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 알을 낳지 않겠어!
2. 닭장을 나오다 3. 마당 식구들 4. 친구 5. 이별과 만남 6. 마당을 나오다 7. 떠돌이와 사냥꾼 8. 엄마, 나는 괙괙거릴 수밖에 없어 9. 저수지의 나그네들 10. 사냥꾼을 사냥하다 11. 아카시아꽃처럼 눈이 내릴 때 |
黃善美
황선미의 다른 상품
김환영의 다른 상품
따뜻한 바람이 불어 왔다. 저수지에 얼음이 녹자 청둥오리들이 활기차게 헤엄쳐 다녔다. 잎싹은 저수지 가장자리를 거닐었다. 좀더 가까운 곳에서 초록머리를 보고 싶어서였다. 집오리들도 모처럼 나들이를 나왔다. 겨우내 헤엄을 치지 못한 오리들이 물을 보자마자 앞을 다투어 뛰어들었다. 잎싹을 본 우두머리가 점잖게 인사를 건넸다. '겨울 나기가 어려웠던 모양이군. 너무 말랐어. 쯧쯧.' 잎삭은 조용히 미소만 지었다.
헛간에서 피둥피둥 살만 찐 오리들이 조금도 부럽지 않았다. 우두머리가 너그러운 얼굴로 말했다. '하지만, 왠지 좋아 보이는 걸. 내 말은, 모양새는 뭐 그저 그런데, 뭔가......' 설명하기 어려운지 우두머리가 날개를 으쓱했다. '헛간의 암탉과는 다른 것 같아. 훨씬 당당해진 것 같고, 우아하고. 참 이상도 하지. 깃털이 숭숭 빠졌는데도 그렇게 보이다니!' 그 말은 칭찬처럼 들렸다. 우두머리가 물에 들어가려고 깃털을 매만지다 물었다. '그 애는? 안 보이는데 혹시......' 혹시 죽은 건 아니냐고 묻는 거였다. 잎싹은 때마침 힘차게 날아오르는 초록머리를 가리켰다. 우두머기가 놀랍다는 듯 눈을 가늘게 뜨고 초록머리를 쳐다보았다. 그리고 잎싹을 향해 고개를 조금 숙여 존경을 표시했다. --- pp.176-177 |
"잎싹아. 너는 훌륭한 어미 닭이야"
"아냐, 그런 말을 듣자는 게 아냐" "그래도 말하고 싶어. 나는 날지 못하게 된 야생 오리고, 너는 보기 드문 암탉이야" "그래 그렇다고 해도...." "그러면 된 거야. 우리는 다르게 생겨서 서로를 속속들이 이해할 수 없지만 사랑할 수는 있어. 나는 너를 존경해" --- p.81 |
"모두 알다시피 문제가 복잡해. 암탉이 오리알을 깠어. 그리고 마당에 살려고 찾아왔어. 나는 헛간의 우두머리로서 결정을 내릴 수 있지만 그 전에 오리 의견도 들을 생각이야. 닭과 오리에 대한 문제니까. 꼴불견 암탉을 어떻게 하지? 저 조무래기는 또 어떻게 하지?"
수탉이 경멸하는 눈초리로 잎싹을 노려보았다. "헛간에 암탉은 나 하나로 충분해. 게다가 아기가 여섯이나 태어나서 헛간이 비좁단 말이야. 아기들을 가르칠 일도 걱정이야. '어째서 쟤는 암탉한테 괙괙거리며 엄마라고 하지?', '어째서 쟤는 우리와 달라?' 하고 쉬지 않고 물을 게 뻔해. 어떤 아기는 삐악거리지 않고 괙괙 소리를 흉내낼지도 몰라. 나는 무질서한 상태에서 아기를 키울 수가 없어. 그러니 꼴불견 암탉과 아기 오리를 내보내는 게 좋겠어." 암탉이 말했다. "뭐니뭐니해도 질서가 중요하지! 암, 그렇고말고!" 개가 고개를 끄덕이며 맞장구 쳤다. 잎싹은 날개 밑에서 나오려고 꼼직락거리는 아기를 힘주어 안았다. 마당 식구들이 아기를 보면 더욱 화를 낼지도 모르니까. --- p.97 |
심오한 주제와 감동적인 이야기로 아동문학의 진수를 보여 주는 장편동화
이 작품은 알을 품어 병아리의 탄생을 보겠다는 소망을 간직하고 양계장을 나온 암탉 '잎싹'이 자기와 다르게 생긴 아기 오리를 지극한 사랑으로 키운 뒤 놓아 보내 주고 제 목숨을 족제비에게 내어주지까지의 삶과 죽음, 고통스럽지만 자신의 소망과 자유, 그리고 사랑을 실현해나가는 삶을 아름답게 그린 장편동화이다.
바람과 햇빛을 한껏 빨아들이고, 떨어진 뒤에는 썩어서 거름이 되고, 결국 향기로운 꽃을 피워내는 아카시아나무 잎사귀처럼 뭔가를 하고 싶어 스스로 제 이름을 '잎싹'이라 지은 암탉, 자신의 소망을 이루기 위해 자유로운 삶을 찾아 배불리 먹을 수 있는 양계장과 안전한 마당을 나온 암탉, 목 깃털이 빠지고 볼품없이 말랐지만 자신의 삶과 자식(아기 청둥오리)을 지키기 위해 족제비와 용감하게 맞서 싸우는 암탉, 생각이 깊지만, 때론 엉뚱하고 유머를 지닌 암탉. 이 작품에는 이런 암탉 잎싹만큼이나 풍부한 개성과 다양한 삶의 유형을 가진 동물들이 등장한다. 양계장에 갇혀 배부르게 먹고 품지도 못할 알을 낳으면서 아무 생각 없이 사는 난용종 암탉, 마당에서 수탉과 병아리와 함께 만족스럽게 살면서 혹시라도 누가 끼어들어 그 생활을 흐트러뜨리지 않나 전전긍긍하는 관상용 암탉, 한쪽 날개를 다쳤지만 자신의 본성을 잃지 않고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나그네 청둥오리, 권위주의를 상징하는 수탉, 자신의 본성을 망각하고 안락한 삶에 안주하는 집오리떼, 기회주의자의 전형인 문지기 개 …. 『마당을 나온 암탉』은 주인공 잎싹이 소망을 굳게 간직하고 자기 삶의 주인으로 꿋꿋하게 살아가는 모습과 독특하고 개성적인 등장인물의 다양한 삶을 통해 오늘의 어린이로 하여금 '나는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기본적인 질문과 반성을 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다소 어렵고 무거울 수 있는 주제지만, 박진감 넘치는 탄탄한 구성과 풍부한 상징성, 독특한 등장인물의 창조, 산뜻하고 감성적인 문체 등 고도의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작품의 깊이는 물론 진한 감동과 문학의 참맛을 흠뻑 느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