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산마애불: 저 잔잔한 미소에 어린 뜻은
구례 연곡사: 저문 섬진강에 부치는 노래 북부 경북 순례 1-의성·안동: ‘니껴’형 전탑의 고장을 아시나요 북부 경북 순례 2-안동·풍산: 니, 간고등어 머어봤나 북부 경북 순례 3-하회·예안: 형님, 음복까지는 제사요! 북부 경북 순례 4-도산서원: 저 매화나무 물 줘라 북부 경북 순례 5-임하·영양: 지례보다야 많겠지 익산 미륵사터: 이루어지지 않은 왕도의 꿈 경주 불국사 1: 불국사 안마당에는 꽃밭이 없습니다 경주 불국사 2: 믿기는 뭘 믿었단 말이냐 회상의 백제행 1-서울: 말하지 않는 것과의 대화 회상의 백제행 2-공주: 정지산 산마루에 누대를 세우고 회상의 백제행 3-부여: 산에, 언덕에 피어날지어이 부록: 답사 일정표와 안내지도 |
저유홍준
관심작가 알림신청Yu Hong-june,兪弘濬
유홍준의 다른 상품
답사기 제3권 ‘말하지 않는 것과의 대화’는 크게 네개의 문화권으로 나누어 우리 문화유산을 서술한다. 부여ㆍ공주 일대의 백제의 미학, 경주 불국사가 보여주는 통일신라시대의 조화적 이상미, 안동문화권에 서려 있는 조선시대 양반문화의 미학, 그리고 섬진강ㆍ지리산변의 옛 절집에 담긴 산사(山寺)의 미학이 그것이다.
서산마애불의 발견과 30여년 동안 서산마애불을 관리해온 성원 할아버지의 애절한 사연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이 책은 새롭게 돌아온 답사기 제6권 ‘인생도처유상수’와 가장 밀접하게 맥락이 닿아 있다. 전국을 답사하며 맺은 인연들에 대한 소개나 아름다운 섬진강 길에 대한 흥미로운 일화, 안동 검제 학봉 종가에서 듣는 불천위제사 이야기, 도산서원과 퇴계 이황에 대한 일화 등은 책과 함께 과거와 현재 사이의 시공간을 넘나드는 인문적ㆍ예술적 체험을 하도록 해준다. 특히 이 책에는 통일신라시대의 이상적 미학의 지표가 되는 경주 불국사에 대한 글이 수록되어 있는데 저자 특유의 미적 시선은 흔히 읽고 듣던 불국사에 관한 소개와는 그 품격을 달리하며 불국사의 가람배치, 건축적 지향에서부터 그랭이법 석축에 이르기까지 조목조목 흥미로운 설명을 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