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만(卍)·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
가격
14,500
10 13,050
YES포인트?
72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이 상품의 태그

책소개

목차

만(卍)
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

해설 : 다니자키 문학, 내밀한 탐미의 결정체
다니자키 준이치로 연보

저자 소개2

다니자키 준이치로

관심작가 알림신청

Junichiro Tanizaki,たにざき じゅんいちろう,谷崎 潤一郞

일본의 근·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 1886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메이지 말기부터 쇼와 중기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며 다방면에 걸쳐 문학적 역량을 과시한 작가로, 노벨 문학상 후보에 수차례 지명되는 등 일본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탐미주의적 색채를 드러내며 여성에 대한 에로티시즘, 마조히즘 등을 극도의 아름다운 문체로 탐구하였다. 한평생 작풍이나 제재, 문장, 표현 등을 실험하며 다채로운 변화를 추구하였고, 오늘날 미스터리, 서스펜스의 선구가 되는 작품이나 활극적 역사 소설, 구전, 설화 문학에 바탕을 둔 환상 소설, 그로테스크한 블랙 유머, 고전 문
일본의 근·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 1886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메이지 말기부터 쇼와 중기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며 다방면에 걸쳐 문학적 역량을 과시한 작가로, 노벨 문학상 후보에 수차례 지명되는 등 일본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탐미주의적 색채를 드러내며 여성에 대한 에로티시즘, 마조히즘 등을 극도의 아름다운 문체로 탐구하였다. 한평생 작풍이나 제재, 문장, 표현 등을 실험하며 다채로운 변화를 추구하였고, 오늘날 미스터리, 서스펜스의 선구가 되는 작품이나 활극적 역사 소설, 구전, 설화 문학에 바탕을 둔 환상 소설, 그로테스크한 블랙 유머, 고전 문학 연구에 이르기까지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제일 고등학교를 거쳐 도쿄 제국 대학 국문과에 입학했지만 학비를 마련하지 못해 퇴학을 당했다. 1910년 [신사조(新思潮)]를 재창간하여 「문신」, 「기린」 등의 작품을 발표하며 문단에 등장했고, 소설가 나가이 가후로부터 격찬을 받으며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1915년 열 살 어린 이시카와 치요코와 결혼을 했는데, 시인인 친구 사토 하루오가 그의 부인과 사랑에 빠지자 아내를 양도하겠다는 합의문을 써 [아사히신문]에 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문화 예술 운동에도 관심을 가진 그는 시나리오를 써 영화화하고 희곡 『오쿠니와 고헤이』를 발표한 뒤 직접 연출하기도 했다. 또한 1924년 『치인의 사랑』을 신문에 연재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나 검열로 중단되었다.

1942년에 그는 세 번째 부인이자 희구하던 여성인 마쓰코와 그 자매들을 모델로 『세설』을 쓰기 시작했다. 1943년 [중앙공론] 신년호와 4월호와 7월호에 연재되었던 『세설』은 7월호에도 실릴 예정이었으나 「시국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발표가 금지되었다가 전후에야 비로소 작품 전체가 발표되었고, 훗날 마이니치 출판문화상과 아사히 문화상을 받았다. 1949년에는 제8회 문화 훈장을 받았고 1941년 일본 예술원 회원, 1964년 일본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미국 문학예술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에 뽑히기도 했다. 1958년 펄 벅에 의해 노벨 문학상 후보로 추천된 이래 매년 후보에 올랐으며 1965년에 80세의 나이로 신부전과 심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주요작품으로는 『문신』, 『후미코의 발(富美子の足)』, 『치인의 사랑(痴人の愛)』, 『춘금초(春琴抄)』, 『미친 노인의 일기(?癲老人日記)』 등이 있으며, 무라사키 시키부의 『겐지 이야기』를 현대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사후 50년을 맞이한 2016년 저작권이 소멸되어 다수의 소설작품이 번역되었으나, 국내에는 다니자키의 극작가(희곡가)로서의 역량이 알려지지 않아 30여 편의 희곡 대부분이 미(未)번역 상태이다. 『문장의 희곡:다니자키 준이치로의 레제드라마』는 소설가로 데뷔하기 이전에 이미 희곡을 발표한 다니자키의 극작가로서의 숨겨진 일면을 소개하고, 1910~40년대 일본의 신극운동을 계기로 근대 초기 한일 양국의 소설가들의 희곡 창작과 레제드라마의 유행을 고찰한 연구의 성과물로 기획되었다.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다른 상품

