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_생활 속 세시 풍속 일 년 내내 잔치만 하던 사람들 … 012 해의 날과 달의 날 … 014 집 안에 귀신이 득시글득시글 … 018 느티떡과 골무떡은 언제 먹나요? … 023 제2장_일 년 열두 달, 이십사절기 속 재미있는 세시 풍속 음력 1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30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사라졌어요? 030 | 더위도 팔았던 정월 대보름 037 | 귀신 날이 왔다. 집에서 꼼짝 마! 042 | 학교 보내 주고 장가보내 주던 소의 날 046 | 봄이 드는 입춘과 강물이 녹는 우수 049 음력 2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51 머슴 송편 먹고 돌덩이를 들면 세경이 올라간다 051 | 영등 할머니, 딸 말고 며느리를 데리고 오세요 055 | 용알 주워 먹던 경칩과 나이 떡 먹는 춘분 057 음력 3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61 노랑나비 따라 꽃놀이도 흐드러진 삼짇날 061 | 불을 피우지 않고 찬밥 먹는 날, 한식 064 | 나의 나무 심는 청명과 볍씨 틔우는 곡우 065 음력 4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69 어린이날처럼 즐거웠던 사월 초파일 069 | 모내기를 시작하는 입하와 이팝나무 꽃을 보며 배곯는 소만 073 음력 5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78 단오 그넷줄에 물이 흘러야 풍년이 든다 078 | 자신의 몸을 태워 비를 불러온 임금님 082 | 손톱에 붉은 물을 들이면 귀신이 달아나요 084 | 햇보리를 먹는 망종과 비를 기다리는 하지 085 음력 6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88 옛날 사람들의 여름휴가, 유두잔치 088 | 삼복더위에 목욕하면 살이 빠진다? 092 | 귀족에게는, 사치요 백성에게는 아픔이던 얼음 093 | 찜통더위 소서와 염소 뿔도 녹이는 대서 097 음력 7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00 바느질 솜씨를 직녀에게 비는 칠석날 100 | 호미 씻고 소 타는 백중 104 | 기청제를 올리는 입추와 모기 입이 삐뚤어지는 처서 106 음력 8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09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109 | 포도 따는 백로와 목화 따는 추분 117 음력 9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20 양반은 시 읊고 농부는 벼 타작하는 중양절 120 | 찬 이슬이 내리는 한로와 서리가 내리는 상강 122 음력 10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26 하늘과 조상, 신들에게 감사하는 상달 126 | 김장 방학이라고 들어는 봤니? 127 | 보리 심는 입동과 월동 준비에 바쁜 소설 131 음력 11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35 옛날의 작은 설, 동지 135 | 보리 싹이 눈 이불을 덮는 대설과 버선 짓는 동지 140 음력 12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42 섣달그믐날 나타나는 신발 도둑, 야광귀 142 | 참새 잡고 엿 만들기 딱 좋은 날, 납일 146 | 잠들면 눈썹이 허옇게 되는 공포의 날 147 |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놀러갔을까? 150 제3장_세시 풍속 놀이 재미있는 전래 놀이… 154 연날리기 154 | 널뛰기 156 | 윷놀이 159 | 쥐불놀이 162 | 줄다리기 163 | 강강술래 166 | 놋다리밟기 167 |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스물네 번째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
대한(大寒)은 음력 12월 섣달에 들어 있으며 매듭을 짓는 절후이다.
양력 1월 20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태양이 황경(黃經)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24절기 가운데 스물세 번째 절기로 작은 추위라는 뜻의 절기.
소한(小寒)은 양력 1월 5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태양이 황경(黃經) 28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외우면서 공부하지 않아도, 쏙쏙 들어오는 재미있는 세시 풍속
1장 「생활 속 세시풍속」에서는 하루하루를 잔치처럼 살아가던 우리 조상들이 이야기로
농사를 잘 짓기 위해 절기를 정하고 1년 열두 달 시시때때로 변하는 날씨와 환경 속에서 세시풍속을 만들고, 집안에 득시글득시글하던 각종 귀신의 이야기와 때마다 만들어 나누어 먹던 맛있는 떡 이야기를 통해 세시풍속에 대해 알게 된다.
2장 「일 년 열두 달, 이십사절기 속 재미있는 세시 풍속」
월별로 찾아오는 절기와 때마다 지켜나갔던 세시 풍속을 바탕으로 선조들의 1월 설을 시작으로 월별, 이십사절기 이야기, 귀신을 피해 숨어있던 귀신날 이야기, 용알을 찾아 시냇가를 헤매던 이야기, 삼복더위에 목욕하지 않고 참아야 했던 사연과 얼음으로 사치하던 양반들 때문에 아픔을 겪은 이야기들이 나온다.
3장 「세시 풍속 놀이」에서는 연날리기, 쥐불놀이, 놋다리밟기 등 세시풍속에 아이와 어른들이 즐기던 재미있는 전래놀이에 대해 설명해준다.
재미있는 그림과 이야기로 세시풍속에 대해 공부하고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어
이 겨울이 지나가기 전에 아이와 함께 읽어보기를 권한다.
일 년 열두 달 이십사절기 속 재미있는 세시 풍속 이야기를 알 수 있는 책이예요.
정월대보름이면 오곡밥과 나물을 먹는데 오곡밥을 싫어하고,
동지에 팥죽 먹는데 팥을 싫어하는 아이는 왜 먹는지 잘 모르지요.
책을 읽으면서 그 음식이 모두 우리의 세시 풍속에 기원한 제철 음식이라는걸 알게 되었어요.
해의 날과 달의 날
생일을 음력으로 하다보니 헷갈려하고 왜 우리는 음력으로 생일을 하냐고 했는데 양력과 음력에 대해 알게 되었어요.
일본이 우리 민족의 전통인 음력 설을 없애려고 했다고 텔레비전에서 본 적이 있는데,
양력 설과 음력 설에 대한 아픈 역사를 알 수 있었어요.
정월 대보름
오곡밥과 나물, 부럼을 먹지요.
세시 풍속을 배우고, 긁어 부스럼이라는 재미있는 우리말도 배울 수 있어요.
책 제목을 보고 대한과 소한이 이름인 줄 알았다네요.
음력 12월에 오는 절기와 날씨에 대한 속담인데 큰 추위라는 뜻의 대한이 작은 추위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을 만큼 소한의 추위가 매섭다는 뜻이 담겨 있지요.
날씨 들으면 이십사절기가 나오는데 흘려 듣던 이십사절기를 책을 읽으며 배워요.
세시 풍속으로 역사를 알게 되니 역사를 배우고 있고 재미있어하는 아이에게 좋은 책이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