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신학자, 법률가, 의학자 16인이 본 동성애 진단과 대응 전략
동성애와 성전환에 대한 교계의 비판적 고찰
가격
20,000
10 18,000
YES포인트?
1,0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추천사 이후정 목사, 김영한 교수, 소기천 교수
옥고를 출판하면서
감리회거룩성회복협의회(감거협) 조직표

1강 주제 강의 _ 김진두
2강 동성애 문제에 대한 성경적 입장 _ 이승구
3강 동성애 대책을 위한 신약성서 배경사 _ 소기천
4강 구약 성경에 나타난 동성애 - 퀴어 신학의 구약 해석 비판 _ 황선우
5강 신약 성경과 동성애: 동성 행위에 관한 신약 성경의 평가_ 신현우
6강 젠더주의에 대한 한국 교회 대안 _ 김영한
7강 동성애, 페미니즘 등의 배후 실체와 대응 전략 - 성 소수자(젠더퀴어) 운동은 디오니소스적 신이교/영지주의 _ 정일권
8강 정통 신학을 대체하려는 퀴어 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_ 곽혜원
9강 차별금지법과 기본권 _ 안창호
10강 포괄적 차별금지법에 대한 정치적 대응 전략 _ 조배숙
11강 동성애차별금지법에 대한 한국 교회의 복음적 대응과 시대적 사명 _ 조영길
12강 후기 기독교(Post-Christianity) 시대의 세계관 전쟁 _ 정소영
13강 공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반기독교적 성교육 실태와 대처 방안 _ 김지연
14강 기독교 문화와 위기 _ 최정훈
15강 LGBT 의학 _ 민성길
16강 감리회 신학과 목회 현장의 정체성에 관한 한 신학자의 사색_ 왕대일

저자 소개16

김영한,金英漢

서울대 철학과 (1971)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철학 박사 (1974)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신학 박사 (1984)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원장 (초대~3대, 5~6대)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1978-2012) 한국해석학회 회장 (2004-06) 한국기독교철학회 회장 (2006-12) 한국개혁신학회 창립 및 회장 (1996)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방문교수 (1984-85, 2004-05)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방문교수 (1990-91) 미국 예일대학교 방문교수 (1991-92) 현, 기독교학술원 원장 숭실대학교 명예교수 샬롬나비(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서울대 철학과 (1971)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철학 박사 (1974)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신학 박사 (1984)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원장 (초대~3대, 5~6대)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1978-2012)
한국해석학회 회장 (2004-06)
한국기독교철학회 회장 (2006-12)
한국개혁신학회 창립 및 회장 (1996)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방문교수 (1984-85, 2004-05)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방문교수 (1990-91)
미국 예일대학교 방문교수 (1991-92)
현, 기독교학술원 원장
숭실대학교 명예교수
샬롬나비(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상임대표

저서

『하이데거에서 리꾀르까지』 (박영사)
『젠더주의 도전과 기독교 신앙』 (두란노)
『퀴어신학의 도전과 정통개혁신학』 (CLC) 외 42권

김영한의 다른 상품

스코틀랜드 신학 석사와 잉글랜드 브리스톨대학교에서 Ph.D.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감리교신학대학교 석좌교수로 봉직하고 있다.
감리교신학대학교(감신대)에서 30년간 구약학을 가르쳤으며 정년퇴임 후 서울 강서구에 있는 하늘빛교회를 섬기다가 은퇴 후 다시 감신대의 석좌교수로 복귀하여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 대광고등학교 재학 중 부르심에 이끌린 저자는 감신대와 감신대대학원을 졸업하고 농촌교회를 섬기다가 성경 말씀의 ‘주석과 신학과 해석학’에 관한 목마름을 채우고자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클레어몬트(Claremont) 대학원 종교학부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감신대 구약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구약학회 회장과 한국 기독교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교수·학자의 사역과 더불어서 교회와 신학을 잇는 일과
감리교신학대학교(감신대)에서 30년간 구약학을 가르쳤으며 정년퇴임 후 서울 강서구에 있는 하늘빛교회를 섬기다가 은퇴 후 다시 감신대의 석좌교수로 복귀하여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

대광고등학교 재학 중 부르심에 이끌린 저자는 감신대와 감신대대학원을 졸업하고 농촌교회를 섬기다가 성경 말씀의 ‘주석과 신학과 해석학’에 관한 목마름을 채우고자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클레어몬트(Claremont) 대학원 종교학부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감신대 구약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구약학회 회장과 한국 기독교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교수·학자의 사역과 더불어서 교회와 신학을 잇는 일과 성서학의 지성을 강단의 영성으로 연결하는 일에 쓰임 받았다. 또 신학대학(감신대, 장신대, 한신대, 서울신대) 교수 4명이 공동으로 목회하는 교회의 대표 목사가 되어 신앙공동체를 세우고 다지는 은혜를 누렸다.

