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머리말
제1장 디지털 시대 PR의 정의 및 역할, 어떻게 다른가? 1. PR이란 2. PR 유사 개념 3.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변화 4. 디지털 시대 PR의 역할 제2장 PR,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 1. PR의 역사 2. 한국 PR의 역사 3. PR의 진화 4. 결어 제3장 PR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1. PR의 기능 2. PR의 기획 구조 3. PR의 윤리적 고려 제4장 공중은 누구인가? 1. 공중이란 누구인가? 2. 공중유형의 분류 3. 디지털 환경에서의 온라인 공중 4. 결론 제5장 CSR은 기업의 명성 관리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1. 기업 명성 2. 기업 명성 관리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3. 기업 명성 관리로서의 CSR 제6장 이슈, 쟁점 진화인가? 관리인가? 1. 이슈의 정의 및 특징 2. 이슈의 발전 3. 이슈 관리의 정의 4. 이슈 관리 전략 및 단계 5. 이슈 관리의 가치 제7장 위기는 예측할 수 있는가? 1. 위기와 위기관리 2. 위기 대응의 전략: 이론적 접근 3. 디지털 시대의 위기관리와 소통 4. 통합적 접근: 위기, 응급, 위험 커뮤니케이션 5. 결론 제8장 디지털 시대, 언론관계는 최선의 PR인가? 1. 언론관계 개념 2. 언론관계와 PR 산업의 성장 3. PR 커뮤니케이션과 언론관계 4. 언론관계 활동과 뉴스 5. 보도자료 6. 결론 제9장 사내 커뮤니케이션, 왜 조직에게 중요한가? 1.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유형 2. 사내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3. 사내 커뮤니케이션 담당부서 4.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전환 제10장 마케팅PR(MPR), 마케팅의 시대적 요청인가? 1. MPR의 정의와 개념 2. IMC와 MPR, BPR 3. 전략으로서의 MPR 4. 전술로서의 MPR 5. MPR 효과 측정 제11장 지역사회, 어떻게 조직의 선택된 이웃이 되는가? 1. 지역사회관계관리(공동체관계관리) 활동의 정의와 개요 2. 지역사회관계관리(공동체관계관리) 활동의 핵심 3. 지역사회관계관리(공동체관계관리)의 효과 제12장 공공PR의 주체는 누구이고, 무엇을 하는가? 1. 공공PR의 개념 2. 정부의 공공PR 3. 기업의 공공PR 4. 공공PR의 과제 제13장 SNS는 왜 PR활동의 필수가 되어 가나? 1. 서론 2.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 SNS의 특징 3. SNS와 조직-공중관계성 관리 4. SNS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5. SNS와 위기 커뮤니케이션 6. 결론 제14장 문화콘텐츠는 어떻게 PR을 완성시키는가? 1. 문화콘텐츠와 PR 2. 홍보대사와 PR 3. 스폰서십과 PR 찾아보기 |
김현정의 다른 상품
정원준의 다른 상품
이유나의 다른 상품
이철한 의 다른 상품
정현주의 다른 상품
백혜진의 다른 상품
최홍림의 다른 상품
조삼섭의 다른 상품
조재형의 다른 상품
이형민 의 다른 상품
김활빈의 다른 상품
쉽고 간단한 소통이 불러온 소통의 질에 대한 고민과 해결책
소통 부재의 시대? 상호이익은 진정한 상생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 책『디지털 시대의 PR학신론』은 단순히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PR학의 이론적 확장과 적용 뿐만 아니라 공중과의 진정한 상생, 진정한 상호이익을 만들어 내고 유지해 나가기 위한 PR활동을 위해 첫 발걸음을 떼는 수많은 예비 실무자의 토대를 만들어 주는 위한 입문서이다. 최근 대중에게 좋은 평판과 이미지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끊임없이 '보상'을 공급하는 것은 실제로 상호이익을 위한 진정한 공중관계 활동이라고 할 수 없다. 디지털 시대이기에 보다 쉽고 간단하게 공중과 소통할 수 있게 되었지만 그 소통의 질에 대한 심사숙고는 더욱 깊어지고 있는 것이 모든 개인과 이익집단의 고민이다. 이런 '상호적' 관계를 의미하는 PR활동은 그 어떤 비즈니스보다 깊은 울림과 때로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감동을 선사해야 한다. 하루 5번 밥을 먹으며 기자들을 만나 부탁하던 시절은 끝났다. 이제 비대면의 소통은 늘어가고, 디지털을 통한 실무와 이론을 겸비하는 사회과학으로서 PR 커뮤니케이션학의 학문적 내용과 함의에도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정보습득, 공유 채널의 다양화로 성숙하고 현명하며 비판 능력까지 겸비한 '똑똑한 소비자'의 등장은 여러 환경 변화 중 가치 중심 소통의 중요성을 높였다 그리고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사내) 대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도 중요해지기 때문에 디지털 소통 시대의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의 변화는 어떤 것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디지털 환경에서, 비대면 소통이 증가하는 요즘, 모든 공중이 '잘 지낼 수 있는' 길을 잘 찾기를 간절히 기대한다. 총 14장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각 장 서두에는 그 장을 공부하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물음을 넣어 초점을 갖고 핵심 내용을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장의 마지막에는 국내외 최신 사례를 넣어 토론을 해 볼 만한 주제들을 배치하였다. 이를 통해 PR학 전 분야를 망라한 각 분야를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