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총, 균, 쇠

총, 균, 쇠

리뷰 총점9.2 리뷰 262건 | 판매지수 85,506
베스트
국내도서 1위 1주
정가
28,000
판매가
25,200 (10% 할인)
구매 시 참고사항
  • 1998년 퓰리처상 수상작
  • 본 도서의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05년 12월 19일
쪽수, 무게, 크기 752쪽 | 950g | 148*210*40mm
ISBN13 9788970127248
ISBN10 8970127240

이 상품의 태그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15,300 (10%)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상세페이지 이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16,020 (10%)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상세페이지 이동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13,500 (10%)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상세페이지 이동

검은 꽃

검은 꽃

9,900 (10%)

'검은 꽃' 상세페이지 이동

작별인사

작별인사

12,600 (10%)

'작별인사' 상세페이지 이동

여행의 이유

여행의 이유

12,150 (10%)

'여행의 이유' 상세페이지 이동

떨림과 울림

떨림과 울림

13,500 (10%)

'떨림과 울림' 상세페이지 이동

종의 기원

종의 기원

19,800 (10%)

'종의 기원' 상세페이지 이동

불안

불안

13,500 (10%)

'불안' 상세페이지 이동

김상욱의 양자 공부

김상욱의 양자 공부

16,200 (10%)

'김상욱의 양자 공부' 상세페이지 이동

살인자의 기억법

살인자의 기억법

9,000 (10%)

'살인자의 기억법' 상세페이지 이동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1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1

8,100 (10%)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1' 상세페이지 이동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 이야기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 이야기

10,800 (10%)

'파인만의 여섯가지 물리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2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2

7,200 (10%)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2' 상세페이지 이동

오래 준비해온 대답

오래 준비해온 대답

14,850 (10%)

'오래 준비해온 대답' 상세페이지 이동

사이코패스 뇌과학자

사이코패스 뇌과학자

14,400 (10%)

'사이코패스 뇌과학자' 상세페이지 이동

김상욱의 과학공부

김상욱의 과학공부

14,400 (10%)

'김상욱의 과학공부' 상세페이지 이동

총, 균, 쇠

총, 균, 쇠

25,200 (10%)

'총, 균, 쇠' 상세페이지 이동

제5도살장

제5도살장

11,250 (10%)

'제5도살장' 상세페이지 이동

공감의 배신

공감의 배신

15,300 (10%)

'공감의 배신' 상세페이지 이동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친애하는 한국의 독자들에게 드리는 편지 - 제레드 다이아몬드
증보판에 부쳐 - 임홍빈 [문학사상] 편집 고문
추천의 글 - 이현복 서울대 언어학과 명예 교수
옮긴이의 글 - 김진준(번역 문학가)
프롤로그/ 현대 세계와 불평등에 대한 의문을 푼다

제1부 인간 사회의 다양한 운명의 갈림길

제1장 문명이 싹트기 직전의 세계 상황
제2장 환경 차이가 다양화를 빚어 낸 모델 폴리네시아
제3장 유럽이 세계를 정복한 힘의 원천

제2부 식량 생산의 기원과 문명의 교차로

제4장 식량 생산의 기원
제5장 인류 역사가 갈라놓은 유산자와 무산자
제6장 식량 생산민과 수렵 채집민의 경쟁력 차이
제7장 야생 먹거리의 작물화
제8장 작물화하는 데 적합한 식물의 식별과 성패의 원인
제9장 선택된 가속화와 ‘안나 카레니나의 법칙’
제10장 대륙의 축으로 돈 역사의 수레바퀴

제3부 지배하는 문명, 지배받는 문명

제11장 가축의 치명적 대가, 세균이 준 사악한 선물
제12장 식량 생산 창시와 문자 고안과의 밀접한 연관
제13장 발명은 필요의 어머니
제14장 평등주의부터 도둑 정치까지

제4부 인류사의 발전적 연구 과제와 방향

제15장 대륙간 불균형 이론과 원주민들이 낙후된 원인
제16장 동아시아의 운명과 중국 문화의 확산
제17장 동아시아와 태평양 민족의 충돌
제18장 남북아메리카가 유라시아보다 낙후됐던 원인
제19장 아프리카는 왜 흑인의 천지가 됐는가

