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2년 09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64쪽 | 362g | 138*190*20mm |
ISBN13 | 9791167550620 |
ISBN10 | 1167550625 |
발행일 | 2022년 09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64쪽 | 362g | 138*190*20mm |
ISBN13 | 9791167550620 |
ISBN10 | 1167550625 |
여는 글 : 이 책은 앞으로 100년 동안 우리가 반드시 해야 할 일에 관한 책입니다 주제 1 기후 정의: 기후 위기는 누구의 책임이며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이야기 하나, 파차마마 행성에서 추방된 테이티오타 이야기 둘, 순식간에 기후 빌런이 된 나라, 인도 만남 하나, 지금 배가 가라앉고 있단 말이오 만남 둘, 저는 비난 대신 박수를 보내고 싶어요 누가 얼마나 책임질까? 어떤 기준을 적용해야 할까? * 듣고 말하고 생각 정하기 * 끝나지 않은 이야기 주제 2 숲: 숲의 가치는 탄소 중립에 있을까? 이야기 하나, 나무들의 비밀스러운 대화 숲의 모든 것이 숲이다 이야기 둘, 사라진 숲 기자회견 이야기 셋, 나무 30억 그루, 1조 그루로 막으려 하는 것들 만남 하나, 숲과 나무는 누구의 것일까? 벌거숭이 숲 논쟁이 남긴 것 * 듣고 말하고 생각 정하기 * 끝나지 않은 이야기 주제 3 갯벌과 논 습지: 벼농사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면 쌀 생산을 줄여야 할까? 이야기 하나, 논에 사는 참게가 갯벌에 간 이유 이야기 둘, 논 습지 논쟁과 우물 안 개구리 만남 하나, 고기는 안 되는데 밥은 된다고요? 만남 둘, 비행기 한번 못 타 본 사람의 밥그릇을 깨다니 기후 변화를 막으면서 밥심을 지키려면 * 듣고 말하고 생각 정하기 * 끝나지 않은 이야기 주제 4 지구 공학: 탄소 포집 기술은 기후변화의 해결책일까, 그린워싱일까? 이야기 하나, 포항 영일만 앞바다의 노란 플랫폼 이야기 둘, 미시시피주 작은 마을을 덮친 녹색 안개 만남 하나, 가장 간단한 지구 공학 기술을 소개합니다 만남 둘, 왜 미국은 CCS에 올인하는 걸까? 만남 셋, 다이아몬드도 만들고 콜라도 만들 수 있다더니 그린 워싱으로는 절대 지울 수 없는 검댕 * 듣고 말하고 생각 정하기 * 끝나지 않은 이야기 주제 5 우주: 기후 위기 시대에 우주여행이 꼭 필요할까? 이야기 하나, 국경도시 후아레스의 낡은 TV 이야기 둘, 11분에 320억짜리 우주여행 티켓 만남 하나, 새로운 미래를 앞당겨 줄 우주여행에 찬성합니다! 만남 둘, 지구 대기를 뒤흔들 수 있는 우주여행에 반대합니다! 만남 셋, 우주 덕후가 들려주는 기후 위기 기후 위기 시대에 밤하늘을 바라본다는 것 * 듣고 말하고 생각 정하기 * 끝나지 않은 이야기 주제 6 원자력: 원자력과 재생에너지는 함께할 수 없을까? 이야기 하나, 글래스고의 파란셔츠들 이야기 둘, 배우자를 찾습니다 만남 하나, 탄소 중립을 위한 원자력 만남 둘, 저는 원자력을 반대하는 청소년입니다! ‘그리드’라는 거미줄에 올라타기 SMR 논쟁, 작은 것이 정답일까? * 듣고 말하고 생각 정하기 * 끝나지 않은 이야기 |
주제 1 기후 정의 - 기후 위기는 누구의 책임이며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
남태평양 섬 키리바시의 주민 테이티오타씨를 아직 위험이 임박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뉴질랜드는 다시 그를 키리바시섬으로 추방해 버린다. (기후 난빈 신청 거절)
2017년 약 1880만명 기후 난민신청
잠비아, 소말리아, 방글라데시, 아이티 등 태평양 섬나라, 아프리가, 남아시아, 중앙아메리카의 작은 나라들이 기후 위기에 가장 적은 책임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1%가 배출하는 온실가스 > 소득하위 50%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2배
기온이 50´C에 육박한 상황에 사무실에서 일하는 이와 벽돌을 나르는 건설현장의 인부가 느끼는 폭염이 같을까?
