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8년 09월 03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484쪽 | 610g | 131*208*30mm |
ISBN13 | 9788932034560 |
ISBN10 | 8932034567 |
발행일 | 2018년 09월 03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484쪽 | 610g | 131*208*30mm |
ISBN13 | 9788932034560 |
ISBN10 | 8932034567 |
일락서산(日落西山) 화무십일(花無十日) 행운유수(行雲流水) 녹수청산(綠水靑山) 공산토월(空山吐月) 관산추정(關山芻丁) 여요주서(與謠註序) 월곡후야(月谷後夜) 작가의 말 해설 / 민중의 초상으로 가득 찬 벽화_ 최시한 『관촌수필』의 정본 및 어휘 풀이 작업 『관촌수필』 어휘 풀이 |
남북분단과 산업화에 따른 사회변동에 따라 농촌의 황폐화를 소설의 형식을 빌려 쓴 수필에 가까운 작품, 따지고 보면 농촌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보존라고 있는 곳이다. 이 소설은 1970년대에 발표된 소설이다. 그 시대가 그렇듯 철저히 농촌은 파괴되었다. 산업화에 따른 농촌의 파괴는 황석영의 삼포가는 길에서도 느낄수 있었다. 사람은 누구나 어린시절의 향수를 갖고 있다. 이해관계가 전혀없는 어릴적 친구 이웃 놀이문화 그러한 모든것들을 1970년대에도 썻는데 오늘날의 한국은 어떠한 전통문화가 보존되고 있는가. 이 책이 지금도 출간되는 것은 우리에게 농촌은 마음의 안식처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