에필로그/ 과학으로서의 인류사의 미래

특별 증보면
추가 논문/ 일본인은 어디에서 왔는가
2003 후기/ 『총, 균, 쇠』 그 후의 이야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 인류 문명의 수수께끼를 새로운 시각으로 풀어낸 명저!
개정신판 〈특별증보면〉서 “일본인의 조상은 한국인”이라고 주장


- 인종주의적 설명 방식을 뒤집는, 문명 발전에 관한 새로운 보고서

왜 어떤 민족들은 다른 민족들의 정복과 지배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말았는가. 왜 원주민들은 유라시아인들에 의해 도태되고 말았는가. 왜 각 대륙들마다 문명의 발달 속도에 차이가 생겨났는가. “인간 사회의 다양한 문명은 어디서 비롯되는가?”라는 의문을 명쾌하게 분석한 명저!

진화생물학자인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1998년 퓰리처 상을 수상한 이 역저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 역사의 경향을 실제로 만들어낸 환경적 요소들을 밝힘으로써, 인종주의적 이론의 허구를 벗겨낸다. 그는 뉴기니 원주민과 아메리카 원주민에서부터 현대 유럽인과 일본인에 이르기까지 세계 각지의 인간 생활에 관한 이야기를 흥미진진하게 이끌어나간다.

- 환경이 불러온 대륙 간 발달 속도 차이

이야기는 모든 인류가 아직 수렵과 채집으로 살아가던 13000년 전 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때부터 각 대륙에 살고 있던 인류 사회들은 서로 다른 길을 걷기 시작했다. 비옥한 초승달 지대, 중국, 중앙아메리카, 미국 동남부와 그 밖의 다른 지역에서 야생 동식물을 일찍부터 가축화·작물화한 사실은 그 지역 민족들이 다른 민족들보다 앞설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왜 밀과 옥수수, 소와 돼지, 그리고 현대의 주요 작물이 된 농작물과 가축들은 특정 지역에서만 작물화·가축화되었을까? 이 책은 그 원인이 관습도, 인종차도 아닌 환경임을 밝힌다.

- 총기와 병균과 금속이 역사에 미친 엄청난 영향

일단 수렵 채집 단계를 넘어서 농경을 하게 된 사회들은 문자와 기술, 정부, 제도뿐만 아니라 사악한 병원균과 강력한 무기들도 개발할 수 있었다. 그러한 사회들은 질병과 무기의 도움으로 다른 민족들을 희생시키며 자신들의 삶의 터전을 새로운 지역으로 확장했다. 지난 500여 년간 유럽인이 자행한 비유럽인 정복은 이러한 과정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예다.

유럽인이 아메리카 대륙에 들어간 후 질병과 전쟁으로 95%의 원주민이 죽고 만 것이다. 일단 앞서게 된 유라시아 대륙은 지금도 세계를 경제적, 정치적으로 지배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상황이 뒤집힐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 특별 증보면 「일본인은 어디에서 왔는가」 추가 수록!
“일본인은 누구이며, 언제 어디에서 일본으로 건너온 사람들인가”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이번 『총, 균, 쇠』의 증보된 지면을 통해 현대 일본인의 조상이 누구인지를 추적한다. 일본인의 기원에 대한 학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고대 일본의 조몬인이 진화했다는 주장, 한국인의 대규모 이동의 결과로 유전적·문화적으로 형성된 야요이인의 후손이라는 주장, 한국에서의 이주는 인정하지만 그것은 소규모였을 뿐이라는 절충적 주장이 그것이다. 이 중 저자는 규모는 명확하지 않지만 한국인의 이주가 분명 현대 일본인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쪽에 손을 든다.

그 첫 번째 근거는 유전자 분석이다. 현대 일본인의 유전자를 분석했을 때 한국인과 야요이인의 비율이 조몬인 유전자 비율보다 우세하다. 두 번째 근거는 언어다. 사실 일본어와 한국어는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이는 한국인 기원설은 반박하는 증거로 더 많이 쓰인다. 그러나 저자는 현대 한국어는 신라어에서 비롯됐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일본은 신라와는 그리 긴밀한 관계를 갖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대 삼국시대의 한국어는 현재보다 훨씬 다양했으며, 일부 전해지는 고구려 단어는 한국어보다 오히려 일본어와 비슷하다.

