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9월 17일 |
---|---|
쪽수, 무게, 크기 | 252쪽 | 264g | 118*188*17mm |
ISBN13 | 9788936478865 |
ISBN10 | 8936478869 |
스티커 증정(포인트 차감)
출간일 | 2021년 09월 17일 |
---|---|
쪽수, 무게, 크기 | 252쪽 | 264g | 118*188*17mm |
ISBN13 | 9788936478865 |
ISBN10 | 8936478869 |
MD 한마디
[함께 걷는 여성창작자들의 다정한 연대의 편지] 정세랑, 김소영, 이반지하 등 지금 가장 주목받는 스무 명의 여성창작자들이 ‘나의 언니’에게 쓴 편지. ‘혼자 걸을 때에도 함께라는 걸 알고 나자 벽들이 투명해진다’는 정세랑 작가의 말처럼, 편지를 통해 시공간을 뛰어 넘어 서로를 이어주는 다정한 연대가 펼쳐진다. - 에세이 MD 김태희
정세랑 김소영 니키 리 이반지하… 지금 이곳의 여성 창작자들이 말하는 ‘나의 언니’ 누적 조회수 20만 SNS 화제의 뉴스레터 뉴스레터 형식으로 연재되며 SNS에서 화제를 모은 『언니에게 보내는 행운의 편지』가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나이와 국적, 시대를 뛰어넘어 당신이 ‘언니’로 생각하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정세랑 김인영 손수현 이랑 이소영 이반지하 하미나 김소영 니키 리 김정연 문보영 김겨울 임지은 이연 유진목 오지은 정희진 김일란 김효은 김혼비, 지금 가장 주목받는 스무명의 여성 창작자들이 이 질문에 답한다. 이들이 말하는 ‘나의 언니’는 베아트릭스 포터,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주디스 버틀러 ‘형님’ 등의 잘 알려진 인물부터 태어나지 못한 언니, 미래의 나까지 시간과 공간을 넘나든다. 지금 이곳의 여성 창작자들이 그리는, 시공간을 가로지르는 언니들의 연결망이 펼쳐진다. |
프롤로그 봄에는 습지를 산책하고 싶습니다 / 정세랑 더 많은 여성들에게 잘했다고 말해주고 싶어요 / 김인영 꽃샘추위 / 손수현 포기하면 끝이야, 살아서 다시 보자 / 이랑 식물은 언제나 다정합니다 / 이소영 나도 한때는 언니들 참 좋아하는 사람이었습니다 / 이반지하/김소윤 고통은 이야기가 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 하미나 우리는 나쁜 일에 사로잡힐 시간이 없어요 / 김소영 우린 이렇게 사랑하고 웃고 그러다가 죽겠지 / 니키 리 어떤 말들은 버리기 위해 하고 싶어집니다 / 김정연 당장 두꺼운 이불을 꺼내야겠어 / 문보영 당신을 생각하면 눈물이 나요 / 김겨울 언니의 이름을 불러주고 싶어 / 임지은 어떤 사랑을 하며 살아야 할까요 / 이연 많은 날들을 죽고 싶다고 생각하며 살았어 / 유진목 어느새 언니가 되어버린 나와 당신께 / 오지은 ‘여자의 적은 여자’인 세상을 위해서 / 정희진 언니 앞에서는 무엇도 숨길 수가 없었습니다 / 김일란 모험을 떠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요 / 김효은 우리의 그라운드를 넓게 쓰는 방법 / 김혼비 에필로그 |
십인십색(十人十色). 생각이나 취향이 사람마다 모두 다르다는 뜻의 한자성어다. 생각이나 취향이 사람마다 얼마나 다른지,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한 번 느꼈다. "나이와 국적, 시대를 뛰어넘어 당신이 '언니'로 생각하는 사람은 누구인가요?"라는 질문에 20명의 여성 창작자가 답했는데, 대상인 언니가 속한 시대와 국적은 물론이고, 편지의 형식과 내용, 편지가 담고 있는 문제 의식과 메시지가 다양하고 다채롭다.
가령 뮤지션이자 영화감독, 소설가인 이랑은 재일조선인 예술가 한동현에게 편지를 쓰면서, '언니' 덕분에 '조선적'이 무엇인지 처음 알게 되었고, 여권을 발급받기 위해 국적을 바꿔야 하는 삶이 있다는 것과 국적을 바꾸지 않아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권리를 찾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다고 고백한다.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은 100여 년 전 <한국의 들꽃과 전설>이라는 책을 쓴 플로렌스 헤들스톤 크레인에게 편지를 쓰면서, 한국의 식물학계에 끼치는 영향력이 상당한데도 그가 여자라는 이유로 '선생'이 아니라 '여사'라고 불리는 현실을 전한다.
언니라는 말이 낯간지러우니 '형님'으로 부르겠다는 이반지하, 그동안 수많은 언니들에게 도움을 받았으니 이제 자신이 좋은 언니가 될 차례라고 말하는 오지은, '남자의 적은 남자'인 세상이 지겨우니 '여자의 적이 여자'인 세상을 만들자는 정희진의 글에서도 각각의 캐릭터가 여실히 드러나 재미있었다. 이토록 개성 있고 똑똑하고 재미있는 여성들이 만들어갈 세계가 궁금하고 기대된다.
물론 내가 여자라서 손이 더 가는 것일 수 있다.
재밌는 기획? 이다.
왠지 스타워즈 생각이 나는 디자인.
내용도 스타워즈만큼? 재밌다.
여자라서 그럴 수 있겠지만. 나도 해봤던 생각 겪어봤던 생각들을 이래저래 해보는 거.
