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9년 11월 04일 |
---|---|
쪽수, 무게, 크기 | 424쪽 | 534g | 145*225*23mm |
ISBN13 | 9791190422000 |
ISBN10 | 119042200X |
발행일 | 2019년 11월 04일 |
---|---|
쪽수, 무게, 크기 | 424쪽 | 534g | 145*225*23mm |
ISBN13 | 9791190422000 |
ISBN10 | 119042200X |
책을 내며 6 1부 접속 1장 장애학, 지금 여기의 콜라보 미션 21 1. 장애학, 왜 필요한가 23 2. 장애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30 2장 ‘손상’은 어떻게 ‘장애’가 되는가 47 1. 장애인이라는 범주를 의심하다 49 2. 차별받기 때문에 장애인이 된다 59 3. 장애 문제는 장애인의 문제가 아니다 78 2부 성찰 3장 우생학의 시대는 끝나지 않았다 87 1. 20세기 전반기를 휩쓴 우생학의 실체 94 2. 우생학, 새로운 간판을 내걸다 121 3. 우생학 파는 사회: 뒷문으로 이루어지는 우생학 139 4장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해방인가 또 다른 차별인가 161 1. 차별과 위계를 정당화하는 인간중심주의 163 2.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여전한 위계와 서열 168 3. 우리 모두는 연결되어 있다 184 4. 에필로그: 철학(자)의 악몽 195 5장 장애인에게 정의란 무엇인가 199 : 장애 정치의 시선으로 프레이저의 정의론 읽기 1. 우리에게는 ‘분배’와 ‘인정’ 양자가 필요하다 204 2. 정체성 모델을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217 3. 장애인, 참여에서 배제당하는 자 226 4. 인권의 정치, 정의의 경계를 다시 묻다 234 3부 전환 6장 당사자주의의 환상을 넘어 횡단의 정치로 253 : 장애인 당사자주의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1. 장애인 당사자주의란 무엇인가 258 2. 당신의 해방과 나의 해방은 따로 떨어져 있는가 268 3. 횡단의 정치: 뿌리내리고 또 옮기기 276 4. 당사자주의는 운동의 ‘이념’이 아니다 284 보론 정체성, 해체할 것인가 횡단할 것인가 289 7장 자립과 의존의 이분법을 넘어 공생의 세계로 299 1. 정립: 부정한 몸들을 ‘수선’하다 303 2. 자립: 그 가능성과 함정 308 3. 연립: 홀로서기도 의존도 아닌, 함께 서기 315 4부 도전 8장 자기결정권, 나와 너 ‘사이’의 권리 333 : 연립의 관점에서 바라본 자기결정권 1. 능력에 따라 누리는 것은 권리가 아니다 338 2. 자기결정권, 혼자서 결정한 대로 할 수 있는 권리? 343 3. 자기결정권은 사회권이다 350 4. 누가 성년후견제도를 말하는가? 356 9장 모두를 위한 노동사회를 향해 361 1. 불인정 노동자로서의 장애인 366 2. 왜 이것은 노동이 아니란 말인가? 370 3.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정투쟁 377 4. 노동시장을 넘어 공공시민노동 체제로 387 참고문헌 403 찾아보기 414 |
왜 기성세대들은 페미니즘에 관심이 없을까? 답답해하던 때가 있었다. 청소년들의 기후위기에 대한 시위와 행동을 보여 살짝 남 일처럼 생각하는 나를 보며 깨달았다. 나한테 와닿지 않는구나.
책의 시작에서 필자는 시좌와 관점의 차이를 설명한다. 그저 세대 차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시좌가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장애학에 대해 잘 모르는 나에겐 조금 깊이 있는 내용이었지만 명확한 언어 선정으로 헤매고 있는 나를 끌고가는 느낌을 받았다. 저번에 읽은 ≪기억하는 몸≫도 그렇고 책의 문장이 쉽고도 깊이 있어 장애학에 대해 연구하고 고찰하는 사람들은 수준이 높구나 생각했다.
"장애학의 도전" 은 관점이 아닌 시좌에서의 접근이다. 어디서 사물을 바라보는가, 보는 각도에 따라 모든 사물은 달라보이게 마련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 책은 장애학 연구의 많은 쟁점을 다루고 있다.
장애인은 "장애"때문이 아니라 "차별"받아서 장애인이다. 많이 되도 200년 전까지는 장애라는 개념도 장애인도 존재하지 않았다. 그런 구별법이 세상에는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비장애인 중심으로 보는 태도 때문에 그리고 남과 다른 그 무엇을 차별한 때문에 장애, 즉 완전하지 못한 결핍상태를 장애로, 사회구조를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설정한 때문에 비로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자리하게 된 것이다.