결국 이러한 모든 사실에 비춰볼 때 한국과 일본은 성장기를 함께 보낸 쌍둥이와도 같다고 저자는 말한다. 동아시아의 평화는 양국이 고대에 쌓았던 것과 같은 유대를 재발견할 때 비로소 찾을 수 있다는 얘기다.

회원리뷰 (262건) 리뷰 총점9.2

혜택 및 유의사항?
총균쇠로 오역을 쓸어버려라 내용 평점2점   편집/디자인 평점2점 c********t | 2020.08.29 | 추천26 | 댓글0 리뷰제목
무슨 책을 읽어주느니, 대학도서관 대출 1위니 이런 소리를 자주 들었다.오래 전 몇 장 읽었던 것을 떠올리며 한국어본을 본다.0.1. 저자는 제국주의자다. 여전히 개독이전(BC)을 고집스럽게 쓰는 것이 그 증거다. 요즘은 그게 그거라고 하지만 공원(CE)을 쓰는 것이 표준이다. 0.2. 출판사에 말한다. 제발 <추가논문 ? 일본인은 어디에서;
리뷰제목

무슨 책을 읽어주느니, 대학도서관 대출 1위니 이런 소리를 자주 들었다.

오래 전 몇 장 읽었던 것을 떠올리며 한국어본을 본다.


0.1. 저자는 제국주의자다여전히 개독이전(BC)을 고집스럽게 쓰는 것이 그 증거다요즘은 그게 그거라고 하지만 공원(CE)을 쓰는 것이 표준이다.

 

0.2. 출판사에 말한다제발 추가논문 일본인은 어디에서 왔는가>, 이런 것 싣지 마라누가 보면 개정판 원서에 있는 줄 안다제발 80년대식으로 책만들지 마라영문판 어디에도 저런 논문 없다그저 한국에서만 아우성질이다저걸 저자가 허락해줬다면 그놈도 사악한 놈이다학문활동은 정직하고 당당해야 한다최소 일본어판에 추가하면 그 진정을 리해하겠다.

 

(번역문원문졸문 순으로 나열한다.)

 

1. 문맹상태의 농경상태 (only nonliterate farming societies)

- <문맹의> 라는 형용사는 illiterate 또는 unlettered. 원문에 있는 단어[nonliterate]는 문맹이 아니라 비문자 상태를 지칭한다.

 

2. 그 원인은 여전히 불투명하며 논쟁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the reasons for them remain uncertain and controversial.)

불투명이 아니라 불확실이다조선어에서 투명은 색깔이나 도덕성을 가리킬 때 주로 사용한다왜 우주는 팽창한가그 답은 불확실하다 또는 불분명하다고 하지불투명하다고는 하지 않는다.

 

3. 그러한 격차 (those differences)

디퍼런쓰는 격차가 아니라 차이 또는 다름이다.

 

4. 지역 격차의 기원에 대한 불투명한 의문은 이미 25년 전에 한 인간의 소박한 모습으로 처음 내 앞에 나타났다.

(This puzzling question of their origins was posed to me 25 years ago in a simple, personal form)

차이의 기원에 대한 이런 어리둥절한 의문은 25년 전 내게 단순하고 개인적인 형태로 제기되었다.

 

1) 역자는 다시 그 기원(their origins)에서 데어를 격차로 번역했지만그저 차이일 뿐이다.

2) 또한 여기서 씸플을 소박하다라고 해석할 수는 없다.

 

5. 1972년 7월에 내가 열대의 섬 뉴기니의 해변을 거닐고 있었을 때의 일이다생태학자인 나는 지금도 그곳에서 조류의 진화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In July 1972 I was walking along a beach on the tropical island of New Guinea, where as a biologist I study bird evolution.)

- <생물학자가 옳다생태학자는 ecologist.

 

6. 나는 그곳의 남다른 정치가로 알려진 얄리에 대한 이야기를 진작부터 듣고 있었는데때마침 그가 그 부근을 지나가는 중이었다.

(I had already heard about a remarkable local politician named Yali, who was touring the district then.)

난 얄리라고 하는 주목할 만한 현지 정치인에 대해 들었는데그가 그때 그 현을 순회하고 있었다(district)는 도(province)아래에 있는 행정구획명칭이다.

 

7. 얄리는 카리스마와 같은 힘이 있다는 것을 나는 느꼈다.

(Yali radiated charisma and energy.)

얄리는 카리스마와 에너지를 뿜었다.