일상을 세워 가는 기둥은 언어다. 하나님의 사람이라면 하나님의 언어를 나의 말로 품을 줄 알아야 한다. 이 책은 2023년과 2024년 〈목회와 신학〉 ‘그말씀’에 연재한 원고의 일부다. 일상에서 주고받는 열두 개의 낱말을 성경적으로 되새겨 보게 했다. 이 책은 하나님과 가까워지고 하나님 나라를 누릴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저서로는 《주의 말씀을 내 마음에 두었나이다》, 《설교로 풀어쓴 성서,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구약과 웨슬리》, 《새로 읽는 구약성경》, 《구약성경의 종말론》, 《창조신앙의 복음, 창조신앙의 영성》, 《엑소도스, 하나님의 성소를 이루기까지》 등 다수가 있다.

왕대일의 다른 상품

에든버러대학교에서 “십자가 성요한과 선불교 신비영성비교 및 철학적 분석”으로 Ph.D.를 취득하였고, 전 한동대학교 교목실장 및 교수로 봉직한 바 있으며, 현재 미장로회 신학교 외래 교수다.
미국 클레어몬트 신학교(Claremont School of Theology, MATS)와 클레어몬트 대학교(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Ph. D.)에서 공부하였다. 한국 Q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예수말씀연구소 소장이며,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약학과 초기 그리스도교의 이단과 정통 문제를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예수말씀의 전승궤도』(대한기독교서회, 2000)와 『예수말씀 복음서 Q개론』(대한기독교서회, 2004)이 있다.

소기천 의 다른 상품

李承九

이 책의 지은이 이승구는 개혁신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이로서 현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있다.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과를 졸업(B. A.)하고, 서울대학교대학원에서 윤리학과 가치교육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합동신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영국 The University of St. Andrews 신학부에서 연구(research)에 의한 신학 석사(M. Phil., 1985) 학위와 신학 박사(Ph. D., 1990) 학위를 취득하였고, 미국 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에서 연구원(Research Fellow)으로 있다가(199
이 책의 지은이 이승구는 개혁신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이로서 현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있다. 총신대학교 기독교 교육과를 졸업(B. A.)하고, 서울대학교대학원에서 윤리학과 가치교육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합동신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영국 The University of St. Andrews 신학부에서 연구(research)에 의한 신학 석사(M. Phil., 1985) 학위와 신학 박사(Ph. D., 1990) 학위를 취득하였고, 미국 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에서 연구원(Research Fellow)으로 있다가(1990-1992) 귀국하여, 웨스트민스터신학원(1992-1999)과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1999-2009)에서 조직신학 교수, 부총장 등을 역임한 후 지금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로 있다. 그 동안 한국장로교신학회, 한국개혁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2020년부터 2022년 봄까지 한국 복음주의신학회 회장으로 섬겼다. 그 동안 다음 같은 책을 내었다.

