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나는 어쩌다 쫓기는 사람이 되었나
나는 어쩌다 쫓는 사람이 되었나 손은 앞발로 돌아가려 한다 테니스를 칩시다 뉘앙스 얼룩말은 불행하다는 관점 진술 거의 눈이 올 날씨 얼룩말 지우개 얼룩말 지우개에 덧붙임 벽에 대고 잊을 만하면 어머니 목소리 나는 나의 다정한 얼룩말 생존 배낭 지우개를 만드는 가내수공업자와 얼룩말 시약장 어머니 전화 20F/B9 리벌스 영웅 사라진 다음에 남겨지는 사람 에세이 : 빨강과 입술, 어긋나면 연주 |
이원의 다른 상품
내가 잡고 있었어요. 하루는 일생과 닮은꼴이잖아요. 그래서 어려웠다구요. 아 다시 다시 할게요. 나는 아디다스 운동복을 입고 있어요. 목부터 발목까지 세로로 그어진 흰 줄이 마음에 들어요. 아아 어미를 고칠게요. 나는 아이다스 운동화도 신고 있습니다. 아니 사실은 흰 꽃이 그려진 복고풍 빨강 나이키 운동화를 신고 있습니다. 어미를 고칠게요. 발 모양이 마음에 들지 않아. 신발의 위치가 마음에 들지 않아. 숲을 지났어. 색표처럼 쉴 새 없이 쫓겼어. 원은 언제 만들어지지? 손 내밀면 덥석덥석 잡았어. 죽음은 한 표정이어서 안심이 되었거든. 죽음의 손바닥 알아? 간결해. 물컹거려.
---「나는 어쩌다 쫓기는 사람이 되었나」중에서 나는 너를 놓치고 싶어 주먹으로 눈물을 닦으며 매일 달렸다 그림자가 그토록 말리는지도 모르고 말이다 그리고 몇 생에 육박하는 시간이 지난 어느 날 어떤 언덕 앞에 갑자기 멈추게 되었다 -사실은 절벽이었다 놀랍게도 봄이었다- 똑같은 색으로 부들부들 떨고 있는 내게 네가 말했다 -절벽 아래로 목이 꺾였고 여전히 먼 곳의 풍경이 보인다는 듯이 이마에 손차양을 드리우고 있었다- 어제 새로 산 반지야 투명부터 끼워봐 ---「뉘앙스」중에서 매일 밤 악몽이 계속되는 것. 악몽을 흔들어 깨우기 위해서는 계속 잠들어야 한다는 것. 눈을 뜨면 낯선 손이 등을 쓰다듬고 있는 것. 생시까지 따라온 것. 얼룩말에 검은색을 칠하는 크레용이 되는 것. 다음에 맞을 차례라는 예감을 만들어내는 것. 낯선 곳에 혼자 있게 되는 것. 엄지와 검지를 쉴 새 없이 부딪치는 것. 폐쇄한 출구를 못 찾는 것. 느닷없이 싱싱한 나무가 되는 상상으로 이동하는 것. 두 손과 두 발을 흔들며 인파 속을 헤치는 것. 모퉁이에서 접히는 시늉을 하는 것. 최종의 구원은 슬픔이라는 고전적 정의를 놓아보는 것. 모닥불을 피우는 스카우트 단원이 되는 것. 도깨비불을 보는 것. 불과 짐승이 만든 그림자에게 울며 비는 것. 조아리는 것. 계속 고아가 되겠다는 맹세를 하며 탈출을 시도하는 것. ---「얼룩말은 불행하다는 관점」 전문 이유를 몰라 무서워 아 하고 입이 비명을 지를 때 찢어지는 입술은 확성기 모양 이거 이거 절박한 키스가 될 수 있다는 신호 키스! 키스! 우선 껴안자 나는 나 몰래 다녀온 곳이 많아. 여기가 끝 이번이 끝 그런 이어지는 마침표 마침표 마침표 오이를 먹고 초록 풀에 게우고 나는 나 몰래 파도. 플라밍고의 다리를 뎅강뎅강 자르며 움직이는 것들은 사라지지 세 걸음 가서 답하는 척 감기는 것은 잘린 다리 마음이지 당근을 초록 풀에 놓아보는 척 ---「나는 나의 다정한 얼룩말」중에서 |
이원 시집 『나는 나의 다정한 얼룩말』
6인 작가의 친필 사인이 담긴 한정판 박스 세트 동시 발매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Ⅱ』의 시인들은 김행숙, 오은, 임승유, 이원, 강성은, 김기택 6인이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Ⅰ』(박상순, 이장욱, 이기성, 김경후, 유계영, 양안다)을 통해 현재 한국 시의 현주소를 살피고 그 방향성을 짐작해봤다면, 두 번째 컬렉션에서는 시인 하나하나가 그 이름만으로도 명징한 시 세계를 드러내며 저마다 묵직한 개성을 발휘한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Ⅱ』의 네 번째 시집은 한국 전위시의 한 축을 담당해온 이원 시인의 『나는 나의 다정한 얼룩말』이다. “삶에 휴지(休止)를 선사”하고 “일상성에 균열을 일으키는”(시인 김지녀) 그의 첨예한 시어들은 자유로운 행과 연을 만나 시의 시각적, 인식적 정형성을 파괴하며 시종일관 신선한 긴장감을 부여한다. 