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수상작
김경후 잉어가죽구두 15 먹감나무 옷장 16 해바라기 18 뱀의 허물로 만든 달 19 검은바람까마귀 20 수렵시대 22 수상시인 자선작 이기성 입술 25 심해어 27 폼페이벌레 28 생일 30 속수무책 31 박쥐난이 있는 방 32 깃털베개의 말씀 34 절벽아파트 36 수상후보작 김행숙 주어 없는 꿈 41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43 해 질 녘 벌판에서 44 통일 전망대 45 생각하는 사람 46 소금 인간 48 어떤 詩 4 50 박진성 다섯 개의 계절 55 검은 새…… 간다 57 숨은 눈 58 식물로 그린 그림 60 흡연 구역의 날들 62 어떤 검은 이야기 64 물속의 눈보라 66 이수명 풀 뽑기 71 너는 묻는다 72 소방차 73 연립주택 74 통영 76 안부 기계 78 창문이 되어라 79 이원 하루 83 검은 그림 86 이쪽이거나 저쪽 88 밤낮 90 검은 숲 여자 92 기둥 뒤에 소년이 서 있었다 94 거위남자를 따라갔던 밤 96 최문자 트럭 같은 1 101 빠따고니아 103 손의 幻 105 별과 침 107 걷는다 109 청춘 110 자욱한 믿음 112 황성희 편식의 속사정 115 지금을 기어가는 개미 116 콧물에 대한 신념 118 눈부신 사생아 120 개의 복수 122 이상하게 착하고 부지런한 사람 124 붉은 사과의 습관 126 역대 수상시인 근작시 황동규 나폴리 민요 131 풍경의 풍경 133 명품 테킬라 한 잔 134 일 없는 날 136 마음 어두운 밤을 위하여 138 반짝이고 만 시간의 조각들 140 귀가歸家 141 김형영 조선백자달항아리 145 수평선 9 146 부치지 못한 편지―耳笑堂에게 147 제 4과―直情言語의 시인들 148 꿈이기에 149 오후 3시에 151 봄, 열다 154 이기성 재단사의 노래 159 모독 161 빙판 162 도서관 163 즐거운 날에 164 물의 자장가 166 따귀 167 심사평 예심 이근화 불온한 노래 가능한 목소리 171 함돈균 청년정신이 우리 시대 문학정신이다 173 본심 김사인 고통을 가누는 한 가지 방식 177 김기택 낮은 목소리 큰 울림 179 수상소감 김경후 텅 빈 백지처럼 182 |
김경후의 다른 상품
김행숙의 다른 상품
박진성의 다른 상품
이수명의 다른 상품
이원의 다른 상품
심사평
현란한 ‘신식’들 틈에서 잘 눈에 띄지도 않는 그 낮고 수수한 외양 안쪽에 그는 피가 배일 듯 생생하고 뜨거운 것을 가누고 있는 것이다. 이 장면은 매우 감동적인데, 심지어 그 수수함이야말로 오히려 최선의 미적 장치로 여겨질 지경이다(얼마간은 실제로 그러하다). (……) 김경후의 미덕은 그것뿐 아니다. 시적 언술에 임하는 그의 감각은 드문 방식으로 깊고 조심스럽다. 그의 발성들은 느낌이나 생각의 뱉어내기를 통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참고 견디기를 통해 더 이루어지고 있는 듯이 느껴진다. 그 속에서 마음과 말의 어우러짐이 높은 경도를 얻게 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시인을 수상자로 만날 수 있는 것은 문학상 측의 행운이 아니겠는가 생각한다. - 김사인(시인 · 동덕여대 교수) 그의 시는 애잔한 감정과 정서를 순환시키고 운동시켜서 이상하게 활달한 즐거움을 준다. 그의 시의 새로움은 낡은 것에 반발하고 저항하고 버린 대가로 찾은 새로움이 아니라 낡은 것 속에 풍부하게 내장되어 있으나 아직 우리가 보지 못한 것들을 재발견하고 그것의 진정한 가치와 아름다움을 찾아내어 생동감 있게 느끼게 해주는 새로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그의 시의 어법은 생략과 비약, 있음과 없음의 경계, 물렁물렁한 시공간, 주체의 전도 등을 자유롭게 가로지르는 젊은 시의 문법도 지니고 있다. 김경후의 시를 [현대문학상]의 이름으로 재발견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 김기택(시인 · 경희사이버대 교수) 수상소감 시끄러운 음악 방송이 나오는 버스 안에서 기우뚱거리며 전화를 받았습니다. 『현대문학』이었습니다. 그 순간 저는 마음속으로 단단히 “다시 열심히 쓰겠습니다”라는 말을 준비했습니다. 바로 전날, 『현대문학』에 짧은 산문을 써서 보냈는데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미진한 글이라 연락이 왔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 산문에 대한 전화는 아니었지만 여러 번 생각해도 결과적으로 제가 할 수 있는 말은 똑같았습니다. 다시 열심히 쓰겠습니다. 텅 빈 백지의 길과 텅 빈 시인의 길을 보여주신 선생님, 감사합니다. 아름다운 시의 동지들, 선배님들, 후배님들 감사합니다. 부족하기만 한 시를 격려해주신 심사위원 선생님들과 『현대문학』에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쓰겠습니다. 아무것도 되지 않겠습니다. 텅 빈 백지처럼. 수상후보작 김행숙, 「주어 없는 꿈」 외 6편 박진성, 「다섯 개의 계절」 외 6편 이수명, 「풀 뽑기」 외 6편 이 원, 「하루」 외 6편 최문자, 「트럭 같은 1」 외 6편 황성희, 「편식의 속사정」 외 6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