『현대 영국 신학자들과의 대담』 (대담 및 편집). 서울: 엠마오, 1992.
『개혁신학에의 한 탐구』. 서울: 웨스트민스터 출판부, 1995, 재판, 2004.
『교회론 강설: 교회란 무엇인가?』. 서울: 여수룬, 1996, 2판, 2002.
개정. 서울: 나눔과 섬김, 2010. 4쇄, 2016. 재개정판. 서울: 말씀과 언약, 2020.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강해 1: 진정한 기독교적 위로』. 서울: 여수룬, 1998, 2002.
개정판. 서울: 나눔과 섬김, 2011. 2쇄, 2013. 3쇄, 2015.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강해 2: 성령의 위로와 교회』. 서울: 이레서원, 2001, 2003, 2009, 2013, 2015.
『인간 복제: 그 위험한 도전』. 서울: 예영, 2003, 개정판, 2006.
『기독교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서울: SFC, 2003, 개정판 5쇄, 2009. 재개정, 2014, 2016, 2022.
『기독교 세계관으로 바라보는 21세기 한국 사회와 교회』. 서울: SFC, 2005; 2쇄, 2008; 5쇄, 2016. 개정판. 서울: CCP, 2018.
『사도신경』. 서울: SFC, 2005, 개정판, 2009. 재개정판, 2013, 2015, 2020.
Kierkegaard on Becoming and Being a Christian. Zoetermeer: Meinema, 2006.
『21세기 개혁신학의 동향』.서울: SFC, 2005, 2쇄, 2008. 개정판. 서울: CCP, 2018.
『한국 교회가 나아갈 길』. 서울: SFC, 2007, 2011. 개정판. 서울: CCP, 2018.
『코넬리우스 반틸』. 서울: 도서출판 살림, 2007, 2012.
『전환기의 개혁신학』. 서울: 이레서원, 2008, 2쇄, 3쇄, 2016.
『광장의 신학』. 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10, 2쇄.
『우리 사회 속의 기독교』. 서울: 도서출판 나눔과 섬김, 2010, 2쇄.
『개혁신학 탐구』. 서울: 하나, 1999, 2001.
개정판. 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12.
『톰 라이트에 대한 개혁신학적 반응』. 수원: 합신대학원 출판부, 2013. 2쇄.
『거짓과 분별』. 서울: 예책, 2014.
『우리 이웃의 신학들』. 서울: 도서출판 나눔과 섬김, 2014. 2쇄, 2015.
『위로 받은 성도의 삶』. 서울: 나눔과 섬김, 2015. 개정판, 서울: 말씀과 언약, 2020.
『묵상과 기도, 생각과 실천』. 서울: 도서출판 나눔과 섬김, 2016. 개정판. 개혁, 2022.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서울: SFC, 2018.
『하나님께 아룁니다』. 서울: 말씀과 언약, 2020.
『교회, 그 그리운 이름』. 서울: 말씀과 언약, 2021.
『데이비드 웰스와 함께 하는 하루』. 서울: 말씀과 언약, 2021.
『성경적 종말론과 하나님 백성의 삶』. 서울: 말씀과 언약, 2022.

이승구의 다른 상품

연세대학교(B.A.), 미국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M.Div.), Yale University(S.T.M.), 영국 University of Edinburgh(Ph.D.)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 안양대학교 신학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과 구약학 부교수와 교목실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A&HCI Journal인 Scandinavian Journal of the Old Testament와 Heythrop Journal 에 논문이 게재되었고 Expository Times, Theological Book Review, Studies
연세대학교(B.A.), 미국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M.Div.), Yale University(S.T.M.), 영국 University of Edinburgh(Ph.D.)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 안양대학교 신학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과 구약학 부교수와 교목실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A&HCI Journal인 Scandinavian Journal of the Old Testament와 Heythrop Journal 에 논문이 게재되었고 Expository Times, Theological Book Review, Studies in World Christianity와 같은 국제 저널에 다수의 Book Review를 기고하였다. 성경학과 신학의 대표적인 국제 학회인 SBL(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과 ETS(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에서 구약 역사서와 구약신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국내에서는 현재 대한성서공회 번역위원, KCI 등재지인 『성경원문연구』와 Canon & Culture 편집위원, 한국개혁신학회 구약학회장, 한국구약해설주석(KECOT) 시리즈의 책임 편집자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The Hope for the Restoration of the Davidic Kingdom in the Light of the Davidic Covenant in Chronicles (Edwin Mellen, 2014), 『사무엘·열왕기 평행본문 대조집』(CLC, 2012), 『역대기 평행본문 대조집』(CLC, 2012) 등이 있다.