지은이는 장애 정치의 시선으로 낸시 프레이저와 정의론을 소개, 장애학에서는 분배와 인정 이 모두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분배냐, 인정이냐?-정치철학적 논쟁(사월의 책 .2014.3)]에서 낸시프레이저와 악셀호네트의 논쟁(프레이저는 분배와 인정을 밀접히 연관되어 있지만 환원될 수 없는 관계로 보고 이차원적 정의관을 제안하는 데 반해, 호네트는 분배를 인정의 표현으로 보고 불평등한 분배의 심층적 토대인 사회적 인정 질서에 주목한다.)
또한,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연암서가, 2012.9)에 관해서도 말한다. 동물해방론은 해방인가 아니면 또 다른 차별인가를 묻고 있다.
,
이 리뷰에서 주목한 것은 이 책의 4부, 도전 제9장 모두를 위한 노동사회를 향해.. 불인정 노동자로서의 장애인, 왜 이것은 노동이 아니란 말인가?,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정투쟁, 노동시장을 넘어 공공시민노동 체제로 어떻게 가야할 것인가 고민하는 대목이다. 장애인의 노무제공을 비장애인의 노동과 왜 달리취급하는가, 이의 배경에는 비장애인 중심의 사고와 접근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장애학을 독립영역(장애를 다루는 독립된 학문으로서의)으로 따로 떼어 논의해야한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이 책은 우리의 눈높이를 어디에 둬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비장애인중심(비장애주의)은 장애를 비(아닐 비, 아니다)라 여긴다. 장애와 비장애의 어느 쪽에 중심을 두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장애와 비장애 모두 사회의 구성원이다. 비장애 중심주의란 장애를 배제, 타자화 시킨다. 즉, 배제, 소외를 정당화하거나 합리화시키는 도구다. 장애와 비장애는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선천이든 후천이든 사회의 구성원이요. 존중받아야 할 인권이다.
이 사회는 비장애중심이다. 아래를 보자.
우리는 흔히 장애인을 몸에 일정한 손상을 입어 어떤 활동을 할 수 없는 사람으로 간주한다. 즉 ‘몸에 존재하는 손상 때문에 무언가를 할 수 없는 사람’이 장애인을 인식하는 지배적인 방식이다. 의심할 여지 없이 합당해 보이는 이 설명은 세계보건기구 WHO가 명시한 장애 정의(국제 손상·장애·핸디캡 분류, ICIDH)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장애학은 바로 이 매끄러운 논리에 틈을 낸다. 그 ‘할 수 없음’의 원인이 진정 개인의 몸에 존재하는 신체적, 정신적 손상이냐고 되묻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해보자.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이 일반 시내버스에 승차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WHO의 ICIDH 기준에 따르면, 이들이 해당 버스에 탈 수 없는 이유는 몸에 손상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2005년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제정으로 국내에 저상버스가 배치됐고, 똑같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들은 이제 저상버스에 탑승할 수 있게 됐다. 이렇듯 동일한 손상을 지닌 사람이, ‘버스 타기’라는 동일한 행위를 어떤 경우(일반 시내버스)에는 할 수 있고, 어떤 경우(저상버스)에는 할 수 없다고 할 때, 과연 ‘버스를 탈 수 없음’의 원인이 개인의 몸에 존재하는 손상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오히려 우리는 동일한 손상을 지닌 사람으로 하여금 버스를 타거나 탈 수 없게 만드는 사회적 조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정 개인이 몸에 지니고 있는 ‘손상’이 손상 그 자체를 넘어 ‘~할 수 없음’이라는 장애로 번역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때 장애학은 ‘손상’을 ‘장애’로 만드는 특정한 관계에 초점을 둔다. 그 관계란 바로 ‘차별적’이고 ‘억압적’인 관계이며, 이는 흑인이나 여성 같은 또 다른 소수자들을 배제하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장애인이라서 차별받는 것이 아니라, 차별받기 때문에 장애인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장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 설정 역시 완전히 달라진다. 장애의 근본 원인을 ‘손상’으로 규정한다면, 그 해결책은 몸에 있는 손상을 ‘뜯어고치는’ 것뿐이다. 그러나 사회적 차별과 억압이 ‘손상’을 궁극적으로 ‘장애’로 만든다는 통찰을 공유한다면, 바로 그 차별과 억압의 구조를 바꾸는 것만이 진정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문제로 정의된 사람들이 그 문제를 다시 정의할 수 있는 힘을 가질 때 혁명은 시작된다”는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의 캐치프레이즈를 이제 사회 구성원 모두가 마음에 새겨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