李浩哲

함경남도 원산에서 출생. 열아홉의 나이에 한국전쟁을 치르며 별별 직업을 전전하다 「탈향」으로 문단 데뷔. 이후 현대문학상과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문단에서의 입지를 다진다. 더욱이 민주수호국민회의 운영위원으로 재야민주화운동에 뛰어들어 1980년에는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돼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1985년에는 자유실천문인협회 대표를 역임했으며 1989년에는 대한민국문학상 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1992년 예술원 위원으로 피선되었으며, 1997, 98년 대산문학상과 예술원상을 수상했다. 주요작품으로는 저서에 작품집 『나상』(1961) 『서울은 만원이다』(1966) 『공
함경남도 원산에서 출생. 열아홉의 나이에 한국전쟁을 치르며 별별 직업을 전전하다 「탈향」으로 문단 데뷔. 이후 현대문학상과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문단에서의 입지를 다진다. 더욱이 민주수호국민회의 운영위원으로 재야민주화운동에 뛰어들어 1980년에는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돼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1985년에는 자유실천문인협회 대표를 역임했으며 1989년에는 대한민국문학상 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1992년 예술원 위원으로 피선되었으며, 1997, 98년 대산문학상과 예술원상을 수상했다.

주요작품으로는 저서에 작품집 『나상』(1961) 『서울은 만원이다』(1966) 『공복사회』(1968) 『사월의 빙원』(1971) 『닳아지는 살들』(1975) 『남풍북풍』(1977) 『그 겨울의 긴 계곡』(1978) 『소시민』(1979) 『문』(1981) 『물은 흘러서 강』(1984) 『악마의 덫』(1984) 『밥과 희망과 우리들의 공동체』(1985) 『탈사육자회의』(1986) 『천상천하』(1986) 『판문점』(1988) 『퇴역 선임하사』(1989) 『네겹 두른 족속들』(1989) 『빈 골짜기』(1989) 『개화와 척사』(1992) 『남녘사람 북녘사람』(1996) 『이산타령 친족타령』(2001) 등이 있다. 이 밖에 산문집 『세기말의 사상기행』 『산 울리는 소리』 『희망의 거처』 『문단골 사람들』 『우리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 등이 있다.

이호철의 다른 상품

역자 : 김춘미
이화여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한국외대 일본어과에서 석사학위를, 고려대 국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일본번역원장으로 재직중이다. 옮긴 책으로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해변의 카프카』, 『인간실격』, 『헤븐』 등이 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12년 09월 21일
쪽수, 무게, 크기
353쪽 | 478g | 145*210*30mm
ISBN13
9788954619134

책 속으로

미쓰코 씨가 관음상 포즈를 취하려면 관음보살의 백의(白衣)를 대신할 하얀 천이 필요하다고 해서 침대의 시트를 벗겨 주었어요. 미쓰코 씨는 옷장 뒤로 가서 허리를 여민 띠를 풀고 머리를 흩뜨린 다음 다시 예쁘게 손질하고, 벌거벗은 몸에 시트를 관음보살처럼 머리에서부터 느슨하게 걸쳤어요. “자, 봐. 이렇게 하니 가키우치 씨 그림하고는 많이 다르잖아?” 그렇게 말하며 미쓰코 씨는 옷장 문에 달린 거울 앞에 서서 자기의 아름다움에 취했어요. “아, 정말 아름다워.” 저는 이렇게 멋진 보물을 왜 지금까지 저한테 숨겼는지, 비난하는 마음이 되어 말했어요. --- p.32