황선우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철학과(B.A.)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하였다. 대한민국 공군학사장교로 복무한 후,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Vrije Universiteit Amsterdam)에서 신약학(전공)과 유대교(부전공) 연구로 신학석사(doctorandus) 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대학의 드부어(M. C. de Boer) 교수의 지도와 영국 Oxford 대학의 터켓(C. M. Tuckett) 교수의 공동 지도를 받으며 원문 복원, 공관 문제 연구, 역사적 예수 연구의 방법론을 통합하는 논문 “The Search for Valid Criteria”로 신학박사학위(Dr. Th
서울대학교 철학과(B.A.)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하였다. 대한민국 공군학사장교로 복무한 후,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Vrije Universiteit Amsterdam)에서 신약학(전공)과 유대교(부전공) 연구로 신학석사(doctorandus) 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대학의 드부어(M. C. de Boer) 교수의 지도와 영국 Oxford 대학의 터켓(C. M. Tuckett) 교수의 공동 지도를 받으며 원문 복원, 공관 문제 연구, 역사적 예수 연구의 방법론을 통합하는 논문 “The Search for Valid Criteria”로 신학박사학위(Dr. Theol.)를 받았다. 독일 튀빙엔 대학의 고대유대교와 헬라종교 연구소에서 마가복음 사본학을 연구하였으며(2006년 1~8월), 영국 캠브리지에 있는 틴데일 하우스(Tyndale House)와 중국의 화중사범대학에서 사본학과 훈고학을 연구하였다(2010년 1~7월). 저자는 2003년부터 10년간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신약학을 가르쳤고, 2013년부터는 총신대학교(신약학 교수)에서 사역하고 있으며, 2018년 8월에는 세계신약학회(SNTS)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
저서로는 Contributions to Biblical Exegesis and Theology 시리즈의 36권으로 벨기에 루뱅에서 출판된 Textual Criticism and the Synoptic Problem in Historical Jesus Research (Peeters, 2004)를 비롯하여, 『공관복음으로의 여행』 (이레서원, 2005), 『역사적 예수 연구의 규칙』 (웨스트민스터출판부, 2005), 『사본학 이야기』, 개정판 (웨스트민스터출판부, 2005), 『마가복음의 원문을 찾아서』 (웨스트민스터출판부, 2006), 『예수와 종교개혁』 (솔로몬, 2009), 『메시아 예수의 복음』 (킹덤북스, 2011), 『신약 헬라어 주해 문법』 (킹덤북스, 2013), 『누가복음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서유니온, 2016), 『신약주석학방법론』, 개정판 (킹덤북스, 2016), 『메시아 예수와 하나님 나라』 (등과 빛, 2018), 『신약 입문』 (총회세계선교회, 2020)이 있고, 공저로는 『희년, 한국사회, 하나님 나라』 (홍성사, 2012), Fire in My Soul: Essays on Pauline Soteriology and the Gospels in Honor of Seyoon Kim (Pickwick, 2014) 등이 있다. 대표적인 학술 논문은 Oxford 대학에서 출간하는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65/2)에 게재된 “Coherence and Textual Criticism in Mark 4:24”(2014년)와 세계성서공회연합회(UBS)가 발행하는 Bible Translator (63)에 게재된 “The Historic Present as a Discourse Marker and Textual Criticism in Mark”(2012년) 등이 있다.

신현우의 다른 상품

정일권 박사는 2005년 “불멸의 40인”으로 불리며, 프랑스 지식인의 최고 명예인 아카데미프랑세즈(Academie francaise) 종신회원에 선출된 사상가 르네 지라르(Rene Girard)의 이론을 중심으로 동서양 사상을 문명 담론 차원에서 비교 연구하고 있다. 지라르는 21세기 기독교의 부흥을 이끌고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기독교를 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일권 박사는 지라르를 직접 두 번이나 만나 연구 관련 학문적 대화를 나누기도 한,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지라르 연구가요 전문가다.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Philipps
정일권 박사는 2005년 “불멸의 40인”으로 불리며, 프랑스 지식인의 최고 명예인 아카데미프랑세즈(Academie francaise) 종신회원에 선출된 사상가 르네 지라르(Rene Girard)의 이론을 중심으로 동서양 사상을 문명 담론 차원에서 비교 연구하고 있다. 지라르는 21세기 기독교의 부흥을 이끌고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기독교를 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일권 박사는 지라르를 직접 두 번이나 만나 연구 관련 학문적 대화를 나누기도 한,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지라르 연구가요 전문가다.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Philipps-Universitat Marburg)를 거쳐 유럽에서 르네 지라르 이론에 대한 학제적 연구 중심지로 성장한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학교(Leopold-Franzens-Universitat Innsbruck) 조직신학부 기독교 사회론(Christliche Gesellschaslehre) 분야에서 신학 박사(Dr. eol.) 학위를 받았다. 이후 인스부르크대학교 인문학부의 박사후연구자(post-doctoral research fellow) 과정에서 학제적 연구 프로젝트 “세계질서-폭력-종교”(Weltordnung-Gewalt-Religion), “정치-종교-예술: 갈등과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고 귀국했다. 2020년 국제르네지라르학회(Colloquium on Violence and Religion) 연구 서적 목록(Bibliography of Literature on the Mimetic Theory vol. XLVII )에 그의 연구서 6권이 등재되었다. 국제르네지라르학회 정회원이며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초빙교수로 가르쳤다.

