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갈라지는 길에서 / 멋쟁이 할머니 / 다른 쪽에서 / 훼방꾼 / 딱! 걸려서 / 어쩌면 … 친구 / 뜻밖에도 / 선택 / 너를 초대해 /
|
黃善美
황선미의 다른 상품
최정인의 다른 상품
표현에 서툰 아이와 자기표현을 하기 시작한 아이들. 솔직해진 아이들이 만들어 가는 작은 사회. 때로는 오해를 하고 갈등을 빚고 끝내 이별하게 되는 과정. 누구 잘못을 따지고 들춰서 따끔하게 혼내 주기보다 스스로 견디며 치유해 나가고 변화를 마음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일. 누군가는 그걸 알아 줬으면 하는 마음. 이 과정을 통해서 진짜 친구를 확인하고 헤어진 친구도 미워하지 않고 잘 보낼 수 있기를.
아이가 자라서 어른이 되는 동안 만나게 되는 사람들, 사건, 곤란한 문제, 슬픔, 외로움 모두 다 대개는 지나가게 돼 있습니다. 그리고 또 언젠가는 우연히 만나기도 해요. 시간이 훌쩍 지난 뒤에. 그러니 잘 보내 줘야겠지요. 다시 만났을 때 환하게 마주할 수 있으려면. 나를 잘 지켜 낼 책임은 우선 나에게 있답니다. 그럴 수 있는 사람은 아무리 많은 사람들 속에 있어도 반짝거리게 마련이죠. -작가의 말 중에서 --- 본문 중에서 |
표현에 서툰 아이와 자기표현을 하기 시작한 아이들. 솔직해진 아이들이 만들어 가는 작은 사회. 때로는 오해를 하고 갈등을 빚고 끝내 이별하게 되는 과정. 누구 잘못을 따지고 들춰서 따끔하게 혼내 주기보다 스스로 견디며 치유해 나가고 변화를 마음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일. 누군가는 그걸 알아 줬으면 하는 마음. 이 과정을 통해서 진짜 친구를 확인하고 헤어진 친구도 미워하지 않고 잘 보낼 수 있기를.
아이가 자라서 어른이 되는 동안 만나게 되는 사람들, 사건, 곤란한 문제, 슬픔, 외로움 모두 다 대개는 지나가게 돼 있습니다. 그리고 또 언젠가는 우연히 만나기도 해요. 시간이 훌쩍 지난 뒤에. 그러니 잘 보내 줘야겠지요. 다시 만났을 때 환하게 마주할 수 있으려면. 나를 잘 지켜 낼 책임은 우선 나에게 있답니다. 그럴 수 있는 사람은 아무리 많은 사람들 속에 있어도 반짝거리게 마련이죠. -작가의 말 중에서 나를 표현해도 될까? 나는 동생을 셋이나 둔 맏이다. 나는 큰딸이고 누나고 언니고, 절대로 어린애처럼 굴면 안 되는 애다. 자꾸만 내가 가정부 같은 기분이 든다. 나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다. 옷 공방을 다녀야겠지만 지금은 미술 학원으로 만족해야 한다. 학원이 집에서 멀면 안 된다며 엄마가 마음대로 정한 곳이지만 그냥 다닌다. 수연이는 나를 자주 흘끔거렸다. 우린 싸우지도 않았다. 큰일도 없었고. 걔들이 한 덩어리고 나만 혼자라는 게 참기 어렵다. 수연이가 등 돌리고 떠나 버렸다는 걸 나는 뼈저리게 깨달았다. - 《일투성이 제아》 본문 중에서 열두 살 사춘기 소녀 제아에게는 해야 할 일도, 하고 싶은 일도, 얽히고설킨 일도 많습니다. 그야말로 일투성이지요. 그래서인지 속도, 생각도 깊습니다. 하지만 표현에는 서툴러서 자기표현이 강한 가족들과 친구들 사이에서 표류하지요. 마음속에서는 온갖 불평과 불만이 일어도 그저 묵묵히 맞벌이 부모님 대신 셋이나 되는 동생을 돌보고, 원하는 건 따로 있지만 엄마가 정해 준 미술 학원에 다니고, 베프인 수연이를 잃지 않으려고 먼 길을 돌아 집으로 갑니다. 그러던 어느 날, 파자마 파티에 가지 못한 것을 계기로 제아의 모든 것이 흔들립니다. 잘해오던 집안일이 싫어지고, 오랜 단짝 친구와 편이 갈려 외톨이가 되고, 미처 몰랐던 아이들이 손을 내밉니다. 제아는 갈등합니다. 수연이와 화해하고 예전으로 돌아갈지, 책 읽는 도우미를 포기하고 늘 그랬듯이 동생들 뒤치다꺼리와 집안일을 해야 할지, 자존심 때문에 새 친구들의 손을 잡을 것인지, 자신의 마음과 생각을 표현해도 될지 말입니다. 