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

신기방기 전통문화-세시 풍속이동
정윤경 글 / 최선혜 그림 | 분홍고래 | 2019년 11월 25일   저자/출판사 더보기/감추기
리뷰 총점10.0 리뷰 19건 | 판매지수 480
신상품이 출시되면 알려드립니다. 시리즈 알림신청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9년 11월 25일
쪽수, 무게, 크기 224쪽 | 450g | 185*250*20mm
ISBN13 9791185876511
ISBN10 1185876510
KC인증 kc마크 인증유형 : 적합성확인
인증번호 :

이 상품의 태그

우리 동네에 혹등고래가 산다

우리 동네에 혹등고래가 산다

10,800 (10%)

'우리 동네에 혹등고래가 산다' 상세페이지 이동

귀 큰 토끼의 고민 상담소

귀 큰 토끼의 고민 상담소

7,200 (10%)

'귀 큰 토끼의 고민 상담소' 상세페이지 이동

수상한 지진과 지형의 비밀

수상한 지진과 지형의 비밀

10,800 (10%)

'수상한 지진과 지형의 비밀'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가 온다, 바이러스

미래가 온다, 바이러스

11,700 (10%)

'미래가 온다, 바이러스' 상세페이지 이동

유전자 조작 반려동물 뭉치

유전자 조작 반려동물 뭉치

11,400 (5%)

'유전자 조작 반려동물 뭉치' 상세페이지 이동

로봇 형 로봇 동생

로봇 형 로봇 동생

9,900 (10%)

'로봇 형 로봇 동생' 상세페이지 이동

옛날 옛날 우리 엄마가 살았습니다

옛날 옛날 우리 엄마가 살았습니다

9,900 (10%)

'옛날 옛날 우리 엄마가 살았습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고구려 하늘에 쏘아 올린 화살

고구려 하늘에 쏘아 올린 화살

9,000 (10%)

'고구려 하늘에 쏘아 올린 화살' 상세페이지 이동

골동품 수리점의 비밀

골동품 수리점의 비밀

10,450 (5%)

'골동품 수리점의 비밀' 상세페이지 이동

그날의 기억

그날의 기억

9,900 (10%)

'그날의 기억'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역사에 숨어 있는 민주주의 씨앗

우리 역사에 숨어 있는 민주주의 씨앗

12,150 (10%)

'우리 역사에 숨어 있는 민주주의 씨앗' 상세페이지 이동

행운 바이러스

행운 바이러스

11,400 (5%)

'행운 바이러스' 상세페이지 이동

투명 의자

투명 의자

10,350 (10%)

'투명 의자' 상세페이지 이동

야, 제주다!

야, 제주다!

10,800 (10%)

'야, 제주다!' 상세페이지 이동

나비 부자

나비 부자

10,620 (10%)

'나비 부자'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태양의 아이

나는 태양의 아이

10,800 (10%)

'나는 태양의 아이'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

11,700 (10%)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 상세페이지 이동

독립군이 된 류타

독립군이 된 류타

9,900 (10%)

'독립군이 된 류타' 상세페이지 이동

백만장자 할머니와 상속자들

백만장자 할머니와 상속자들

11,700 (10%)

'백만장자 할머니와 상속자들' 상세페이지 이동

하얀웃음과 돌고래

하얀웃음과 돌고래

11,700 (10%)

'하얀웃음과 돌고래' 상세페이지 이동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제1장_생활 속 세시 풍속

일 년 내내 잔치만 하던 사람들 … 012 해의 날과 달의 날 … 014
집 안에 귀신이 득시글득시글 … 018 느티떡과 골무떡은 언제 먹나요? … 023