 

8. 지금은 얄리의 나라가 파푸아뉴기니라고 불리지만그 당시는 국제연합의 위임을 받은 오스트레일리아가 통치하던 시기여서 독립의 분위기가 한창 무르익고 있었다.

(Papua New Guinea, as Yali’s nation is now called, was at that time still administered by Australia as a mandate of the United Nations, but independence was in the air.)

얄리의 나라로 현재 이름인 파푸아뉴기니는당시엔 국제연합의 위임으로 여전히 오스트레일리아가 통치했지만독립의 기운이 돌고 있었다.

 

1) 오스트레일리아가 통치하면 독립의 분위기가 무르익는가호주가 위임통치[국제법적 명칭은 련합국신탁통치령(United Nations Trusteeship)]하면 독립을 그냥 시켜주는가 

 

9. 다시 말해서유럽에서는 이미 수천 년 전 금속기에 자리를 내어준 석기를 그들은 여전히 사용하고 있었으며마을에는 중앙집권적 정치체제조차 갖추어져 있지 않았.

(That is, they still used stone tools similar to those superseded in Europe by metal tools thousands of years ago, and they dwelt in villages not organized under any centralized political authority.)

다시 말해그들은 유럽에서 수천년 전에 금속기로 대체된 것들과 유사한 석기를 여전히 사용했으며어떤 집권화된 정치권력으로도 조직되지 않은 마을에 살고 있었.

 

1) 완전한 오역이고 비문이다.

2) 살다(dwell)의 주어는 어디 있는가 

3)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의 주어는 

 

10. 이름을 빨지말고 실체를 보라요즘 몇 권의 번역서 몇몇 쪽을 살펴봤다중고교에서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대학이야 학력고사나 수능점수로 가지만 거기까지다

26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26 댓글 0
구매 주간우수작 총균쇠를 읽는 한 가지 방법: 과학과 인과추론 관점에서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뀨*미 | 2022.08.25 | 추천22 | 댓글0 리뷰제목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총균쇠>를 어떻게 읽을까? 사람마다 어떤 인사이트를 얻고 싶은지는 개인적 맥락과 상황, 독서 이유 등에 따라 다를 것이다. 나는 총균쇠가 학술서의 성격을 지닌 대중서로서 과학적 사고에 기반한 인과관계 추론이 무엇인지 잘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총균쇠를 통해 학계의 연구자 집단이 어떻게 사고하는지 알아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
리뷰제목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총균쇠>를 어떻게 읽을까? 사람마다 어떤 인사이트를 얻고 싶은지는 개인적 맥락과 상황, 독서 이유 등에 따라 다를 것이다. 나는 총균쇠가 학술서의 성격을 지닌 대중서로서 과학적 사고에 기반한 인과관계 추론이 무엇인지 잘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총균쇠를 통해 학계의 연구자 집단이 어떻게 사고하는지 알아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책의 핵심 문제인 글로벌 불평등은 왜 북반구에 부유한 국가가 집중되어 있고, 남반구의 나라들은 주로 가난한지에 대해 다루는 개념이다. 총, 균, 쇠는 이러한 글로벌 불평등이 왜 지속되는지 묻고 그것에 답변하는 책이다. 

 

학술적인 글들을 이해할 때가 가장 중요한 것은 저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고 그것을 어떻게 입증하고 정당화했는지 따져보는 것이다. (정확히 총균쇠는, 학술서의 성격보다는 학술적 연구결과물을 풀어쓴 대중서의 성격이 더 강하다)

 

저자의 주장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그것이 기존의 관점과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는 것이다. 부연하면, 학술적 지식의 발전은 새로운 발견과 주장에 의해 만들어진다. 학술연구에서 새로운 발견은 기존의 지식을 연장 및 확장하거나, 기존의 지식을 반박하는 것이다. 총균쇠에서 저자는 기존의 지식이(인종적 특성에 따른 북반구와 남반구의 불평등)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며 새로운 명제를 제시한다. 저자는 글로벌 불평등의 원인에 대해, 인종적 특성이 아니라 지리적 유산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불평등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저자는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방대한 역사적 기록을 동원한다. 하지만 역사적 자료가 주어졌다고 인과관계가 무엇인지 알기는 어렵다. n개의 사건들을 시간적으로 나열해보자(Xt1, Xt2, Xt3.... Xtn).  과거에 먼저 발생한 사건이라고 모두 인과관계라 할 수 없다. 대개, 어떤 요인은 영향이 거의 없고, 특정 요인은 약간 중요하고, 또다른 요인은 매우 중요하다.