약을 먹은 다음 날 오후, 오우메는 안채에 가 있고 남편은 자는 제 얼굴을 보면서 부채로 파리를 쫓고 있었는데, 미쓰코 씨가 잠에 취한 것처럼 “언니” 부르면서 저한테 다가오려 했대요. 저를 깨우면 안 되겠다고 생각한 남편이 우리 둘 사이에 들어가서 미쓰코 씨의 몸을 끌어안듯 떼어내고 베개를 다시 베어준 다음, 이불을 덮어줬는데…… --- p.165

노인은 젊은 아내가 말없이 자기 말에 동의하는 것을 제 얼굴의 감촉으로 느끼면서 한층 얼굴을 찰싹 붙이듯, 아예 두 손바닥으로 턱을 안아 올리듯 하며 그녀의 머리카락을 오랫동안 애무했다. 2, 3년 전까지는 그렇지 않던 노인이 요즘에는 점점 집요해지고, 한겨울 동안에는 매일 밤 아내 곁을 잠시도 떠나려 하지 않고 밤마다 약간의 틈도 생기지 않게 온몸을 딱 붙이고 자려 들었다. 게다가 좌대신이 호의를 보이면서부터는 그 감격에 겨워 과음까지 일삼고 술기운이 얼근해서 잠자리에 들어오는 일이 많았는데, 더더욱 악착스럽게 손발을 온통 가만두지 않는다. --- p.216

시게모토는 다시 한 번 불렀다. 그는 맨땅 위에 꿇어앉아, 아래에서 어머니를 올려다보며 그녀의 무릎에 온몸을 내맡기듯 기댔다. 하얀 모자 속에 파묻힌 어머니의 얼굴은, 꽃무더기를 뚫고 내리비치는 달빛을 받아 뿌옇게 보였지만 여전히 귀엽고 자그마했으며 마치 원광(圓光)을 뒤에 달고 있는 듯했다. 40년 전의 어느 봄날, 휘장 그늘 속에서 그 품에 안겼을 적의 기억이 금세 영롱하게 되살아나고, 한순간에 시게모토는 예닐곱 살의 어린아이가 된 느낌이 들었다.

--- p.235

줄거리

만(卍)
유복한 집안에서 자라 제멋대로인 성격에다 감정의 기복이 심한 소노코는 고지식한 남편을 답답하게 여긴다. 기분 전환이 될 만한 일을 찾다가 동양화를 배우려고 여자기예학교에 다니기 시작한 소노코는 그곳에서 센바 지역 부자 상인의 딸인 미쓰코를 만난다. 그런데 서로 인사도 제대로 나누지 않는 두 사람이 서로 사랑하는 사이라는 소문이 퍼지고, 그 소문을 계기로 오히려 둘은 친해지게 된다. 소노코는 아름다운 육체를 지닌 미쓰코를 모델 삼아 관음보살을 그리면서 점점 그녀의 얼굴과 육체에 빠지고, 남편을 속이면서 관계를 유지하던 중 미쓰코에게 와타누키라는 성불구자인 애인이 있는 것을 알게 되고 배신감을 느낀다. 하지만 미쓰코가 펼치는 교묘한 연출에 속아서 관계를 끝내지 못하고 만남을 지속하는데……

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
여든에 가까운 구니쓰네는 스물 한두 살밖에 안 되는 부인을 얻어 아들도 하나 얻고, 불면 날아갈세라 애지중지 여기며 행복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자신이 하루빨리 죽어 젊은 아내를 자유롭게 해주어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마음도 품고 있다. 이렇게 사람 좋고 장수한 것 말고는 이렇다 내세울 게 없는 구니쓰네는, 조카이지만 자신과 격이 다른 좌대신 후지와라노 시헤이가 자신의 집을 방문해준 영광에 감읍한 나머지 보답할 것을 찾다가 아내를 내주고 만다. 시헤이는 진작부터 그녀의 미모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계획적으로 구니쓰네에게 접근한 것이었기 때문에 백부가 아내를 바치자마자 그녀를 강탈해간다. 한편 그렇게 네 살 무렵에 어머니를 잃은 아들 시게모토는 늘 아름답고 성스러운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지낸다. 그러다 사십대가 된 어느 날, 깊은 산속 만개한 벚꽃 아래에서 달빛에 어스름하게 윤곽이 번지는 귀엽고 작은 여승을 만나는데……