제2장_일 년 열두 달, 이십사절기 속 재미있는 세시 풍속

음력 1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30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사라졌어요? 030 | 더위도 팔았던 정월 대보름 037 | 귀신 날이 왔다. 집에서 꼼짝 마! 042 | 학교 보내 주고 장가보내 주던 소의 날 046 | 봄이 드는 입춘과 강물이 녹는 우수 049
음력 2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51
머슴 송편 먹고 돌덩이를 들면 세경이 올라간다 051 | 영등 할머니, 딸 말고 며느리를 데리고 오세요 055 | 용알 주워 먹던 경칩과 나이 떡 먹는 춘분 057
음력 3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61
노랑나비 따라 꽃놀이도 흐드러진 삼짇날 061 | 불을 피우지 않고 찬밥 먹는 날, 한식 064 | 나의 나무 심는 청명과 볍씨 틔우는 곡우 065
음력 4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69
어린이날처럼 즐거웠던 사월 초파일 069 | 모내기를 시작하는 입하와 이팝나무 꽃을 보며 배곯는 소만 073
음력 5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78
단오 그넷줄에 물이 흘러야 풍년이 든다 078 | 자신의 몸을 태워 비를 불러온 임금님 082 | 손톱에 붉은 물을 들이면 귀신이 달아나요 084 | 햇보리를 먹는 망종과
비를 기다리는 하지 085
음력 6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088
옛날 사람들의 여름휴가, 유두잔치 088 | 삼복더위에 목욕하면 살이 빠진다? 092 | 귀족에게는, 사치요 백성에게는 아픔이던 얼음 093 | 찜통더위 소서와 염소 뿔도
녹이는 대서 097
음력 7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00
바느질 솜씨를 직녀에게 비는 칠석날 100 | 호미 씻고 소 타는 백중 104 | 기청제를 올리는 입추와 모기 입이 삐뚤어지는 처서 106
음력 8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09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109 | 포도 따는 백로와 목화 따는 추분 117
음력 9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20
양반은 시 읊고 농부는 벼 타작하는 중양절 120 | 찬 이슬이 내리는 한로와 서리가 내리는 상강 122
음력 10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26
하늘과 조상, 신들에게 감사하는 상달 126 | 김장 방학이라고 들어는 봤니? 127 | 보리 심는 입동과 월동 준비에 바쁜 소설 131
음력 11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35
옛날의 작은 설, 동지 135 | 보리 싹이 눈 이불을 덮는 대설과 버선 짓는 동지 140
음력 12월의 세시 풍속과 절기… 142
섣달그믐날 나타나는 신발 도둑, 야광귀 142 | 참새 잡고 엿 만들기 딱 좋은 날, 납일 146 | 잠들면 눈썹이 허옇게 되는 공포의 날 147 |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놀러갔을까? 150

제3장_세시 풍속 놀이

재미있는 전래 놀이… 154
연날리기 154 | 널뛰기 156 | 윷놀이 159 | 쥐불놀이 162 | 줄다리기 163 | 강강술래 166 | 놋다리밟기 167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음력 1월 1일, 날씨 맑음
오늘은 설날. 설날은 원래 새 옷도 입고 맛있는 것도 먹는 즐거운 날이 지만 나에게는 아주 고약한 날이었다. 설날인데도 학교에서 시험을 봤고 들뜬 마음에 시험을 봐서인지 시험을 망쳐서 기분이 안 좋았다. 그리고 선생님께서 갑자기 도시락 검사를 하셨는데 반찬으로 아침에 차례 지내고 남은 음식을 싸 왔다고 혼이 났다. 그래, 거기까지는 나뿐만 아니라 반 아이들도 같이 당한 일이니 그럴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집에 가서 더 큰 불행이 닥쳤다. 새로 산 설빔을 입고 어젯밤에 방앗간 집에서 몰래 얻어 온 가래떡을 먹으면서 놀고 있는데 경찰이 나타나 내 설빔에 먹물을 뿌렸다. 내 예쁜 새 옷뿐 아니라 맛있게 먹던 가래떡도 온통 먹물 범벅이 되었다. 마지막 한 개 남은 것이라 동생이 달라고 해도 안 준 귀한 떡인데 말이다. 그 꼴로 집에 돌아가면 혼날까 봐 무서워서 날이 어두워질 때까지 숨어 있다가 나를 찾으러 오신 아버지께 딱 걸렸다. 혼날까 봐 심장이 두근두근하는데 아버지께서 우리 설날을 없애려고 일본 사람들이 하는 짓이라며 오히려 나를 위로해 주셨다. 아버지의 말씀을 듣자 참았던 울음이 터져 나왔다. 우리 설날을 없애려는 일본 사람이 미워서 눈물이 났고 설날인데 쫄쫄 굶어 배가 고파서 눈물이 났다. 오늘은 즐거운 설날이 아니라 슬픈 설날이었다.
--- 본문 중에서