 

자세히 설명하면, 인과관계는 변수 x가 변수 y의 결과에 순수한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z 같은 다른 교란요인(confounder)들이 무수히 많이 개입하기 떄문에 순수한 x가 무엇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이는 인과관계와 상관관계를 혼동해서는 안된다는 말이기도 하다. 만약 자연과학의 통상적인 검증절차를 따른다면, 최대한 유사한 조건을 지닌 집단에서 집단 a(처치집단)와 집단 b(통제집단)를 구분하고,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결과값의 차이가 처치 이후 유의하게 달라졌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회과학, 역사학 연구자들은 실험을 하기 매우 어려운 조건에 있다. 심리학, 행동경제학 등 일부 사회과학 분과학문에서 실험이 진행되기도 하고 그것이 사회과학 지식에 기여해온 부분도 매우 크다. 하지만 사회과학에서는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지식 또한 분명한 한계가 있는데, 실험실이 통제된 진공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회는 진공상태가 아니며 무수히 많은 요인들이 개입한다. 따라서 실험실의 실험도 재현가능성(reproduciblility)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역사적 인과관계 문제는 상황이 더욱 복잡해진다. 이미 지나간 과거를 실험으로 되돌릴 수 있지 않다. 그렇다면 인과추론을 포기해야하는걸까? 저자는 인과추론의 문제를 '자연실험'이라는 방법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자연실험은 마지막 에필로그에서 비교적 자세히 소개되기도 하며, 다이아몬드가 제임스 로빈슨과 공동편집한 <역사학, 사회과학을 묻다>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편서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자연실험은 역사적 맥락에서 유사한 조건에 있었지만, 다른 결과로 분화한 사례를 발굴하여  y에 진정으로 영향을 끼치는 x를 발굴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실험과 아이디어는 유사하다. 다만 실험실의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을 이미 벌어진 역사적 현상에서 서로 유사한 조건에 있었지만 처치 이후 다르게 변화한 사례를 찾는다. 그리고 처치가 무엇이었는지 발견한다.

 

저자가 폴리네시아 군도를 소개한 것은 인상적이다. 폴리네시아 군도는 여러 섬이 하나의 군도로 밀집해있어 거주자들의 특성이 유사하지만, 섬별로 서로 기후, 지반 특성, 거주 동식물의 차이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하지만 폴리네시아 군도에서 발전과 저발전은 상이하게 일어난 점에서 훌륭한 자연 실험실이다.

 

군도의 인종적 특성이 유사하게 분포가 되어있는데도 차이가 발생했다는 것은 인종적 특성은 인과 요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인종적 특성이 매우 유사한 조건에서 기후, 지반특성, 동식물 등 환경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벌어졌으면 환경적 차이가 발전, 저발전 여부를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폴리네시아 군도는 불평등 문제에서 인종적 차이가 중요하다는 명제를 반박하고, 지리, 환경 특성이 중요하다는 저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례이다. 당연히 사례 하나로 설명하는 건 아니고, 저자는 이러한 사례를 기원전부터 방대하게 다루며 자신의 주장을 입증했다. 따라서 북반구가 부유한 것은 인종적 특성의 부유함에 대한 영향은 허위관계에 불과하고(상관관계는 있으나 인과관계는 아니라는 말로도 표현 가능하다), 환경적 특질(기후, 지리, 동식물 특성)이 순수한 인과적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총균쇠에 소개된 질적비교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질적방법이 부족해 보이면, Large-N을 수집하여 도구변수, 이중차분법, 회귀불연속모형 등 계량모형으로도 검증이 가능하다. 방법론적으로는 모두 장단점이 있다. 어느 것이 우월하다기보다 자신의 설명을 입증하는데 적합한지가 여부가 중요할 것이다.

 

물론 저자의 주장이 얼마나 신뢰할만하고 타당한지는 지리학, 역사학, 진화생물학 등 저자가 발을 담그고 있는 학술장의 동료들이 주장 및 자료제시에 달려있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가 기존 명제에 도전하여 새로운 주장을 제시하고, 그것을 입증하는 방식은 과학적 사고의 전형 중 하나를 보여주고 있어 흥미롭다. 총균쇠를 읽는 방법 중 하나는 과학적 사고의 기반인 인과추론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파악하는 것도 하나의 길일 것이다. 사람마다 읽는 방식이 다를텐데 나는 인과추론을 어떻게할지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방식이 좋았다.

