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문_ 주자학의 다양한 지평과 현대경학 _ 김도일 · 홍린
제1장 정주程朱의 충서론忠恕論과 당대신유가의 해석 _ 정상봉 1. 들어가는 말 2. 정주程朱의 충서론 3. 당대신유가의 충서忠恕에 대한 해석 4. 나가는 말 제2장 모종삼의 주희 도덕철학 이해의 득得과 실失 ― 주희의 심구리心具理와 심지心知를 중심으로 _ 황갑연 1. 들어가는 말 2. 유가의 도덕론에 대한 모종삼의 기본 사유 3. 당구當具와 섭지攝知 4. 본구本具와 본지本知 5. 나가는 말 제3장 여성주의 성리학을 위한 시론 ― 극기복례와 성인가학聖人可學을 중심으로 _ 김세서리아 1. 들어가는 말 2.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성리학적 이해와 여성주의 3. ‘성인가학聖人可學’과 여성의 성인되기: 성리학의 양가성과 혼종적 여성주체를 중심으로 4. 나오는 말 제4장 동아시아 실학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재고 ― ‘동아시아 실학’ 개념 정립과 그 시대 구분을 중심으로 _ 김결 1. 서론: ‘동아시아 실학’ 개념 정립의 당위성에 대하여 2. 17∼18세기 동아시아 실학과 19∼20세기 한국 실학의 변화 3. 19∼20세기 중국과 일본의 실학 연구 4. 19∼20세기 동아시아 유교사상의 근대적 변용 5. 결론: 21세기 동아시아 신실학과 주자학의 관계 제5장 대륙신유가 집단의 정치주장과 ‘레드차이나’의 부활 ― 심성유학과 정치유학의 분기와 의미 _ 조경란 1. 레드차이나의 부활과 대륙신유가의 정치유학 주장 2. 대륙신유가와 공산당의 관계: 중국에서 ‘유교부활’의 실제 3. 대륙신유가와 타이완신유가의 분기와 의미: 심성유학과 정치유학, 내성과 외왕 4. 결론을 대신하여: 한중일 유학이 처한 다른 상황과 다른 대응 제6장 21세기 성리학의 르네상스 ― 재탄생의 길에 관한 몇 가지 단상 _ 나종석 1. 전통의 탈식민화와 유럽중심주의의 상대화의 길 2. 유교적 민본주의와 민주주의의 만남에 관한 새로운 연구 경향 3. 반복되는 성리학에 대한 부정적 견해 4. 대동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본 성리학의 새로운 이해 5. 21세기 생태 위기 시대와 성리학의 생태적 재규정의 길에 대한 불충분한 성찰 제7장 2000년대 이래 주자학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조류 ― 지성사 및 예학 연구를 중심으로 _ 홍린 1. 머리말: 역사적 연구의 필요성 2. 지성사적 연구의 필요성과 성과 3. 예학 연구의 필요성과 성과 4. 결론 |
金渡鎰
김도일의 다른 상품
홍린의 다른 상품
황갑연의 다른 상품
김세서리아의 다른 상품
金玟
조경란의 다른 상품
나종석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