정월 보름에 마을 제사를 지내고 나면 온 동네가 잔치로 시끌벅적했어. 농악대가 집집마다 돌면서 풍물놀이로 땅의 신을 달래는 ‘지신밟기’를 했고, 보름달이 잘 보이는 곳에 나무와 짚을 묶어 달집을 지어 놓고 달이 떠오르면 불을 붙여 태우는 ‘달집태우기’를 하면서 성대한 마을 잔치를 이어갔지.
아이와 어른 할 것 없이 모두 더위를 팔러 다니느라 바빴는데 더위를 어떻게 팔았을까? “만수야, 내 더위 사가라!”, “칠성아 내 더위 사라!” 하고 정월 보름에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말로 더위를 팔았어. 그러면 그해 여름은 더위를 먹지 않고 잘 지낼 수 있다고 믿었대. 장난꾸러기들에게는 그것도 재미있는 놀이였을 테니 서로에게 먼저 더위를 파느라 정신이 없었을 거야.
아침에 눈 뜨자마자 신나게 더위를 팔던 아이들은 삼삼오오 떼를 지어서 남의 집 부뚜막에 올려놓은 밥을 훔쳐 먹었어. 그땐 그것이 당연한 놀이였다고 해. 아이들을 위해 일부러 부뚜막에 밥을 담아 올려놓기도 했다니 말이야. 원래 남의 집 밥이 괜히 더 맛있게 느껴지는 법이잖아?
남의 집에서 얻어 온 밥을 배불리 먹은 아이들은 빈 깡통에 구멍을 여러 개 뚫고 둥그런 나무를 넣고 철사로 끈을 만들어 밤이 되기를 기다렸어.
--- 본문 중에서

경상남도 지방에서는 상축일에 절구질도 하지 않았대. 왜냐하면, 상축일에 절구질하면 소가 머리가 아프거나 병이 걸려 죽는다고 믿었거든. 소는 농사를 짓던 우리 민족에게 재산 목록 1호였고 젖을 짜 우유를 주고 일을 하는 일꾼이 되기도 하며, 고기를 주는 고마운 동물이기 때문이야. 옛날에는 소가 아주 비싼 값으로 거래되었기 때문에 자식이 학교에 들어가면 등록금을 마련하려고 소를 팔기도 하고 장가나 시집을 보내려고 소를 팔기도 했어.
식구 같던 소를 내다 파는 것이 큰 슬픔이었지만 자기 자식을 위해 눈물을 머금고 소를 팔아 돈을 마련하곤 했지. 소는 그 값어치만큼 귀한 대접을 받았기 때문에 하늘에 제사를 올릴 때도 소를 신성한 제물로 바치곤 했어.
이에 유래한 말이 ‘희생犧牲’이라는 단어야. 희생이라는 어원을 보면, 천지종묘天地宗廟 제사 때 제물로 바치는 산 짐승을 하거든. 상축일은 사람을 위해 희생하는 소에게 좋은 먹이를 주고 일을 시키지 않으며 극진히 대접하는 날이야. 상축일에 하지 말아야 하는 일도 많았는데 고기를 써는 것 같은 도마질도 금지했고 연장을 만지는 일도 방아를 찧는 일도 모두 금했고, 집 밖으로 곡식을 내어 가는 일도 금했어. 이것은 소가 일을 해서 어렵게 만든 곡식을 이날만큼은 함부로 집 밖으로 내보내지 말고 소의 고마움을 생각하자는 의미였대.
---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전통문화와 함께 이어온 우리의 진짜 역사 이야기!