 

 

 

22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22 댓글 0
세상을 보는 시각을 확 다르게 만들어 놓은 책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푸**늘 | 2006.04.19 | 추천20 | 댓글0 리뷰제목
항상 유럽중심의 세계사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아시아가 유럽보다 덜 비중있게 다루어지는 것도 불만이었지만, 왜 마야문명이나 아즈텍문명은 이집트 문명보다 낮게 평가되는 것일까. 미국 인디언들이 백인들에게 멸망당한 것은 그들이 열등한 때문일까, 아니면 그들이 평화를 사랑하고 전쟁을 싫어한 민족이었기 때문일까... 그런 의문을 끝이 없었다. 세계사에서 유럽을 제외한;
리뷰제목
항상 유럽중심의 세계사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아시아가 유럽보다 덜 비중있게 다루어지는 것도 불만이었지만, 왜 마야문명이나 아즈텍문명은 이집트 문명보다 낮게 평가되는 것일까. 미국 인디언들이 백인들에게 멸망당한 것은 그들이 열등한 때문일까, 아니면 그들이 평화를 사랑하고 전쟁을 싫어한 민족이었기 때문일까... 그런 의문을 끝이 없었다. 세계사에서 유럽을 제외한 주변사를 중요시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주변사를 대폭 강화했다는 세계사 책이 새로이 출간되기도 했지만 내 의문을 만족시키지는 못했다. 대부분의 새로운 세계사들은 15세기까지는 아시아가 유럽보다 더 나은 문명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한다. 그러면 왜 15세기 이후에는 유럽이 더 강해졌고 아시아는 그들의 식민지가 되어야만 했을까. 역사란 것은 도대체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아야 하는 것일까. 힘이 세고 전쟁을 잘해서 정복을 잘 하는 민족이 훌륭한 것일까, 평화를 사랑하고 정신적인 곳에 더 많은 가치를 두는 민족이 훌륭한 것일까... 나의 의문은 끝이 나지 않았다. 그런데 이 이름도 이상한 책. 총,균,쇠를 친구의 권유로 읽게 되면서 나의 이러한 의문은 시원하게 풀려버렸다. 이 책은 역사책이 아니다. 문화인류학에 대한 책이다. 그러나 이 책이 가지고 있는 놀라운 통찰력은 문명의 우열에 대한 의미부여를 완전히 다르게 만들어 버렸다. 한 문명이 더 발달된 문명을 가진 것은 그 문명을 가진 집단들의 우수성을 표현해주는 것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명쾌하게 설명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문명은 지리적 특수성과 동물과 식물 자원의 분포. 기후의 산물이라는 점이다. 한 가지를 더 붙이면, 좀 더 나아진 문명의 옆에 붙어 있다는 것은 그 문명에 복속되어 독창적인 문명을 발전시킬 기회를 잃게 되는 불운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지리적 환경적인 불운으로 문명을 발전시킬 기회를 얻지 못한 사람들에게 잔인하게 화풀이를 할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는 뜻이다. 문명에 인종적 우수성이나 노력을 덜한 열등성 따위는 애초에 없었던 것이다.
20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20 댓글 0

한줄평 (431건) 한줄평 총점 9.4

혜택 및 유의사항 ?
구매 평점5점
완독하기 쉽지 않아요
4명이 이 한줄평을 추천합니다. 공감 4
앙*이 | 2021.08.12
구매 평점5점
이 책의 특징은 구입한 사람들 대부분 중간에 읽기를 멈춘다는것ㅋㅋ
4명이 이 한줄평을 추천합니다. 공감 4
YES마니아 : 플래티넘 슈***빠 | 2019.12.27
구매 평점5점
사피엔스와 짝으로 읽으려고 샀습니다.
4명이 이 한줄평을 추천합니다. 공감 4
YES마니아 : 로얄 a******7 | 2019.03.09

이 책이 담긴 명사의 서재

삶의 길 흰구름의 길

삶의 길 흰구름의 길

13,500 (10%)

'상품명' 상세페이지 이동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