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2년 05월 1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4쪽 | 386g | 122*188*20mm |
ISBN13 | 9791191043754 |
ISBN10 | 1191043754 |
발행일 | 2022년 05월 1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4쪽 | 386g | 122*188*20mm |
ISBN13 | 9791191043754 |
ISBN10 | 1191043754 |
MD 한마디
열차 사고로 사랑하는 이를 잃은 사람들, 사고 당일의 열차에 올라 사랑하는 이의 마지막을 함께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소문이 돌자, 그들은 간절한 그 순간을 위해 열차에 오르기로 결심한다. 애틋한 그리움이 만드는 기적 같은 이야기 -소설PD 박형욱
제1화 연인에게 제2화 아버지에게 제3화 당신에게 제4화 남편에게 |
소재는 좋았으나 그 소재를 이끌어 나가는 스토리는 전형적인 신파 뭐 특별할 것도 없고 뻔히 예상되는 스토리와 각 에피소드들은 엔딩부분에 여기서 이제 울어!라고 하는 텍스트들 2022년도에 아직도 이런 류의 소설이 나오고 유통이 되다니 쩝....청소년들이 읽으면 감성 자극하기에는 좋겠다 생각이 되네 근데 매번 느끼는 거지만 150자 짜증나네 더 할말이 없는데 뭘 더 쓰라는건지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사고로 무고한 목숨을 잃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기억에 남는 큰 사고만 꼽아도 1970년 모산역 건널목 사고, 1993년의 서해 페리호 사고, 2014년의 세월호 침몰사고, 2022년의 이태원 압사사고 등이 있습니다. 관계자들이 안전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되어있었다면 피할 수 있는 사건들입니다.
세월이 지나면 기억이 흐려지기 때문인지 잊어버릴만하면 안전과 관련된 대향사고 들이 이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환상과 현실세계를 넘나드는 작품을 발표하고 있는 일본 작가 무라세 다케시의 <세상의 마지막 기차역>은 안전불감증이 만들어낸 기차 추락사고에 얽힌 뒷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책장을 열면 이야기의 핵심을 가늠할 수 있는 내용이 요약되어 있습니다. 봄기운이 감돌던 어느날 가마쿠라 시로 가는 상행 급행열차가 선로를 벗어나 절벽 아래로 추락하여 승객 127명 가운데 68명이 사망하였습니다. 사고 후 두어 달이 지난 뒤에 가마쿠라 선로를 달리는 유령열차가 등장했다는 소문이 등장했습니다. 사고현장에서 가까운 니시유이가하마 역의 승강장에 나타나는 유키호라는 유령이 나타나는데 그녀가 유령열차에 타는 방법을 알려준다고 했습니다. 단 네 가지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나, 죽은 피해자가 승차했던 역에서만 열차를 탈 수 있다.
둘, 피해자에게 곧 죽는다는 사실을 알려서는 안된다.
셋, 열차가 니시유이가하마 역을 통과하기 전에 어딘가 다른 역에서 내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당신도 사고를 당해 죽는다.
넷, 죽은 사람을 만나더라도 현실은 무엇 하나 달라지지 않는다. 아무리 애를 써도 죽은 사람은 다시 살아 돌아오지 않는다. 만일 열차가 탈선하기 전에 피해자를 하차시키려고 한다면 원래 현실로 돌아올 것이다.
이런 규칙을 지켜야 한다면 굳이 열차를 타야 할 이유가 있을까 싶습니다만, 이 책에서는 네 사람이 유령열차를 타게 되는 사연을 담았습니다. 첫 번째는 약혼자를 가슴에 묻은 여자, 두 번째는 아버지를 떠나보낸 아들, 세 번째는 짝사랑하는 여학생을 잃은 한 소년, 네 번째는 이 사고의 피의자로 지목된 기관사의 아내 등입니다. 유키호에 따르면 ”열차가 달리면서 내는 소리도 간절한 그리움을 간직한 사람한테만 들리고, 탈선 사고로 인해 마음에 맺힌 게 있는 사람의 눈에만 유령열차가 보인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유령열차가 나날이 투명해지고 있어, 머지않아 하늘로 올라갈 것이라고 합니다.