그동안 12권의 저서와 다수의 논문을 출간했다. 저서로는 독일어 단행본 『Paradoxie der welt gestaltenden Weltentsagung im Buddhismus』, 『붓다와 희생양』(제30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목회자료 부문 최우수작), 『우상의 황혼과 그리스도』, 『십자가의 인류학』, 『르네 지라르와 현대 사상가들의 대화 : 미메시스 이론, 후기구조주의 그리고 해체주의 철학』, 『예수는 반신화다』, 『우주와 문화의 기원』, 『질투사회 : 르네 지라르와 정치경제학』, 『문화막시즘의 황혼 : 21세기 유럽 사회민주주의 시대의 종언』, 『미셀 푸코와 주디스 버틀러의 황혼 : 성 소수자 운동의 아동 인권 유린과 젠더의 종말』(CLC, 2022)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칼빈의 성령론』, 『독일 녹색당과 오덴발트학교의 소아 성애 사태 : 독일 낭만주의 개혁교육학, 비판 교육 이론, 그리고 포괄적 성 교육 비판』이 있다.

정일권의 다른 상품

이화여대 사회학과를 졸업했고, 한세대와 장로회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독일 튀빙엔 대학에서 위르겐 몰트만(J. Moltmann) 교수의 지도로 조직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공회대·숭실대·연세대·장로회신학대 대학원 강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경기대학교 초빙교수, <21세기 교회와 신학 포럼> 대표이다. <21세기 교회와 신학 포럼>은 다종교, 다문화, 다가치, 다변화, 다원화, 개방화, 글로벌화를 추구하는 21세기의 시대상황 속에서 21세기 교회와 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 공동체이다. 저서로는 Das Todesverstandnis der kor
이화여대 사회학과를 졸업했고, 한세대와 장로회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독일 튀빙엔 대학에서 위르겐 몰트만(J. Moltmann) 교수의 지도로 조직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공회대·숭실대·연세대·장로회신학대 대학원 강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경기대학교 초빙교수, <21세기 교회와 신학 포럼> 대표이다. <21세기 교회와 신학 포럼>은 다종교, 다문화, 다가치, 다변화, 다원화, 개방화, 글로벌화를 추구하는 21세기의 시대상황 속에서 21세기 교회와 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 공동체이다.

저서로는 Das Todesverstandnis der koreanischen Kultur(한국 문화의 죽음이해), International Theology Vol. 11(Peter Lang Verlag, 2004),『현대세계의 위기와 하나님의 나라』(한들출판사, 2008),『삼위일체론 전통과 실천적 삶』(대한기독교서회, 2009/2010년 문화체육관광부선정 우수학술도서)이 있으며, 역서로는 위르겐 몰트만(J. Moltmann)의 저서들『절망의 끝에 숨어있는 새로운 시작(원제: Im Ende - der Anfang)』(대한기독교서회, 2006),『세계 속에 있는 하나님(원제: Gott im Projekt der modernen Welt)』(도서출판동연, 2009),『하나님의 이름은 정의이다(원제: Sein Name ist Gerechtigkeit)』(대한기독교서회, 2011),『희망의 윤리(원제: Ethik der Hoffnung)』(21세기교회와신학포럼, 2011)를 옮겼다.