우리 선조들의 수백 년 삶 속에는 수많은 이야기가 숨어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그 이야기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쓸모없고 하찮다고 생각하는 것들에는 그냥 잊어버리기에는 너무나 소중한 이야기가 많습니다. 그 이야기는 우리 선조의 희로애락의 모습이 고스란히 투영되어 있습니다. 현재 우리의 역사책은 ‘왕’을 중심으로 구성된 이야기가 보편적입니다. 하지만 과거에 왕만 존재했던 것은 아니지요. 수많은 평범한 백성과 그들의 일상도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책은 평범한 우리의 역사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지내는 설이나 추석도 모두 세시 풍속이라고 해요. 피자와 치킨을 좋아하는 아이들은 쑥버무리와 화전이 무엇인지 그림이나 사진으로만 구경했을 뿐이죠. 언제 왜 오곡밥을 먹고, 화전을 부쳐 먹는 삼짇날이 무엇인지 몰라요. 팥죽 한 그릇에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는지 세시 풍속과 함께 알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거예요. 세시 풍속이라는 조금 낯설고 딱딱한 단어 속에는 신나는 놀이와 맛있는 음식 그리고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무시무시하지만 재미난 이야기가 가득 들어 있어요.
-저자의 말 중에서

진짜 역사책이 나타났다!
일 년 열두 달 이십사절기에 숨겨진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


텔레비전도, 인터넷도 없던 옛날, 선조들은 대한, 소한, 동지, 입춘, 대서, 추분, 백로 등 1년에 12번 바뀌는 절기에 맞추어 대보름, 한식, 단오, 칠석, 동지 등의 명절과 같은 세시풍속을 지켜나갔습니다. 일기예보에서나 봄 직한 낯선 이름의 절기들과 이제는 거의 잊힌 세시풍속이 참 낯설게 느껴질 것입니다. 그런데 알고 보면 현재에도 참고하는 절기가 많이 있습니다. 그것은 옛날 사람들이 믿고 지키던 절기가 과학적이라는 걸 뜻합니다.

“대한이 소한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대한이가 누구이기에 소한이네 집에 가서 얼어 죽었을까? 공포 스릴러 영화 같은 이 이야기는 음력 12월에 오는 절기와 날씨에 대한 속담입니다. 큰 추위라는 뜻의 대한이 작은 추위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을 만큼 소한의 추위가 매섭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이 속담에는 ‘대한’과 ‘소한’이라는 절기가 나옵니다. 이 책을 읽고 보면 조상들이 믿고 따르던 절기가 꽤 과학적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도대체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그것을 다 알았을까요? 속담에서 따온 이 책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는 절기와 세시 풍속을 우리의 할머니의 할머니부터 전해 내려오던 옛날이야기와 생활 모습을 통해 들려줍니다. 옛날이야기처럼 재미있게 엮어낸 세시풍속을 듣다 보면 선조들의 현명함에 놀라기도 하고, 또 황당한 이야기에 웃음이 절로 나기도 할 것입니다. 외우면서 공부하지 않아도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자연스럽게 전통문화 세시 풍속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 속에서 서로 돕고 슬기롭게 살아가던 우리 조상들의 따뜻한 마음과 지혜도 본받게 될 것입니다.

역사 공부와 함께 어휘력도 쑥쑥!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한글의 70퍼센트가 한자어라고 합니다. 오늘날 합성어와 신조어가 많이 생겨났지만, 그래도 한자어는 우리 말에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런데 한자어 중에는 그 언어가 생겨난 유래를 품고 있는 말도 많습니다.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를 읽다 보면 이러한 유래를 담고 있는 단어들을 많이 만나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터무니없다’의 ‘터’는 터주신이 지키는 집터를 말합니다. ‘무니’는 무늬’, 즉 모양이나 자국으로 집터의 자국이 없으니 집을 지었던 무늬가 없는데 집이 있다고 우기듯 근거 없는 말을 반박할 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책 속에는 속담도 가득합니다. 세시 풍속에 얽힌 이야기를 읽고 그에 담긴 속담을 알아보면 그 속담의 뜻이 더 명확하게 이해됩니다. 또한, 당시 세시 풍속을 담은 귀한 사진들도 함께 소개하고 있어서 시대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돗자리에 앉아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들려주던 옛날이야기를 듣듯 쉬운 입말로 꾸며진 책은 아이들에게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해 줄 것입니다.

