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22,000
22,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경학방법론 시리즈

비판유학 · 현대경학 총서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유교문화연구총서

책소개

목차

서문_ 주자학의 다양한 지평과 현대경학 _ 김도일 · 홍린

제1장 정주程朱의 충서론忠恕論과 당대신유가의 해석 _ 정상봉

1. 들어가는 말
2. 정주程朱의 충서론
3. 당대신유가의 충서忠恕에 대한 해석
4. 나가는 말

제2장 모종삼의 주희 도덕철학 이해의 득得과 실失 ― 주희의 심구리心具理와 심지心知를 중심으로 _ 황갑연

1. 들어가는 말
2. 유가의 도덕론에 대한 모종삼의 기본 사유
3. 당구當具와 섭지攝知
4. 본구本具와 본지本知
5. 나가는 말

제3장 여성주의 성리학을 위한 시론 ― 극기복례와 성인가학聖人可學을 중심으로 _ 김세서리아

1. 들어가는 말
2.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성리학적 이해와 여성주의
3. ‘성인가학聖人可學’과 여성의 성인­되기: 성리학의 양가성과 혼종적 여성주체를 중심으로
4. 나오는 말

제4장 동아시아 실학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재고 ― ‘동아시아 실학’ 개념 정립과 그 시대 구분을 중심으로 _ 김결

1. 서론: ‘동아시아 실학’ 개념 정립의 당위성에 대하여
2. 17∼18세기 동아시아 실학과 19∼20세기 한국 실학의 변화
3. 19∼20세기 중국과 일본의 실학 연구
4. 19∼20세기 동아시아 유교사상의 근대적 변용
5. 결론: 21세기 동아시아 신실학과 주자학의 관계

제5장 대륙신유가 집단의 정치주장과 ‘레드차이나’의 부활 ― 심성유학과 정치유학의 분기와 의미 _ 조경란

1. 레드차이나의 부활과 대륙신유가의 정치유학 주장
2. 대륙신유가와 공산당의 관계: 중국에서 ‘유교부활’의 실제
3. 대륙신유가와 타이완신유가의 분기와 의미: 심성유학과 정치유학, 내성과 외왕
4. 결론을 대신하여: 한중일 유학이 처한 다른 상황과 다른 대응

제6장 21세기 성리학의 르네상스 ― 재탄생의 길에 관한 몇 가지 단상 _ 나종석

1. 전통의 탈식민화와 유럽중심주의의 상대화의 길
2. 유교적 민본주의와 민주주의의 만남에 관한 새로운 연구 경향
3. 반복되는 성리학에 대한 부정적 견해
4. 대동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본 성리학의 새로운 이해
5. 21세기 생태 위기 시대와 성리학의 생태적 재규정의 길에 대한 불충분한 성찰

제7장 2000년대 이래 주자학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조류 ― 지성사 및 예학 연구를 중심으로 _ 홍린

1. 머리말: 역사적 연구의 필요성
2. 지성사적 연구의 필요성과 성과
3. 예학 연구의 필요성과 성과
4. 결론

저자 소개8

金渡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철학과에서 순자의 윤리사상과 도덕심리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부교수로서, 유교문화연구소장, 비판유학 · 현대경학연구센터장(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유학동양한국철학과 4단계 두뇌한국 21 교육연구단장(교육부 지원사업)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동양철학, 윤리학, 그리고 도덕심리학이다.

김도일의 다른 상품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주륙성학비교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북경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에서 중국철학을 전공하고 있다. 역서로는 『공자의 인, 타자의 윤리로 다시 읽다』(공역)가 있다.