곽혜원의 다른 상품

대전고등학교 서울대학교(사회학) 서울대학교 대학원(법학, 수료) 미국 미시간대학 로스쿨(방문학자) 제23회 사법시험 합격 법무부 인권과 검사 법무부 특수법령과장(현 통일법무과장) 대검찰청 기획과장 대검찰청 공안기획관 법무부 사법제도기획단장 대검찰청 형사부장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헌법재판관 황조근정훈장(2010년) 수상 청조근정훈장(2018년) 수상

안창호의 다른 상품

복음법률가회 상임대표, 前국회의원(16, 17, 18, 20대), 前한국여성변호사회장, 사시 22회·연수원 12기

조배숙의 다른 상품

曺永吉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1988) 후, 서울지방법원 판사로 법조 인 생활을 시작했다(1996).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4년간 노동팀에서 활동했고, 그 후 법무법인 아이앤에스를 설립(2000)하여 현재까지 약 20여년간 주로 노동법 관련 법률자문 업무 및 노사관계개선 컨설팅 업무에 주력해왔다. 노동법 전문성을 가진 로펌인 법무법인 아이앤에스를 이끌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다수의 대법원 판결을 끌어내는데 주도적인 기여를 해왔고, 악화된 노사관계를 정상 상태로 회복 시키는 컨설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변호사로 평가 받고 있다. 그의 저서 『노사관계개선의 바른길 I, II』는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1988) 후, 서울지방법원 판사로 법조 인 생활을 시작했다(1996).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4년간 노동팀에서 활동했고, 그 후 법무법인 아이앤에스를 설립(2000)하여 현재까지 약 20여년간 주로 노동법 관련 법률자문 업무 및 노사관계개선 컨설팅 업무에 주력해왔다. 노동법 전문성을 가진 로펌인 법무법인 아이앤에스를 이끌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다수의 대법원 판결을 끌어내는데 주도적인 기여를 해왔고, 악화된 노사관계를 정상 상태로 회복 시키는 컨설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변호사로 평가 받고 있다. 그의 저서 『노사관계개선의 바른길 I, II』는 2011년 시장경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조길 변호사는 노동법 분야 외에도, 동성애 폐해의 확산 방지 및 동성애차별금 지법 반대를 위해 활발하게 활동해 오고 있다. 강연, 학술대회나 세미나에서 발제 또는 토론 참여, 언론보도 등을 통해 동성애차별금지법이 가지는 심각한 위험성, 특히, 우리나라의 선량한 성윤리 훼손의 폐해와 분별력 약한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심각한 유해성들 및 반대할 양심, 학문, 신앙, 표현의 자유 박탈성을 적극적으로 알 려 왔다. 동성애차별금지법의 심각한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한 저서 「국가인권 위원회법상 차별금지 사유로 규정된 성적지향 삭제 개정의 정당성」(2016년 발간, 개정판 “차별금지법과 동성애 독재(2019년 발간)”)은 다수 국회의원과 국민들이 추진해오고 있는 국가인권위원회법상 성적지향 문구 삭제 개정 운동의 정당한 법 률적 논거를 제공하고 있다. 2015년부터 이른바 “김조광수 동성혼 합법화 소송”에서 서대문구청의 소송대리 인으로 변론 업무를 담당하고 있고, 서울서부지방법원으로부터 동성혼을 인정하 지 않는 각하 결정(2016.5.25.)에 이어 항고심에서도 기각 결정을 이끌어낸 바 있 다(2016.12.5.). 한편 한국교회동성애대책협의회(한동협)에서 총괄전문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성경적 결혼 및 성윤리 수호를 위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2017년부터 기독교동성애대책아카데미의 행정담당 강사로 활동하며 한국교회 지 도자들이 동성애정당화이론에 미혹되지 않도록 섬기는 활동을 해오고 있다. 2012년 새로운교회에서 장로 안수를 받았고, 2017년부터는 열매가좋은교회 장로 로 섬기고 있다. YWAM(한국예수전도단)의 성경학교(SBS) 중의 하나인 새로운교회 성경학교 SBS 담당장로로 사역했고(2013, 2014), 2015년부터 지금(2019)까지 일터성경학교(WSBS)의 학교장으로 섬기며 성경을 계속 학습하고 가르치는 사역 을 돕고 있다.