이야기를 읽어가다 보면 네 사람 모두 유령열차를 타야할 분명한 이유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 사람들은 이미 죽은 이들에게 당신이 죽을 것이라는 이야기 말고 무슨 말을 하고 싶었을까요? 혹여 사랑하는 사람과 죽음을 같이하려는 생각은 아니었을까요
열차에 관한 이야기들을 모으고 있어서 이 책을 구입한 적이 있습니다. 지난 해말 호주와 뉴질랜드를 여행하면서 읽으려거 챙겨갔습니다. 그런데 아내가 호주로 가는 비행기에서 읽다가 그만 기내에 두고 내리는 바람에 결말 부분을 읽지 못했고 저는 아예 읽어보지도 못해서 찜찜했습니다. 이 책은 2022년 출간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았다고 합니다. 동네 도서관에서도 예약이 밀려있어 빌려볼 수도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최근에 근무하는 곳 가까이 있는 도서관에 회원등록을 하면서 빌릴 수 있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나서야 깨닫는다. 자신이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아름다운 나날을 보내고 있음을. (p.9) / 현실이 아무것도 바뀌지 않아도 상관없다. 네모토가 살아 돌아오지 않아도 괜찮다. 나는 그저 딱 한 번만 그를 만나고 싶다. (p.74)
누구나 그런 상상을 해본 적 있을 것이다. 헤어진 연인을 다시 만나는 상상. 나도 그런 상상을 해본 적이 있다. 이왕이면 가장 예쁘게 차려입은 날, 초라하지 않은 행색으로 만나면 좋겠다고, 어색하지 않은 말도 술술 하기를 바라며 상상해본 적이 있다. 그런데 만약, 그 대상이 죽어서 다시 볼 수 없는 사람이라면? 죽음이 갈라놓은 것이라면? 또 그 대상이 가족이라면? 가족을 잃은 분들께는 미안한 말이지만 나는 상상도 하고 싶지 않다. 생각만으로도 가슴이 미어질 듯하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그렇게 사랑하는 이를 잃은 이들의 이야기 4가지가 기묘하게 이어진다. 유일한 가족이자 친구인 약혼자를 잃은 여자, 자신을 보듬어준 아빠를 잃은 남자, 첫사랑이자 삶을 지탱하게 해준 사람을 잃은 남학생, 가해자로 지목되었으나 그저 피해자의 하나인 기관사의 아내. 이들은 저마다의 아픔과 미련을 가지고 유령열차에 탄다. 죽은 자들이 탔던 역에서만 탈 수 있고, 사고가 나기 전에 내려야만 하며, 죽은 자들을 데리고 내리려 하거나, 그들에게 죽음을 이야기할 수 없는단 한번의 만남. 이렇게도 많은 제약이지만 그들은 모두 아픈 마음을 잡고 기차에 오른다. 그들도 그들이지만 기차에서 내릴 수 없는 이들의 절절함이 마음을 울렸다.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혼자 남아서도, 부디 잘 살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느껴져 가슴 아팠다.
네가 얼마나 힘든지 다 안다고 위로하지는 못해. 설령 내 부모님이 돌아가셨더라도 네 마음을 이해한다고 말해서도 안 되고.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말은 너무나 무책임한 소리라고 생각해. 각자 사정이 있는 법이니까. (p.40)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아픔과 슬픔을 가슴에 안고 살아간다. 그리고 우리가 종종 잃어버리지만, 그와 비슷한 만큼의 행복과 웃음도 가지고 있다. 소중한 이들을, 소중한 것들을 이별과 헤어짐, 시간의 한계 아예 놓아보면 그것이 얼마나 귀한지 깨닫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며 모든 것이 얼마나 귀한지 새삼 느꼈다. 잊고 살던 귀한 것을 떠올리게 한·독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