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그림자의 정면」_정세호
「회화목 우는 집」_배명은 「초인종에 침을 바르는 남자」_홍지운 「장롱」_김유철 「낮달」_한새마 |
정세호의 다른 상품
배명은의 다른 상품
홍석인, dcdc
홍지운의 다른 상품
김유철의 다른 상품
한새마의 다른 상품
위태롭게 버티는 와중에, 언제 친구를 해칠지 알 수 없는 녀석을 발견했을 것이다. 자신과 많이 닮았고 그래서 더 참기 힘든, 부서지고 부서져 더이상 인간이 아닌 무언가를.
--- p.50, 「정세호, 〈그림자의 정면〉」 중에서 폐가 주위의 말라비틀어진 수풀이 바람에 몸을 눕히자 기괴하게 뒤틀린 회화목의 굵은 나뭇가지가 탁탁, 유리를 두드렸다. 인테리어 시공을 했을 때까진 이렇지 않았다. 원래 이 나무의 생장 속도가 이런 건지 모르겠지만, 갑자기 자라난 것 같은 기분이 들어 오싹했다. 거기에…. --- p.62, 「배명은, 〈회화목 우는 집〉」 중에서 “역신이네. 할머님이 손주를 살리셨어.” “왜 또 색다른 헛소리니.” “남루한 차림새에 금줄을 목에 두르고서 문패에 준한다고 할 수 있는 초인종에 타액으로 표식을 하고 다닌다며. 침이니 그나마 다행이지. 피였으면 또 팬데믹이다.” --- p.107, 「홍지운, 〈초인종에 침을 바르는 남자〉」 중에서 그때 또다시 기분 나쁜 소리가 들려왔다. 끽끽, 끽끽. 장롱 안에서 누군가가 긁어대는 소리 같았다. 정말 장롱귀신이 존재할 리는 없잖아. 김은 이제껏 환청에 시달렸을 뿐이야. 송은 장롱 바로 앞까지 다가가 손잡이를 잡고 힘차게 문을 열었다. --- p.157, 「김유철, 〈장롱〉」 중에서 귓구멍에선 진물이 흐르고, 털 빠진 가죽에 피딱지가 따개비처럼 붙어 있는 걸 보니 오염견들이 틀림없었다. 나보다 덩치가 큰 도사견부터 좀 전에 걷어차인 시추까지 껴 있었다. 이 구역 고양이들 씨를 말리고 사람의 피와 살을 맛본 녀석들에게 열 살짜리 말라깽이 따윈 한입거리도 안 될 것이었다. --- p.179, 「한새마, 〈낮달〉」 중에서 |
정세호, 「그림자의 정면」
“박살나면 박살날수록, 이 엿 같은 도시가 내 편이 되거든.” 원인 모를 상실감에 사로잡힌 ‘부서진 이들’은 서로의 구멍 난 가슴을 어루만진다. 배명은, 「회화목 우는 집」 “생긴 것도 꼭 사람이 몸부림치는 것 같지 않아? 기분 나쁘고 무섭다고.” 오래된 회화목 옆에 개업한 술집의 통유리로 밤이면 누군가 안을 쳐다보고 있다. 홍지운, 「초인종에 침을 바르는 남자」 “인간이 만들어낸 역신이 인간을 덮칠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넌 모를 거야.” 역귀가 초인종에 침을 바르며 돌아다니는 걸 본 헬스트레이너는 친구의 죽음에 광폭해진다. 김유철, 「장롱」 “전 장롱 속에 벌거벗은 몸으로 웅크린 채 잠들어 있었죠. 그 뿐이에요.” 문을 여는 순간 두 시간 동안 기억을 잃게 되는 체리목 장롱이 누군가의 집안에 불현듯 나타난다. 한새마, 「낮달」 “나도 어쩔 수 없었어. 다른 사람도 괴물로 만든다잖아.” 임신한 엄마와 열 살 딸, 두 모녀는 폐쇄된 오염지구로 들어가 몸을 의탁한다. |
추리 X 괴담 20명 작가들의 무서운 콜라보
“공포, 미스터리, 스릴러… 한여름 최고의 오락을 위해 대한민국 젊은 장르작가들이 뭉쳤다!” 2020년 여름, 최고의 독서오락을 위해 추리작가와 괴담작가 20명이 모였다. 작가들의 협업으로 태어난 가상의 도시, 월영(月影)시. 풍문으로만 떠돌던 괴담이 펼쳐지는 월영시를 무대로 한국추리작가협회와 괴이학회에 소속된 20명의 작가들이 서로 다른 스타일과 상상력을 펼친다. 두 장르집단의 콜라보는 호러풍의 미스터리, 미스터리풍의 호러라는 시너지를 빚어내며 총 20편의 이야기를 탄생시켰다. 서로 같으면서도 미묘하게 다른 시공간과 캐릭터, 사건들이 각 작가들의 스타일대로 다채롭게 구현된다. 『괴이한 미스터리』는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스터리한 사건들을 통해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과 이로 인해 드러나게 되는 인간 심연의 공포를 다루고 있다. 장르적 재미는 물론, 우리 사회 전반에 펼쳐져 있는 사회적 문제들 혹은 사각지대에 숨겨져 있어 인지하지 못하고 넘어간 사건사고들을 포착하는 시선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중 [저주 편]에서는 인간의 본능에 충실한 소재들을 다룬다. 인간이 가진 미움과 증오는 누군가를 해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는 도시 월영시라는 공간과 결합되면서 폭발하듯 부풀어 오른다. 2020년 여름, 독자의 오감과 두뇌를 풀가동시키기 위한 프로젝트 “한눈에 알아봤지, 너도 나처럼 부서진 사람이라는 걸.” 단순히 증오와 미움만으로 끝날 수 있던 일들이 월영시라는 공간의 기괴한 힘과 결합되면 무서운 저주가 되어 우리의 삶을 무너뜨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