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문 7
누드 쇼 × 메건 애벗 15 캐럴라인 이야기 × 질 D. 블록 47 푸른 저녁 × 로버트 올렌 버틀러 73 사건의 전말 × 리 차일드 91 바닷가 방 × 니컬러스 크리스토퍼 107 밤을 새우는 사람들 × 마이클 코널리 133 11월 10일의 사건 × 제프리 디버 149 직업인의 자세 × 크레이그 퍼거슨 169 음악의 방 × 스티븐 킹 187 영사기사 × 조 R. 랜스데일 199 목사의 소장품 × 게일 레빈 243 밤의 사무실 × 워런 무어 261 창가의 여자 × 조이스 캐럴 오츠 287 정물화 1931 × 크리스 넬스콧 321 밤의 창문 × 조너선 샌틀로퍼 361 햇빛 속의 여인 × 저스틴 스콧 397 자동판매기 식당의 가을 × 로런스 블록 409 그림 허가 431 옮긴이의 말 437 |
저로렌스 블록
관심작가 알림신청Lawrence Block
로렌스 블록의 다른 상품
저로버트 올렌 버틀러
관심작가 알림신청Robert Olen Butler
저마이클 코넬리
관심작가 알림신청Michael Connelly
마이클 코넬리의 다른 상품
저스티븐 킹
관심작가 알림신청Stephen Edwin King,리처드 버크먼
스티븐 킹의 다른 상품
저조이스 캐롤 오츠
관심작가 알림신청Joyce Carol Oates
조이스 캐롤 오츠의 다른 상품
저크레이그 퍼거슨
관심작가 알림신청Craig Ferguson
저니컬러스 크리스토퍼
관심작가 알림신청Nicholas Christopher
니컬러스 크리스토퍼의 다른 상품
저크리스 넬스콧
관심작가 알림신청Kris Nelscott,크리스틴 캐스린 러시
크리스 넬스콧의 다른 상품
저조나선 샌틀로퍼
관심작가 알림신청Jonathan Santlofer
조나선 샌틀로퍼의 다른 상품
저메건 애벗
관심작가 알림신청Megan Abbott
저리 차일드
관심작가 알림신청Lee Child
리 차일드 의 다른 상품
저제프리 디버
관심작가 알림신청Jeffery Deaver
제프리 디버의 다른 상품
저워런 무어
관심작가 알림신청Warren Moore
워런 무어의 다른 상품
저조 R. 랜스데일
관심작가 알림신청조 R. 랜스데일의 다른 상품
저게일 레빈
관심작가 알림신청Gail Levin
게일 레빈의 다른 상품
저저스틴 스콧
관심작가 알림신청저스틴 스콧의 다른 상품
저질 D. 블록
관심작가 알림신청질 D. 블록의 다른 상품
17편의 소설의 단 두 가지 공통분모.
작가들 개개인의 걸출함, 그리고 호퍼의 그림에서 영감을 얻었다는 것. 『빛 혹은 그림자』를 기획하고 이 책에 참여할 작가들을 섭외할 때 로런스 블록은 ‘에드워드 호퍼’라는 단 한 가지 조건만을 제시했다. 주제도 장르도 제한하지 않았고, 오직 ‘호퍼의 그림에서 영감을 얻은 소설’만을 요구했다. 그 결과 이 책에는 다른 어떤 앤솔로지보다 더 다양한 내용과 장르의 단편들이 실리게 되었다. 작가들이 호퍼의 그림을 활용하는 방식도 다양해, 로런스 블록이 서문에서 말한 것처럼 “어떤 이야기는 작가가 선택한 그림과 맞아떨어져 캔버스에서 곧바로 튀어나온 것만 같다. 또 어떤 이야기는 그림이 어떤 식으로든 계기가 되어, 캔버스에 모호한 각도로 맞고 튀어나온다”. 몇몇 작가들은 호퍼의 작품을 자신들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내용으로 활용한다. 이때 호퍼의 그림은 작가의 단편 전체를 표현하거나, 혹은 이야기 속 한 장면을 그려낸다. 조이스 캐럴 오츠는 호퍼의 1926년 작 [오전 열한시]를 선택해 ‘누드’인 채로 창가에 앉아 오전 열한시가 되기를 기다리는 여자와 여자가 기다리는 남자의 이야기를 그들의 의식의 흐름대로 써내려간다(「창가의 여자」). 조 R. 랜스데일은 1939년 작 [뉴욕 영화]를 어느 영사기사의 삶에 끼어든 폭력배들과 그들에 대한 대항, 그리고 그 배경이 되는 영사기사의 어린 시절을 짚어나가는 이야기의 시작점으로 활용한다(「영사기사」). 호퍼의 작품 그 자체를 작품에 등장시키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탄생시킨 작가들도 있다. 과거 해리 보슈 시리즈의 첫 편을 집필하던 중 호퍼의 [밤을 새우는 사람들]을 보고 영감을 받아 소설 말미에 그림을 수록한 바 있는 마이클 코널리는 이 책에도 역시 해리 보슈가 등장하는 단편을 썼다. 