출판사 리뷰

다니자키가 1968년까지 살아 있었다면 일본 최초의 노벨문학상은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아니라 그에게 돌아갔을 것이다.
_에드워드 사이덴스티커(일본문학 번역가)


여체의 아름다움에 대한 악마적인 탐닉으로 독자적인 문학세계를 구축하고, 페티시즘, 마조히즘 등 변태성욕의 세계를 파고들며 일본 탐미주의 문학의 거장으로 우뚝 선 다니자키 준이치로. 그의 중후기 걸작 두 편이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을 통해 국내 초역으로 소개된다. 제목의 글자 모양처럼 남녀 넷이 얽히고설키며 펼치는 애욕의 세계를 그린 "만(卍)"은 악마 같은 요부 미쓰코와 그녀의 아름다움에 빠진 세 사람을 통해 성(性)이 어떻게 인간을 지배하고 파멸시키는지 탐구한다. 젊은 미망인이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작가에게 이야기를 털어놓는 구어체 형식으로 전개되는 이 소설은 일본 근현대문학을 폭넓게 소개해온 고려대 김춘미 명예교수의 생생한 번역으로 선보인다."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는 고전문헌의 풍부한 인용과 고풍스러운 문체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여든 살 노인이 젊은 아내에게 느끼는 집착과 애정, 아름답고 성스러운 어머니를 향한 아들의 그리움을 섬세하게 묘사했다. 현대문학상,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한 소설가 이호철의 유려한 문장으로 재탄생되었다.

“여자!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까지 나를 이끌어줄 유일한 빛.
여자 없이는 내 시도, 예술도 없다.” _다니자키 준이치로


‘낭만주의, 관능주의, 여성숭배, 변태성욕, 예술지상주의, 악마주의, 일본 탐미주의의 기수’ 등 여러 이름으로 대변되는 다니자키 준이치로는 일본 현대 문학사에서 ‘대(大) 다니자키’로 불리는 거장이며, 일본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이름난 작가이다. 자기의 재능을 정확히 파악하고 일찍부터 문학 외에는 나아갈 길이 없다고 확신한 다니자키는, 여자의 ‘등’과 ‘발’을 이야기하며 자연주의 전성기였던 일본 문단에 정면으로 도전했고 화려하게 성공했다. 그는 1910년부터 1965년까지 55년이라는 긴 활동기간 동안 여체숭배라는 동일 주제만을 다루었으며, 사회와는 철저하게 동떨어진 개인적 공간 속에 사는 주인공을 항상 그렸다. 그의 작품 속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아름다운 여체’에 탐닉하며 육체적, 관능적 환락만을 추구한다. 그는 일본의 에도시대부터 이어져온 ‘호색문학’의 전통을 근대문학에 자연스럽게 접목시키며 자신의 에로틱한 피학적, 가학적 취향을 탐미주의 문학으로 피워냈다. 초기에는 서양 여성의 육체미를 찬미하는 경향을 주로 보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일본의 고전적인 세계를 배경으로 에로티시즘과 전통미를 탁월하게 결합시켰다.

다니자키 준이치로는 1949년에 문화훈장을 받고 1958년 펄 벅의 추천을 받은 이후 매년 노벨문학상 후보에 올랐으며, 1964년 일본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미국 문예 아카데미의 명예회원이 되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을 영어로 번역한 미국의 일본문학번역가 에드워드 사이덴스티커는 “다니자키가 1968년까지 살아 있었다면 일본 최초의 노벨문학상은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아니라 그에게 돌아갔을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1965년 8월 6일자 "타임스"는 그가 사망하자 “다니자키 준이치로, 일본문학계의 원로. 도쿄의 미곡상 아들로 태어나 79세에 심장마비로 사망. 여성에게 예속당하는 성도착자인 남성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키길 즐겼으며, 성(性)과 결혼 문제를 다룬 소설을 118편이나 발표하여 동양의 D. H. 로런스로 불린다”라고 그의 부고를 전했다.