회원리뷰 (19건) 리뷰 총점10.0

혜택 및 유의사항?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r****m | 2020.01.20 | 추천0 | 댓글0 리뷰제목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스물네 번째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 대한(大寒)은 음력 12월 섣달에 들어 있으며 매듭을 짓는 절후이다. 양력 1월 20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태양이 황경(黃經)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24절기 가운데 스물세 번째 절기로 작은 추위라는 뜻의 절기. 소한(小寒)은 양력 1월 5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태양이 황경;
리뷰제목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스물네 번째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

대한(大寒)은 음력 12월 섣달에 들어 있으며 매듭을 짓는 절후이다.

양력 120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태양이 황경(黃經)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24절기 가운데 스물세 번째 절기로 작은 추위라는 뜻의 절기.

소한(小寒)은 양력 15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태양이 황경(黃經) 28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외우면서 공부하지 않아도, 쏙쏙 들어오는 재미있는 세시 풍속

 

1생활 속 세시풍속에서는 하루하루를 잔치처럼 살아가던 우리 조상들이 이야기로

농사를 잘 짓기 위해 절기를 정하고 1년 열두 달 시시때때로 변하는 날씨와 환경 속에서 세시풍속을 만들고, 집안에 득시글득시글하던 각종 귀신의 이야기와 때마다 만들어 나누어 먹던 맛있는 떡 이야기를 통해 세시풍속에 대해 알게 된다.

 

2일 년 열두 달, 이십사절기 속 재미있는 세시 풍속

월별로 찾아오는 절기와 때마다 지켜나갔던 세시 풍속을 바탕으로 선조들의 1월 설을 시작으로 월별, 이십사절기 이야기, 귀신을 피해 숨어있던 귀신날 이야기, 용알을 찾아 시냇가를 헤매던 이야기, 삼복더위에 목욕하지 않고 참아야 했던 사연과 얼음으로 사치하던 양반들 때문에 아픔을 겪은 이야기들이 나온다.

 

3세시 풍속 놀이에서는 연날리기, 쥐불놀이, 놋다리밟기 등 세시풍속에 아이와 어른들이 즐기던 재미있는 전래놀이에 대해 설명해준다.

 

재미있는 그림과 이야기로 세시풍속에 대해 공부하고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어

이 겨울이 지나가기 전에 아이와 함께 읽어보기를 권한다.

댓글 0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포토리뷰 조상들의 따뜻한 세시풍속 이야기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e*******0 | 2020.01.10 | 추천1 | 댓글1 리뷰제목
자라면서 매해 겨울이면 "대한이가 소한이네 가서 얼어 죽었대. 어우 춥다 추워"라는 말을 어른들께 듣곤 했는데 이런 익숙한 표현들을 포함 1년 4계절 24절기를 적절한 삽화와 속담, 우리말 풀이, 옛 사진과 그림까지 곁들여 흥미롭게 기술한 책이다. 책의 첫장에서 마지막장까지 읽다보면 1년 농사, 1년 가족 행사가 눈에 그려지고 우리 조상들의 부지런함과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정윤;
리뷰제목
자라면서 매해 겨울이면 "대한이가 소한이네 가서 얼어 죽었대. 어우 춥다 추워"라는 말을 어른들께 듣곤 했는데 이런 익숙한 표현들을 포함 1년 4계절 24절기를 적절한 삽화와 속담, 우리말 풀이, 옛 사진과 그림까지 곁들여 흥미롭게 기술한 책이다. 책의 첫장에서 마지막장까지 읽다보면 1년 농사, 1년 가족 행사가 눈에 그려지고 우리 조상들의 부지런함과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정윤경 쌤의 이전 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아이들에게 다정하게 말하는 투의 문장들은 매우 정감있고 따뜻하여 바로 옆에서 옛날 이야기를 듣는 것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 초등학교 사회 교과와도 연계하여 한 권쯤 소장하여 관련된 세시풍속을 찾아보면 좋을 듯 하다.