그림과 제목이 같은 이 단편에서 초보 사설탐정인 보슈는 고객의 의뢰를 받고 시카고 미술관의 [밤을 새우는 사람들] 앞에서 그 그림을 감상하는 여자를 감시하게 된다. 제프리 디버는 냉전 시대 소련에서 무기 개발에 협조하던 독일의 과학자에게 호퍼의 그림 [선로 옆 호텔]을 담은 엽서 한 장이 어떤 중대한 역할을 하는지를 이야기한다(「11월 10일의 사건」). 이 책에 실린 단편 중 가장 짧지만 가장 강렬한 작품은 바로 스티븐 킹의 단편일 것이다. 공포소설부터 추리소설까지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능수능란하게 다루는 스티븐 킹은 호퍼의 1932년 작 [뉴욕의 방]을 선택해 대공황 시기를 사는 어느 부부의 이야기를 그린다. 벽장이 있는 방에서 신문을 읽는 남편과 피아노 앞에 앉은 부인은 언뜻 평온한 일상을 보내고 있는 듯하지만 그 뒤엔 예상치 못한 비틀림이 존재한다(「음악의 방」). 처음 이 단편집에 참여해달라는 제안을 받았을 때 스티븐 킹은 도저히 시간을 낼 수 없다며 거절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만에 하나 단편을 쓰게 된다면 자신의 집에 복제품을 걸어놓은 [뉴욕의 방]에 관해 쓰겠다며 그림을 골라두었고, 결국 호퍼에 대한 애정으로 「음악의 방」을 완성시켰다. 이 책을 기획하고 편집한 로런스 블록이 쓴 「자동판매기 식당의 가을」에도 허를 찌르는 반전이 등장한다. 호퍼의 1927년 작 [자동판매기 식당]에서 영감을 받은 이 단편은 20세기 초 자동판매기로 음식을 판매하던 식당에서 식사를 하는 한 여성에 대한 이야기로, 예상을 뛰어넘는 결말은 독자에게 잘 쓰인 단편을 읽는 재미와 쾌감을 선사한다. 로런스 블록의 이 단편은 2017년 에드거상(최고 단편 부문)을 수상했다. 한편 휘트니 뮤지엄 큐레이터로 일하며 호퍼에 대한 여러 저서를 집필해 에드워드 호퍼 권위자로 알려진 게일 레빈이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소설을 발표한 점 역시 눈에 띈다. 호퍼의 삶과 그림에 매달려온 연구자로서 레빈은 단편 「목사의 소장품」에서 호퍼의 그림 다수를 소장한 실존 인물인 샌번 목사에 대한 이야기를 소설의 형식으로 풀어낸다. 목사가 호퍼의 그림을 소장하게 된 경위는 여전히 미심쩍은 점이 많은데, 레빈은 그 의혹을 샌번 목사가 1인칭으로 등장하는 소설로 써내려가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를 넘나드는 흥미로운 작품을 만들어냈다. “절대적으로 뛰어나다. 콘셉트가 매력적이며 모든 단편이 최상급이다.”_USA 투데이 예술가 남편을 미행한 아내의 일탈 혹은 새로운 삶의 시작(「누드 쇼」), 신을 믿지 않지만 종교인으로 살아온 목사(「직업인의 자세」), 자신의 아파트 창문으로 건너편 아파트의 여성 입주자들을 관찰하는 남자(「밤의 창문」), 다음날 자살을 예고한 남자와 하룻밤을 보낸 여자(「햇빛 속의 여인」)……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는 17편의 단편은 그 자체만으로도 “절대적으로 뛰어나며 최상급”이다. 호퍼의 그림이 평범하고 일상적인 공간 속 어느 한 장면을 마치 시공간을 초월한 듯한 낯선 모습으로 그려낸 것처럼, 이 책에 실린 단편들도 때로는 익숙하게 때로는 낯설게 다채로운 이야기를 풀어낸다. 호퍼 그림이 그려진 20세기 초중반의 사회상, 특히 여성의 삶이나 인종차별을 주제로 한 작품이 있는가 하면(「캐럴라인 이야기」 「밤의 사무실」 「정물화 1931」), 실제와 환상의 경계를 구분하지 않은 채 몽환적이면서도 섬뜩한 분위기를 그려내거나, 마술적 리얼리즘을 떠올리게 하는 작품도 수록되어 있다(「푸른 저녁」 「바닷가 방」). 로런스 블록은 서문에서 호퍼의 그림은 “이야기를 들려주지 않는다”고 말한다. “다만, 그 그림들 속에 누군가가 읽어주기를 기다리는 이야기들이 들어 있음을―강렬하고도 거부할 수 없는 방식으로―암시할 뿐”이라고. 어쩌면 바로 그렇기 때문에 호퍼의 그림이 더욱 작가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지도 모른다. 호퍼가 형체와 색, 특히 빛과 어둠을 그리는 데 전념했기에, 소설가들은 그의 그림에서 빛과 그림자를 지닌 삶을, 그리고 강렬한 이야기를 거부할 수 없이 읽어내는 것이 아닐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