기후 위기의 이야기에서 생각해야 할 것은 '공평', '정의'다.
기후 변화의 원인과 영향을 공정하게 살피고, 피해자들을 제대로 지원하려는 움직임을 기후 정의라 한다.
기후변화협약의 성공여부는 지구라는 한 배를 탔다는 생각에 달려있다.
인도 비판 | 인도 지지 |
인도가 과거 탄소배출량을 이유로 현 3위의 배출국가임에도 COP26회담에서 2050년이 아닌 2070년 탄소중립을 이야기 하고 있다. |
인도는 지금 막 산업화가 시작된 나라 앞으로 엄청난 속도로 발전할 것이다. 그럼에도 탄소 의존을 줄이겠다고 한 것은 대단한 것이다. 현 에너지 생산 2/3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이제야 수백만 명이 절대 빈곤에서 벗어나고 있다. 선진국은 지금까지 싼 에너지를 기반으로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그 과정에서 기후변화에 원인을 제공했다. 선진국이 다른 나라와 같이 2050년 탄소 중립을 목표로 삼는 것은 옳지 않다. 또 인도가 탄소 배출량이 세계 3위이지만 전체 6.6% 1인당 배출량으로 따지만 순위에 들지도 않는다. 나라가 크고 인구가 많아서 3위인 것이다. 역사적 책임과 현재의 능력을 기준으로 탄소 감축량 산정시 미국 - 2030년까지 2005년 수준보다 195% 낮게 배출해야 한다. 영국 - 1990년 수준보다 200%낮게 배출해야 한다. |
기후 변화의 책임이 누구에게 얼마큼 있는가? - 무엇이 가장 공정한지, 어떤 가치가 가장 중요한지에 따라 - 지속 가능한 사회와 중단 없는 발전 중 무엇을 추구하는지 |
1. 기업에 책임을 묻다. |
탄소 배출량이 가장 많은 회사에 책임을 물어 탄소세를 부과한다. 2017년 20년간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70% - 석탄, 석유, 천연가스를 생산한 100개 화석 연료 회사에서 생산
2. 개인에게 책임을 묻다. |
소비를 많이 해서 탄소 배출량이 높은 사람에게 책임을 묻는다.
1% 부자들이 50% 가난한 사람보다 2배나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
10%부자들이 10% 가난한 사람보다 20재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
제품 구매에 탄소세 부과
3. 국가에 책임을 묻다. |
탄소 배출량 순서대로 책임을 물어 감축량을 높인다.
2022년 |
중국 1위 31% 미국 2위 14% 인도 3위 7% |
1900년 | 미국, 유럽 90% 이상 |
1950년까지 | 미국, 유럽 85% 이상 |
현재 | 미국, 유럽 1/3 이하 |
누적 배출량 |
미국 1위 중국 2위 러시아 3위 인도 7위 |
4. 국가에 책임을 묻되, 총배출량이 아니라 1인당 배출량 기준으로 책임을 묻다. 혹은 국가별 1인당 누적배출량 기준으로 책임을 묻다. |
계속...
기후 변화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이야기꾼이 풀어내는 형식의 책인데, 당사자들의 생각을 근거를 들어가며 참으로 탄탄하게 전개해 나가는 방식이 작가가 기후 변화에 대해 다양한 시각을 차곡차곡 연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후 정의를 얘기하는 첫 장에서 많은 자료와 예시를 풀어내는 이야기 전개 방식은 중 ? 고등 학생들에게도 책을 읽으면서 지루함을 느끼지 않게 할 것이다.
미래에 성인이 될 학생들에게 기후 변화에 대해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는 자료로서 이 책은 훌륭한 교재가 될 것 같다. 다른 입장을 갖은 당사들이 되어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토론을 해보는 자료로서도 좋을 것 같다.
작가는 잘사는 자나 못사는 자나, 잘사는 나라나 못사는 나라나 어떻게 하면 정의를 실현해 가면 기후 변화를 해결할 것인가에 대해 토론하고 지금 행동을 하자고 한다. 지금 당장 기후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