작가는 〈재투성이 신데렐라〉에서 모티프를 얻었습니다. 신데렐라의 새어머니처럼 집안일을 시키는 엄마, 심술쟁이 새언니들처럼 제아를 따돌리는 수연이와 지혜, 신데렐라를 도와주는 생쥐 같은 연주와 다영이, 요정처럼 나타난 폐지 할머니, 멋진 왕자님 같은 은조. 과연 제아도 신데렐라처럼 변할 수 있을까요? 선택은 나의 몫 생각이 분명해졌다. 내가 해야 될 게 무엇인지 또렷해진 것이다. 책임져야 될 하나하나가. 달라진 건 없지만 기분은 다르다. 설명할 수 없어도 분명히 다르다. 불안하고 설렌다. 숨을 깊게 들이마셨다가 천천히 내뱉었다. “나, 선택이라는 걸 했어.” 처음으로 미술 학원에 가지 않았다. 거기를 그만둬야 내 선택에 책임을 질 수 있게 된다. -《일투성이 제아》 본문 중에서 하지만 우리의 일투성이 소녀 제아는 다릅니다. 가족들과 친구들에게 휘둘리지 않습니다. 폐지 할머니와 다른 친구들의 도움도 받지 않습니다. 제아는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해서 변화를 맞이하지요. 멀어진 친구 수연이를 보내고, 집안일을 줄이고, 미술 학원을 그만둔 것 모두 제아의 의지입니다. 물론 그 뒤에는 지켜봐 주는 든든한 어른이 있습니다. ‘좋은 시작은 좋은 끝을 불러오게 돼 있다.’ 작가는 폐지 할머니의 목소리를 빌려 아이 스스로의 선택을 북돋우고 믿고 응원합니다. 그 과정에서 아이들이 성공도 하고, 실패도 하며, 그렇게 배우면서 자기 정체성이라는 튼튼한 근육을 키워 냈으면 하는 바람을 드러내지요. 다시 상처받을지라도 “엄마, 나 책방에서 일하기로 했어. 하루니까 그날만 책방 앞에서 쌍둥이 내리게 해 줘요. 미술 학원도 그만 다닐래. 대신 진짜로 가고 싶은데 다닐래.” 그때 나는 생각했다. 친구가 꼭 수연이라야 되는 건 아니라고. 다른 길로 가 버린 친구는 그냥 보내는 거라고. 언니처럼 구는 다영이도 좋고 덩달아 울어 준 연주도 좋고. 이젠 내 마음을 감추거나 참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일투성이 제아》 본문 중에서 제아의 일상은 이제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다영, 연주와 단짝이 되었고, 책 읽는 도우미가 되었으며, 옷 공방도 다닙니다. 은조에게 고백 편지도 받았습니다. 이야기는 이렇게 끝나지만 이야기 밖 제아들, 독자들에게는 또 다른 일이 기다릴 겁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다영, 연주와 편이 갈릴 수도, 생각보다 옷 공방이 재미없어서 그만 둘 수도 있겠지요. 그것으로 상처받고 또 다시 선택을 하는 과정에서 독자들은 몸도 마음도 한 뼘 자라 있음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부모님보다 친구가 소중한 나이. 그렇기에 마찰도 잡음도 많은 시기. 그 마찰과 잡음을 이겨내는 힘은 내 안에 있다는 것을 알려 주는 동화, 《일투성이 제아》입니다. 선생님과 곱씹으며 읽는 이마주 창작동화 이마주 창작동화에는 전략적 독서 방법론을 연구하는 현직 국어 교사 모임, 서울초등국어교과교육연구회의 도움글이 실려 있습니다.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과 감정 헤아리기, 가장 인상적인 명장면 꼽아 보고 한 줄로 기록하기 등 다양한 독서 방법을 제안해서 작품을 곱씹으며 유의미한 독서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한 번 읽고 마는 독서가 아니라 인물의 말이나 행동, 왜 그랬을까?, 마음은 어땠을까? 이렇게 묻고 답하다 보면 생각이 깊어집니다. 질문을 만들어, 묻고 답하면서 책 읽기. 내 생각을 남과 나누면서 생각의 깊이를 더하는 즐거운 책 읽기가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