조영길의 다른 상품

세인트폴 세계관 아카데미 대표 · 미국변호사.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언론홍보대학원 및 한동대학교 국제법률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미국 테네시주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후, 대학과 로펌 등에서 일하였고, 2017년 고전인문학 독서학교인 세인트폴 고전인문학교의 설립멤버로 함께 하였다. 현재는 세인트폴 세계관 아카데미를 통해 청소년, 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성경적 세계관을 가르치는 일과 사단법인 크레도의 사무총장으로서 개인의 자유와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우며 이와 관련된 법과 정책을 연구하는 일도 함께 하고 있다. 최근 전세계가 포스트모더니즘의 물결 속에서 무엇이 옳고
세인트폴 세계관 아카데미 대표 · 미국변호사.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언론홍보대학원 및 한동대학교 국제법률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미국 테네시주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후, 대학과 로펌 등에서 일하였고, 2017년 고전인문학 독서학교인 세인트폴 고전인문학교의 설립멤버로 함께 하였다.

현재는 세인트폴 세계관 아카데미를 통해 청소년, 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성경적 세계관을 가르치는 일과 사단법인 크레도의 사무총장으로서 개인의 자유와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우며 이와 관련된 법과 정책을 연구하는 일도 함께 하고 있다.

최근 전세계가 포스트모더니즘의 물결 속에서 무엇이 옳고 그른 것인지, 어떤 방향이 올바르고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 말하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이다. 그러나 구성원 대다수가 가치가 있다고 동의할 만한 지향점을 가지지 못하고, 그것을 다음 세대에 전수하지 못하는 사회의 미래는 결코 밝지 못할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소수의 사람이라도 우리가 지키고 가꾸어가야 할 올바른 세계관이 있다고 감히 말하고, 그것을 옆 사람에게 말해주는 일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 되었다. 이 일에 작은 손이나마 보태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국은 어떻게 동성결혼을 받아들였나?-미국 법원의 동성결혼 합법화 12대 판결』, 『크리스천 청소년들이 꼭 알아야 할 세계관 특강』과 이연임 박사와 함께 쓴 『고전이 알려주는 생각의 기원- 너의 생각은 어디에서 왔니?』가 있으며 독일의 사회학자 가브리엘 쿠비가 쓴 『글로벌 성혁명』을 번역하기도 했다.

정소영의 다른 상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 및 의사학과 겸임교수, 연세의대 의학행동과학 연구소 소장,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원장, 서울특별시 은평병원 원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장, 대한사회정신의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연세학술상, 서울시의사회 저술상, CINP Pioneer Award 등을 수상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의학박사, 신경정신과 전문의이다. 저서로는 『최신정신의학』(편), 『우리시대의 노이로제』, 『통일과 남북 청소년』, 『통일이 되면 우리는 함께 어울려 잘 살 수 있을까?』, 『화병 연구』, 『난폭한 사회, 그러나 희망을』, 『서울을 정신분석하다』(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 및 의사학과 겸임교수, 연세의대 의학행동과학 연구소 소장,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원장, 서울특별시 은평병원 원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장, 대한사회정신의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연세학술상, 서울시의사회 저술상, CINP Pioneer Award 등을 수상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의학박사, 신경정신과 전문의이다. 저서로는 『최신정신의학』(편), 『우리시대의 노이로제』, 『통일과 남북 청소년』, 『통일이 되면 우리는 함께 어울려 잘 살 수 있을까?』, 『화병 연구』, 『난폭한 사회, 그러나 희망을』, 『서울을 정신분석하다』(편), 『말씀이 육신이 되어. 맥라렌교수의 생애와 사상』, 『성, 사랑, 가정 II』(편) 등이 있다.

민성길의 다른 상품

부산에서 태어났으며 남편과 슬하에 대학생과 고등학생인 두 자녀를 두고 있다. 영남신학대학교 및 미주장로신학대학원에서 겸임교수로 재직 중인 저자는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백석대대학원 중독상담학 석사를 졸업한 뒤 기독교 상담학 박사 과정 중에 있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가족보건협회 대표와 차세대바로세우기학부모연합 상임대표를 맡고 있다. 2014년 봄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의료 정책 최고위과정(HPM) 우수연구상을 수상했다. 국내 대표적인 성경적 성교육 강사 양성 기관인 에이랩 아카데미 선교회(ALAF, Awesome Life Awesome Family) 대표이며
부산에서 태어났으며 남편과 슬하에 대학생과 고등학생인 두 자녀를 두고 있다. 영남신학대학교 및 미주장로신학대학원에서 겸임교수로 재직 중인 저자는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백석대대학원 중독상담학 석사를 졸업한 뒤 기독교 상담학 박사 과정 중에 있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가족보건협회 대표와 차세대바로세우기학부모연합 상임대표를 맡고 있다. 2014년 봄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의료 정책 최고위과정(HPM) 우수연구상을 수상했다.