조금 불편하고 힘들고 시원하고 뭐 그런.
나도 이렇게 편지 쓸 언니가 있었으면, 나도 이런 언니가 되어줘야 겠다.
그리고...내 몫을 해야겠다.
여성, 차별, 평등, 식물, 퀴어, 언니, 형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는다.
말하지 못하는 고통.
일을 해야해. 내몫의 일을 해야해. 그 일을 잘하기 위해서 세상을 공부해야 해.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해.
절망이 덮쳐올 때 얼른 좋은 생각으로 덮어 씌우기. 사실 나쁜 일에 사로잡힐 시간이 없다.
- 여성, 남성, 어른, 아이 할 거 없이 김소영의 글에서 건진 생각.
오지은의 편지처럼 나도 모르게 언니가 되었는데...난 제대로 된 언니인가...
딸도 아들도 키우는데...
여기서 지구에서 이 나라에서 여자로 산다는 건.. 얼마쯤 억울하긴 하다.
딸님이 짠해지고 나는 겪었지만 딸님은 안 겪었으면 하는 일들도 많다.
아들램한테 교육?시킬 때 며느리를 위해서라고 생각하며 하는 일들도 많다.?
근데 또 귀찮아서 곱게 받아들이고 살고 있는 나는 어떤 인니인가.
쉽지는 않지만 어떻게 해야 할까.
좋아하는 분들의 글들도 좀 있고, 어 이런 분도 있네 하는 분들도 있고. 나름 괜찮음.
정세랑- 김인영 봄에는 습지를 산책하고 싶습니다.
김인영 - 손수현 더 많은 여성들에게 잘했다고 말해주고 싶어요.
손수현- 불특정 여성 꽃샘추위
이랑- 한동현 포기하면 끝이야 살아서 다시 보자.
이소영- 식물은 언제나 다정합니다.
이반지하/김소윤 - 나도 한 때는 언니들 참 좋아하는 사람이었습니다.
하리나- 하리나 고통은 이야기가 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김소영- 옐라 레프만 우리는 나쁜 일에 사로잡힐 시간이 없어요.
니키리- 우린 이렇게 사랑하고 웃고 그러다가 죽겠지.
김정연- 미야베 미유키 어떤 말들은 버리기 위해 하고 싶어집니다.
문보영- 당장 두꺼운 이불을 꺼내야겠어.
김겨울- 허난설헌 당신을 생각하면 눈물이 나요.
임지은- 언니의 이름을 불러주고 싶어
이연- 어떤 사랑을 하며 살아야 할까요.
유진목 - 많은 날들을 죽고 싶다고 생각하며 살았어.
오지은 - 어느새 언니가 되어버린 나와 당신께
정희진- '여자의 적은 여자'인 세상을 위해서
김일란- 언니 앞에서는 무엇도 숨길 수가 없었습니다.
김효은- 모혐을 떠나지 않으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아요.
김혼비- 우리의 그라운드를 넓게 쓰는 방법
다들 고개를 주억거릴 부분이 있었고 마음이 아팠고 마음을 다잡았지만.
개인적으로 오지은 님 글이 젤 마음에 닿음.
유진목, 임지은 언니의 편지도 괜찮았고.
정희진, 김겨울 언니의 편지는 많이 아팠고.
20명의 여성 창작자들이 그리는 시공간을 가로지르는 언니들의 연결망
나이와 국적을 뛰어넘어 20명의 여성창작자들이 모내는 행운의 편지~
행운의 편지는 이전 세대의 여성과 나, 그리고 다음 세계를 잇는 가교가 될 것이다.
남성적 우월의식에서 우리는 조금씩 벗어나려는 노력을 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노력을 할 것이고, 우리 여성들의 삶은 조금 더 자유롭고 윤택해 지겠지.
정신적인 지주들의 언니가 그 전 세계의 지주들의 언니의 영감을 받아 대와 대를 잇는 가교편지를 통해 우리의 마음을 연결 짓고 있다.
조금 더 당당히 살라고, 세상은 빨리 바뀌지 않지만 바뀌어가고 있는 중이니 포기하지 말라고, 이유 없는 미움에서 잘 버텨줬다고, 수고했다며 다정한 위로를 건넨다.
여성 창작가들의 예술적 고군분투가 다음 세대의 여성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이라고 넌지시 건네주는 말들이 읽는 내내 따사로웠다.
내가 몰랐던 작가들도 어떤 삶을 살고 있고 어떤 예술을 펼치고 있는지 알게 되어 좋았던 에세이!
특히나, 『어린이라는 세계』 김소영작가님의 편지가 나에게는 제일 좋았다.
옐라 레프만의 어린이를 지키기 위한 열정과 생각을 작가님만의 특유의 따뜻한 감성으로 생각의 대를 잇게 해주어 감동받았다.
황정은언니가 없어서 아쉬웠다.
“선한 목적을 가지고 개미처럼 조금씩 천천히, 이 말은 요즘도 제가 절망할 때마다 속으로 되뇌는 말입니다. 그렇죠. 세상을 그렇게 빠르게 바뀌지 않아요.” -79p, 하미나-
“저는 그런 것을 잘해요. 절망이 덮쳐올 때 얼른 좋은 생각으로 덮어씌우는것요. 사실 우리는 나쁜 일에 사로잡힐 시간이 없잖아요? 어린이들이 뒤에서 재촉하고 있으니까요.” -101p, 김소영-
“나는 언니와 달라. 적어도 나는 언니를 가졌잖아. 나는 언니 덕에 언니보다 훨씬 운이 좋은 사람이 되었지.” -159p, 임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