홍린의 다른 상품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에서 중국유가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건국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주자학의 형성과 전개』(심산, 공저), 『유교의 마음공부』(공동체, 공저)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주자의 욕망관과 그 현대적 의의」, 「주자형이상학의 심층구조」, 「퇴계의 주자철학에 대한 이해와 그 특색」, 「우암(尤庵)의 주자철학에 대한 해석과 그 특색」, 「다산의 인간관과 孝·弟·慈의 실천」, 「한국인성교육과 그 철학적 기초」, 「디지털문화시대에 있어서 “恕”의 철학과 그 의의」 등이 있다.
황갑연은 臺灣 東海大學 哲學硏究所에서 『陸象山 道德哲學之硏究』로 석사학위를, 『心學的 道德形上學硏究』(지도교수 蔡仁厚)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황갑연의 학술연구 진행은 다음 3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1단계, 1996년 귀국 이후 약 5년 동안 심학에 관한 논문과 저술을 학계에 집중 발표하면서 주자 성리학 중심의 한국 학술계의 연구에 다양성을 제공했다. 牟宗三의 대표작인 『心體與性體』 번역이 이 시기의 대표적 연구 결과이다. 2단계, 육구연과 왕양명 중심의 心學과 정이천과 주자 중심의 理學을 학술발전사 관점에서 재조명했다. 그 연구 결과가 『리학?·?심학 논쟁』이다. 3단계,
황갑연은 臺灣 東海大學 哲學硏究所에서 『陸象山 道德哲學之硏究』로 석사학위를, 『心學的 道德形上學硏究』(지도교수 蔡仁厚)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황갑연의 학술연구 진행은 다음 3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1단계, 1996년 귀국 이후 약 5년 동안 심학에 관한 논문과 저술을 학계에 집중 발표하면서 주자 성리학 중심의 한국 학술계의 연구에 다양성을 제공했다. 牟宗三의 대표작인 『心體與性體』 번역이 이 시기의 대표적 연구 결과이다. 2단계, 육구연과 왕양명 중심의 心學과 정이천과 주자 중심의 理學을 학술발전사 관점에서 재조명했다. 그 연구 결과가 『리학?·?심학 논쟁』이다. 3단계, 주요 연구 분야는 유가철학에서 도덕과 문학예술 그리고 과학지식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도덕과 문학예술 그리고 과학지식의 유기적 관련성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유가 철학의 입장을 수용하지만, 주종적 관계에 대해서는 비판적 태도를 취한다.이에 대한 연구 결과가 『문도론』이다.
저서로 『리학?·?심학 논쟁』?· 『동양철학과 문자학』 외 14권이 있고, 역서로 『心體와 性體』 외 6권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조선성리학자의 양명학 비판 논거에 대한 비판적 성찰」(퇴계 학보) 외 70편이 있다.
현재 전북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황갑연의 다른 상품

김세서리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다. 캐나다 사이몬 프레이저 대학 포스트닥터 펠로, 성신여자대학교 연구교수, 이화여대 초빙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포스트 유학의 관점 하에서 유학과 현대 윤리학, 페미니즘이 만날 수 있는 지점을 모색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신사임당, 하이테크놀로지를 만나다』(2014), 『공자, 페미니즘을 상상하다』(2010), 『동양여성철학에세이』(2005) 등이 있다. 공역으로 『권력의 정신적 삶』(2019), 『여성주의 철학』(2005) 등이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다. 캐나다 사이몬 프레이저 대학 포스트닥터 펠로, 성신여자대학교 연구교수, 이화여대 초빙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포스트 유학의 관점 하에서 유학과 현대 윤리학, 페미니즘이 만날 수 있는 지점을 모색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신사임당, 하이테크놀로지를 만나다』(2014), 『공자, 페미니즘을 상상하다』(2010), 『동양여성철학에세이』(2005) 등이 있다. 공역으로 『권력의 정신적 삶』(2019), 『여성주의 철학』(2005) 등이 있다. 그 외 다수의 동양철학과 여성철학 관련 공저 및 연구논문이 있다.

김세서리아의 다른 상품

金玟

건국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 취득 후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집현전 태학사 과정에 있다. 저서로는 『‘理’與‘上帝’之間: 朱熹與丁若鏞‘道心人心論’之比較硏究』(2020)가 있으며 중국철학, 한국철학, 한중비교철학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다.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저서로는 『현대 중국 지식인 지도-신유가 자유주의, 신좌파』(2013), 『20세기 중국 지식의 탄생-전통·근대·혁명으로 본 라이벌 사상사』(2015), 『국가, 유학, 지식인』(2017) 등 다수가 있으며, 열암철학상(2017)을 수상했다.

조경란의 다른 상품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헤겔과 비코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독일 관념론, 현대 서구 정치철학, 동아시아 유학사상 그리고 한국 현대사상 등이다. 저서로 [차이와 연대: 현대 세계와 헤겔의 사회ㆍ정치철학](2007), [삶으로서의 철학: 소크라테스의 변론](2007), [헤겔 정치철학의 통찰과 맹목: 서구 근대성과 복수의 근대성 사이](2012), [사회인문학이란 무엇인가?](공저, 2011), [한국 인문학의 형성](공저, 2011), [유교적 공공성과 타자](공저, 2014)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헤겔과 비코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독일 관념론, 현대 서구 정치철학, 동아시아 유학사상 그리고 한국 현대사상 등이다.
저서로 [차이와 연대: 현대 세계와 헤겔의 사회ㆍ정치철학](2007), [삶으로서의 철학: 소크라테스의 변론](2007), [헤겔 정치철학의 통찰과 맹목: 서구 근대성과 복수의 근대성 사이](2012), [사회인문학이란 무엇인가?](공저, 2011), [한국 인문학의 형성](공저, 2011), [유교적 공공성과 타자](공저, 2014),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공저, 2014), [디아스포라: 민족 정체성, 문학과 역사](공저, 201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비토리오 회슬레의 [비토리오 회슬레, 21세기의 객관적 관념론](2007), 미하엘 토이니센의 [존재와 가상: 헤겔 논리학의 비판적 기능](2008), 카를 슈미트의 [현대 의회주의의 정신사적 상황](2012) 등이 있다.

나종석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3월 04일
쪽수, 무게, 크기
232쪽 | 153*224*20mm
ISBN13
9788976464897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2,000
1 2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