댓글 1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1
포토리뷰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YES마니아 : 로얄 스타블로거 : 블루스타 동*이 | 2020.01.03 | 추천0 | 댓글0 리뷰제목
 일 년 열두 달 이십사절기 속 재미있는 세시 풍속 이야기를 알 수 있는 책이예요.     정월대보름이면 오곡밥과 나물을 먹는데 오곡밥을 싫어하고,동지에 팥죽 먹는데 팥을 싫어하는 아이는 왜 먹는지 잘 모르지요.책을 읽으면서 그 음식이 모두 우리의 세시 풍속에 기원한 제철 음식이라는걸 알게 되었어요.  해의 날과 달의 날생일을 음력으로 하다보니 헷;
리뷰제목

 

일 년 열두 달 이십사절기 속 재미있는 세시 풍속 이야기를 알 수 있는 책이예요.

 

 

 

정월대보름이면 오곡밥과 나물을 먹는데 오곡밥을 싫어하고,

동지에 팥죽 먹는데 팥을 싫어하는 아이는 왜 먹는지 잘 모르지요.

책을 읽으면서 그 음식이 모두 우리의 세시 풍속에 기원한 제철 음식이라는걸 알게 되었어요.

 

해의 날과 달의 날
생일을 음력으로 하다보니 헷갈려하고 왜 우리는 음력으로 생일을 하냐고 했는데 양력과 음력에 대해 알게 되었어요.

 

일본이 우리 민족의 전통인 음력 설을 없애려고 했다고 텔레비전에서 본 적이 있는데,

양력 설과 음력 설에 대한 아픈 역사를 알 수 있었어요. 

 

정월 대보름
오곡밥과 나물, 부럼을 먹지요.
세시 풍속을 배우고, 긁어 부스럼이라는 재미있는 우리말도 배울 수 있어요.

 

책 제목을 보고 대한과 소한이 이름인 줄 알았다네요.
음력 12월에 오는 절기와 날씨에 대한 속담인데 큰 추위라는 뜻의 대한이 작은 추위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을 만큼 소한의 추위가 매섭다는 뜻이 담겨 있지요.

날씨 들으면 이십사절기가 나오는데 흘려 듣던 이십사절기를 책을 읽으며 배워요.

세시 풍속으로 역사를 알게 되니 역사를 배우고 있고 재미있어하는 아이에게 좋은 책이예요.

 

댓글 0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한줄평 (4건) 한줄평 총점 10.0

혜택 및 유의사항 ?
평점5점
재미있어서 시간가는줄 모르는책.. 쉽고 유익하고 재미있어요!!
1명이 이 한줄평을 추천합니다. 공감 1
YES마니아 : 로얄 효*이 | 2021.10.18
평점5점
초등학생아이들이 꼭읽으면좋을 필독도서입니다. 읽기쉽게 써있어서 너무좋네요.
1명이 이 한줄평을 추천합니다. 공감 1
m*****9 | 2019.11.29
구매 평점5점
초등 필수도서네요 내용도 알차서.쭉 보관해서 읽어도 되겠어요 강추도서입니다
1명이 이 한줄평을 추천합니다. 공감 1
s*********4 | 2019.11.28

이 상품의 특별 구성

신기방기 전통문화 시리즈 3권 세트

신기방기 전통문화 시리즈 3권 세트

35,100 (10%)

'신기방기 전통문화 시리즈 3권 세트 ' 상세페이지 이동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1,7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