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9월 01일 |
---|---|
쪽수, 무게, 크기 | 160쪽 | 196g | 116*183*13mm |
ISBN13 | 9788954447546 |
ISBN10 | 8954447546 |
대나무 칫솔 증정 (포인트 차감)
출간일 | 2021년 09월 01일 |
---|---|
쪽수, 무게, 크기 | 160쪽 | 196g | 116*183*13mm |
ISBN13 | 9788954447546 |
ISBN10 | 8954447546 |
성장이란 단어보다 생존이란 단어에 익숙해진 지금 십대들의 ‘일주일’의 표정 한국문학의 새로운 작가들을 시차 없이 접할 수 있는 기획 [자음과모음 트리플 시리즈]의 여덟 번째 작품으로 최진영 작가의 『일주일』이 출간되었다. 『일주일』은 「일요일」부터 시작된다. 성당 유치원에서 만난 ‘나’와 ‘도우’와 ‘민주’는 신앙심 대신 셋이 함께하는 고유한 의식을 치르며 모든 ‘일요일’들을 공유한다. 하지만 성장을 하면서 ‘나’는 특성화고에, ‘도우’는 특목고에, ‘민주’는 일반계고에 진학하게 되면서 조건 없이 서로의 평화를 빌어주던 ‘일요일’의 풍경이 변화하기 시작한다. 두 친구(도우와 민주)와는 달리 현장 실습생이 되어 아무런 보호도 받을 수 없는 냉혹한 사회로 나오게 된 ‘나’는 “우리의 노력이나 바람과는 상관없이 우리가 서로 다른 일요일을 보낼 수도 있다는 사실을 깨닫”(「일요일」, 49쪽)는다. 이 책의 마지막에는 작품 해설 대신 십대 청소년의 글이 실렸다. “당신과 조금 더 친해지고 싶어. 당신의 이야기를 계속 듣고 싶어”라는 작가의 부름에 가장 진정성 있는 목소리로 응답을 해주었다. 서로 조금 떨어져 앉은 채 비슷한 어딘가를 바라보고 있는 듯한 느낌의 소설과 에세이를 통해 우리는 지금 십대들의 모든 ‘일주일’의 표정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
일요일 수요일 금요일 에세이 사사롭고 지극한 안부를 전해요 발문 지금 도망칠 준비가 되면-박정연 |
같은 도시 같은 동네에 살아도 경험하는 세상은 각자 다르다. 하물며 같은 시간 같은 공간을 살아도 같은 경험을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최진영 작가의 소설 <일주일>의 단편 <일요일>에는 같은 동네에서 자라고 같은 성당을 다녔지만 각각 특성화고, 특목고, 일반계고에 진학하게 되면서 다른 세상을 경험하게 되는 세 친구의 이야기가 나온다.
특성화고에 진학한 '나'는 처음엔 자기 힘으로 돈을 벌 수 있다는 사실에 기뻤다. 하지만 주중 주말은 물론이고 방학에도 일만 하는 현실에 점점 지쳐간다. 현장 실습으로 가게 된 공장에선 어린 데다가 정식 직원도 아니라 어렵고 힘든 일만 떠맡는다. 이의를 제기하면 취업을 안 시켜주겠다, 앞으로 너희 학교 학생들은 안 받겠다 등등 협박 조의 말을 듣는다. 이런 직장에는 취업하고 싶지 않지만, 취업하지 않으면 다른 수도 없는 현실에 '나'는 점점 절망한다.
이어지는 단편 <수요일>은 외국어고에 다니는 '나'가 실종된 친구 '지형'의 어머니로부터 추궁을 당하는 내용이다. 지형의 어머니는 지형이 공부밖에 모르는 모범생인 줄 안다. 하지만 지형의 가까운 친구인 '나'가 아는 지형은 다르다. 지형은 성적이 조금만 떨어져도 자신을 루저 취급하는 부모를 경멸하지만, 어느샌가 자신도 부모처럼 친구를 성적에 따라 사귀거나 버리고 있음을 깨닫고 환멸을 느낀다.
마지막 단편 <금요일>은 자퇴를 고민 중인 일반계고 학생 '나'의 이야기를 그린다. 이혼한 엄마와 여동생, 외할머니와 살고 있는 '나'는 학교생활이 너무나 괴롭다. 재미도 없고 왜 배우는지도 모르겠는 과목을 매일 몇 시간씩 공부하고 있는 현실이 지겹다. 차라리 이 시간에 자신의 적성을 탐색하고, 적성에 맞는 진로를 찾아서 그에 따른 준비를 하고 싶다. 그런 뜻을 전하자 엄마의 반응은 당연히 반대. 하지만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허락해 줄 듯도 한데...
당장 생존하기도 힘든 상황에 놓인 <일요일>의 '나'에 비하면, 특목고에 다니는 '나'나 일반계고에 다니는 '나'의 상황은 일견 편하게도 보인다. 그러나 (특목고는 안 다녀봐서 모르겠고) 일반계고에 다녀본 사람은 알 것이다. 이곳 또한 지옥이라는 것을... 고등학교 때는 대입만을 목표로 어찌어찌 견뎠다고 해도, 대학교에 들어가면 등록금 고민에 대출 빚에 취업 전쟁에... 이런 게 삶이라면 왜 살아야 하는 걸까,라는 고민을 안 해본 사람이 있을까(있다면 부럽습니다).