남녀 넷이 얽히고설키며 펼치는 애욕의 세계. 동성애와 마조히즘, 파국으로 치닫는 뒤틀린 사랑.
에로티시즘의 결정체 "만(卍)"


"만(卍)"은 에로티시즘의 극한을 표현해냈다는 평을 받은 수작으로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전성기였던 1928년에 발표되었다. 관동대지진 이후 관서지방으로 이주한 다니자키가 오사카 여자들의 얼굴과 목소리에 매력을 느끼고 집필한 이 작품은 가키우치 소노코라는 젊은 미망인이 평소 ‘선생님’이라고 부르며 따르던 작가에게 찾아가 자기에게 있었던 일을 털어놓는 형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 소설을 쓸 때 다니자키는 오사카 방언을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 젊은 여자 두 명을 고용할 정도였다. 남자, 남자와 여자, 여자와 여자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온갖 애증과 질투심을 보여주는 이 소설은 발표 당시 실제 사건을 소재로 한 것이라는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으나 다니자키는 창작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사랑한다고 말하면서도 사실은 자기만족을 위해 서로 속고 속이는 인간의 애정사를 잘 보여준다. 1964년에 일본 영화계의 거장 마스무라 야스조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호평을 받았다.

여든 살 노인이 젊은 아내에게 느끼는 집착과 애정, 아름답고 성스러운 어머니를 향한 아들의 그리움.
다니자키 문학의 절정 "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


"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는 세상에 보기 드문 미녀와 그녀를 목숨처럼 사모하는 남자를 그려냈다는 점에서는 이전의 다니자키의 주제를 충실히 따르고 있지만, 해박한 고전지식을 종횡으로 사용해 헤이안 시대의 문학을 연상시킨다는 것이 또 하나의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이 작품은 고전문헌에 나오는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삼아 그 개성과 역사적 사실을 치밀하게 짜 맞추는 동시에 남성의 내밀한 성 심리를 탁월하게 묘사한다. 한 남자의 아내이자 동시에 아들의 어머니가 되는 ‘여성의 두 측면’을 그린 "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를 두고 평론가 가메이 가쓰이치로는 ‘다니자키 문학의 종합이며 최고의 작품’이라고 평했다. 집필할 당시 예순네 살이었던 다니자키 역시 작품 속 주인공 구니쓰네처럼 자신의 육체적 쇠약을 자각하고 부인에게 “너무 젊은데 불쌍하다. 당신 바람 피워도 돼”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 다니자키가 만년에 몰입했던 고전적인 전통미가 완성된 대표작으로 꼽힌다.

추천평

다니자키 준이치로는 갈고 닦은 아름다운 문장을 구사한다. 금빛 과녁을 쏘는 명사수 같은 그는 아나톨 프랑스에 비견할 만한 보기 드문 작가이다.
나가이 가후
이런 작가가 죽으면 국가가 조기를 달거나 국민 모두가 묵념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일생의 성과를 국민적 애도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 유감스럽다.
미시마 유키오
다니자키의 작품은 에로티시즘을 바탕으로 한 탐미와 예술화된 악의 세계로 장식되어 있다.
마쓰모토 쓰루오(문학평론가)
"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는 다니자키 문학의 종합이며 최고의 작품이다.
가메이 가쓰이치로
몇 세기에 한 명 나올까 말까 한 재능을 타고난 작가
마사무네 하쿠초(문학평론가)

리뷰/한줄평24

리뷰

8.8 리뷰 총점

한줄평

9.1 한줄평 총점
13,050
1 13,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