발표하는 작품마다 늘 새롭고 파격적인 이원의 시들은 등단 27년차 시인의 시를 향한 끝없는 열정을 느끼게 해준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Ⅱ』의 여섯 시인들은 ‘신체’를 공통의 테마로 하는 독특한 주제의 에세이를 선보이고 있다. 이원은 ‘입과 입술’을 주제로 한 「빨강과 입술, 어긋나면 연주」를 통해 눈과 빨강, 입술에 관한 명상을 강렬한 색채로 묘사하며 스티븐 윌슨의 삽화 작업을 시각화한 듯하다. 시청각이 함께 살아 있는 듯 움직이는 에세이이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Ⅱ』는 300질 한정으로 작가 친필 사인본 박스 세트(전 6권)와 낱권 시집(양장)이 동시에 발매되며, 출간에 맞춰 6인 시인의 낭독회 이벤트로 독자들과 만나게 될 예정이다. 특히 한정판 박스 세트의 경우, 지난 2월 첫 출간된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Ⅰ』의 한정판과 동일하게 시인들의 친필 사인과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어 독자들에게 더 특별하게 다가갈 것이다. 현대문학 × 아티스트 지니 서(Jinnie Seo) [현대문학 핀 시리즈] 시인선은 아티스트의 영혼이 깃든 표지 작업과 함께 하나의 특별한 예술작품으로 재구성된 독창적인 시인선, 즉 예술 선집이 되었다. 이 여섯 권의 시집이 각 시집마다의 독특한 향기와 그윽한 시적 매혹을 갖게 된 것은 바로 시와 예술, 이 두 세계의 만남이 이루어낸 영혼의 조화로움 때문일 것이다. 이번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Ⅱ』의 표지는 지니 서Jinnie Seo의 작품이다. 최근 아트 포트(ART+Airport)를 표방하며 새롭게 개장한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 파사드 아트를 선보이기도 한 지니 서 작가는 드로잉, 페인팅, 건축, 설치미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전 세계를 무대로 작품 활동을 펼치는 국제적인 아티스트이다. “선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을 하고 있어요. 모두 장르가 다르지만 늘 쓰는 언어가 바로 ‘선’이죠”라고 밝힌 바 있는 작가는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Ⅱ』의 표지에도 스스로가 ‘작업의 언어’라고 밝힌 ‘선’을 이용한 드로잉 작품들을 채워 넣었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시인선을 통해 최초로 공개되는 지니 서 작가의 「Drawing Journal Series」는 서정적인 아름다움과 역동적인 움직임을 모두 담아낸 작품들로, 평면이자 공간을 실현하는 작가의 예술관을 드러내며 독자들에게 깊은 영감을 준다. * 지니 서 1963년 서울 출생. New York University, NY Bachelor of Arts in Biology 및 New York University, NY Master of Fine Arts in Painting 졸업. Skowhegan School of Painting and Sculpture 수학.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아트포트, 뉴스탠포드대학병원 커미션 프로젝트 등 서울, 뉴욕, 싱가포르 등지에서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 공공미술 작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