처음 청소년 대상 소설을 썼을 때나 십여 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이나 별로 바뀌지 않은 현실에, 이제는 분노보다 미안함을 느낀다는 작가의 말이 마음에 남는다. 나 또한 이제는 청소년이었던 시절에서 멀리 떠나온 어른이자 기성세대의 한 사람으로서 미안함을 느낀다. 이런 현실을 바꾸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어떤 어른으로 살지 생각한 적이 없었다. 그냥 어른이 빨리 되고 싶었다. 그러니까 구체적으로 어떤 계획이나 꿈같은 게 없었다. 야간 자율학습을 하는 게 싫었지만 담임한테 대들 수 없었고 막연하게 대학에 들어가고 싶었다. 돌이켜보면 수동적인 삶이었다. 나는 없고 남들처럼 사는 시간만 있었다. 그래서 십 대 조카와 이야기를 할 때 이모랑 말이 통하지 않는다는 소리를 들었을까. 십 대의 일상을 들려주는 최진영의 『일주일』을 읽으면서 내가 얼마나 부족한 어른인지 느끼며 조카의 기분을 생각했다.
어쩌면 이 소설을 읽는 어른 가운데 어떤 이는 어쩌겠니, 세상이 그런 걸 하며 아이들을 달래려고 할지도 모른다. 세상을 바꾸거나 인식의 변화를 위한 노력은 하지 않고 말이다. 아이들의 마음에서 공감하는 방법을 몰라서 그럴지도 모른다. 그냥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처럼 어른이 되고서야 그때의 답답함과 슬픔을 조금 알게 되었을 테니까.
최진영의 소설에서 만난 청소년은 주변에서 흔하게 마주하는 아이들이다. 어린 시절 같은 유치원에 다니며 함께 일요일마다 성당에서 미사를 드리는 ‘나’, ‘도우’, ‘민주’가 성장하면서 변화한 모습을 보여주는 「일요일」. 각기 다른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세 명의 일상은 일요일에도 만나기 어렵다. 특목고에 간 도우와 일반고에 간 민주와 다르게 특성화고에 간 ‘나’는 실습생이 되어 아무런 보호장치 없이 사회에 나온다. 가장 낮고 취약한 자리에서 위험에 노출된 채 일요일에도 쉬지 못한다. 빨리 자립하려고 선택한 학교는 안전한 고용에 대한 학습이 아닌 취업률만 높이려 아이들은 현장에 내보내고 문제가 생겼을 때 아이들을 지켜주지 않는다.
돈 버는 일이 힘들다고 말할 수는 있어. 사람이 일을 하다 보면 그렇게 죽을 수도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먹고사는 일이 원래 그렇다고 말할 수는 없어. (「일요일」, 47쪽)
‘나’의 불안은 누구의 책임일까. 어른과 사회의 잘못이다. 그런 미안함은 자신만의 비밀문자를 남기고 사라진 ‘지형’과 ‘나’의 이야기 「수요일」에서도 마찬가지다. 입시로 찌든 학교생활, 실패는 용납하지 않는 부모, 그 안에서 버티지 못하고 스스로 생을 마감하고, 지형인 사라지고 남겨진 ‘나’는 ‘지형’이 보호자라 부르는 엄마에게 추궁을 당한다. 자신의 잘못과 아이가 느꼈을 아픔과 고통은 헤아리지 못하는 보호자는 어른의 표본일까 두렵다. 그 시절을 지나왔다고 다 알고 있다고 말하는 건 얼마나 무책임한가.
그런 의미에서 학교를 자퇴하고 자신만의 계획으로 인생을 살아가겠다는 ‘나’와 무조건 반대가 아니라 대화를 협의점을 찾는 엄마의 이야기 「금요일」은 조금이나마 희망적이며 위안을 준다. 학교에서 경험하는 불공정과 불합리한 제도에 목소리를 내는 게 당연한 일인데도 왕따와 학교폭력에 대해 방관하라고 가르치고 있는 건 아닐까.
『일주일』속 청소년은 실재하는 십 대다. 그래서 더 아프고 가혹하게 다가오는 소설이다. 뉴스에 등장하는 안타까운 죽음의 주인공이며 지금도 든든한 울타리 없는 일터에서 일하고 누구에게도 답답한 현실을 토해내지 못해 아파하고 버티는 우리의 아이들이다. 이런 소설을 읽지 않았더라면 금세 잊히고 말았을 걸 알기에. 부족한 어른이라 미안하다고 말하고 싶다.
세상은 평평하지 않고 울퉁불퉁하다. 누구는 웅덩이에 있고 누구는 언덕에 있다. 각자 다른 세상에서 어쨌든 노력하며 아무튼 불공평하게 살고 있다. 그러니 제발 세상이 좋아졌다느니 젊은 애들이 문제라느니 그런 말은 하지 않으면 좋겠어. (「일요일」, 26쪽)
돌이켜보면 그 시절이 가장 빛나고 영롱했다. 분명 지금의 아이들도 그러할 텐데, 우리는 자꾸만 무엇을 놓치고 실수를 반복한다. 더 나은 세상을 원하면서 더 나은 쪽으로 가기를 원하면서 아이들의 바람도 다르지 않다는 걸 왜 어른들은 방관하는가. 반성의 시간이 길어질 것 같다.
청소년의 이야기를 찾아 읽는 요즘이다.
뉴스에서 그들이 죽는다는 소식을 마주할 때마다, 마음이 무너졌다.
이 소설을 읽는 것으로 그 죽음을 조금 더 들여다보고,
조금 더 함께 울어보게 되었다.
대체 언제까지 죽어야하는 거지.
팟캐스트 - 책읽아웃 최진영 작가님 편을 듣고 영업(?) 당해서 읽기 시작했다. 영업(?) 시켜줘서 감사할 따름이었다. 이 이야기를 쓰는 내내, 얼마나 많은 고민이, 고통이 있었을지 짐작할 수 있었다.
자, 읽었으니까 이제 어른인 나는 무얼하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