국내 대표적인 성경적 성교육 강사 양성 기관인 에이랩 아카데미 선교회(ALAF, Awesome Life Awesome Family) 대표이며 국내 및 해외의 종교 시설, 학교, 기업, 단체를 비롯해 극동방송, CTS, CBS, 유튜브 채널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성경적 성가치관에 관련된 주제로 활발한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너는 내 것이라》, 《나의 어여쁜 자야》, 《딩동! 선물 왔어요(공저)》(이상 두란노), 《덮으려는 자 펼치려는 자》(사람), 《하나님이 지으신대로》(한국장로교출판사), 《생명과 성 1(공저)》(킹덤북스)이 있으며, 《하나님께서 남자와 여자를 만드셨어요》(홈앤에듀)를 감수했다.

‘디지털 세대를 위한 성경적 성교육’ 시리즈는 말씀에 근거한 참된 성경적 성교육으로 세상의 거짓된 메시지를 분별하고 성경적 관점과 가치관을 세우는 데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다. 3권 ‘동성애 Q&A’ 편은 10대들이 동성애와 포괄적 차별금지법에 관해 질문해 올 때 크리스천 양육자가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성경 말씀과 객관적인 자료로 명확하게 들려준다.

김지연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7월 19일
쪽수, 무게, 크기
458쪽 | 500g | 152*225*26mm
ISBN13
9791168369900

책 속으로

구약과 신약은 모두 동성애를 모르던 시대에 문화적으로 뒤처진 상태여서 동성애를 금한 것이 아니라 주변 세계에서는 동성애가 성행하며, 이스라엘조차도 정신 차리지 않으면 그와 같은 죄악 속에 있는 자신들을 발견할 때가 많은 바로 그런 정황 가운데서 하나님의 의도로 동성애와 다른 모든 죄를 버리고 멀리하라는 명령을 받은 것이다. 그러므로 동성애가 만연하는 우리 시대에도 동일한 성경적 원리가 천명되어야 할 것이다. 동성애가 만연되던 시대에 쓰인 구약과 신약은 동성애를 아주 엄격히 금하고 있는데, 오늘날 성경을 읽는 우리들은 동성애를 인정한다면 그 얼마나 이상한 일인가?
--- p.55

하나님이 인간을 남자와 여자라는 성적 짝으로 창조하신 이유는 인류의 생육과 번식, 차이성과 다양성을 위해서다(창 1:28a). 그런데 퀴어 신학자들은 남녀의 서로 다름 속에서 다름을 용납하고 더불어 살아가라고 하나님이 남녀를 지으셨음을 알면서도, 성을 통한 생물학적 번식을 언급하지 않는다.265) 그들은 인간 창조를 설명하면서도 후손의 번식에 관해선 언급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창세기는 남녀의 근본적 차이점을 생물학적 성의 차이로 봄으로써, 서로 다름은 성의 다름이요 서로 끌림은 성의 다름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로써 성이란 인류를 지탱하는 생물학적 동력이 되는데, 즉 하나님이 인류의 조상을 아담과 하와라는 이원적 성적 존재(dual sexual being)로 지으셨다는 것은 인류 사회 존속의 동력이 되게 하신 것이다.
--- p.208

세계의 복음주의자들 내에서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책임을 의논할 때, 성 혁명·차별금지법 제정 확산으로 인한 성도들에 대한 강압적 탄압과 복음주의 교회의 변질과 배도 문제들에 대하여 충분히 주목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 왔다. 자유주의화된 교회들은 차별금지법이 가지는 편향적 인권 개념에 미혹되어 차별금지법이 복음주의자들의 반대의 자유를 편향적으로 억압하는 것에 대하여 심각한 문제의식을 가지지 못하고 차별금지법 제정을 오히려 지지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 p.311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8,000
1 1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