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EPUB
eBook 검은 사슴은 이렇게 말했을 거다 - 문학동네시인선 112
EPUB
채호기
문학동네 2018.12.14.
가격
7,000
7,000
YES포인트?
3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 상품의 시리즈 220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이 상품의 태그

  • eBook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문학과지성 시인선438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문학과지성 시인선438
    6,300
    상품명 이동
  • eBook 날개 환상통
    날개 환상통
    6,300
    상품명 이동
  • eBook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 문학동네시인선 032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 문학동네시인선 032
    8,400
    상품명 이동
  • eBook 지구만큼 슬펐다고 한다 - 문학동네시인선 096
    지구만큼 슬펐다고 한다 - 문학동네시인선 096
    8,400
    상품명 이동
  • eBook 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
    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
    6,300
    상품명 이동
  • eBook 가장 예쁜 생각을 너에게 주고 싶다
    가장 예쁜 생각을 너에게 주고 싶다
    9,100
    상품명 이동
  • eBook 그리하여 흘려 쓴 것들
    그리하여 흘려 쓴 것들
    6,300
    상품명 이동
  • eBook 너의 아름다움이 온통 글이 될까봐 - 문학동네시인선 100
    너의 아름다움이 온통 글이 될까봐 - 문학동네시인선 100
    8,400
    상품명 이동
  • eBook 무구함과 소보로 -문학과지성 시인선524
    무구함과 소보로 -문학과지성 시인선524
    6,300
    상품명 이동
  • eBook 오늘 같이 있어 - 문학동네시인선 109
    오늘 같이 있어 - 문학동네시인선 109
    7,000
    상품명 이동
  • eBook 나는 누가 살다 간 여름일까 - 문학동네시인선 097
    나는 누가 살다 간 여름일까 - 문학동네시인선 097
    8,400
    상품명 이동
  • eBook 고백이 참 희망적이네 - 문학동네시인선 113
    고백이 참 희망적이네 - 문학동네시인선 113
    5,600
    상품명 이동
  • eBook 우주적인 안녕
    우주적인 안녕
    6,300
    상품명 이동
  • eBook 사랑은 살려달라고 하는 일 아니겠나 - 문학동네시인선 124
    사랑은 살려달라고 하는 일 아니겠나 - 문학동네시인선 124
    7,000
    상품명 이동
  • eBook 아름다웠던 사람의 이름은 혼자 - 문학동네시인선 111
    아름다웠던 사람의 이름은 혼자 - 문학동네시인선 111
    8,400
    상품명 이동
  • eBook 이별이 오늘 만나자고 한다
    이별이 오늘 만나자고 한다
    8,400
    상품명 이동
  • eBook 끝까지 남겨두는 그 마음
    끝까지 남겨두는 그 마음
    9,660
    상품명 이동
  • eBook 용서를 배울 만한 시간 - 문학동네시인선 108
    용서를 배울 만한 시간 - 문학동네시인선 108
    7,000
    상품명 이동
  • eBook 저녁이 쉽게 오는 사람에게 - 문학동네시인선 105
    저녁이 쉽게 오는 사람에게 - 문학동네시인선 105
    8,400
    상품명 이동
  • eBook 어떤 사랑도 기록하지 말기를
    어떤 사랑도 기록하지 말기를
    8,400
    상품명 이동

소개

목차

시인의 말

나는 언제나 내가 아니다

명자꽃
나는 누구인가?
겨울 저녁, 덕수궁 현대미술관에서
다른 곳
눈을 이해하는 법
일그러짐?눈의 바다
갑자기
뭐라고?
은밀한 투명무늬
나를 이해하는 법?단순한 삽화
푸른 벽
마음을 들여다본다
저녁에
저녁의 노래
조각가


아무것도 아닌

먼지의 정물
그녀는 곧
순간의 숲
에델바이스
삶은 마술이다
단순한 삽화
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은 흰 종이
잡담
눈이 쓴 산문에 앉아
……가 되기를 거부하는 끝내 그 무엇도 아닌 것들


시간의 끝이 얼마 남지 않았다

꽃병
볼살 통통한 소녀 1
볼살 통통한 소녀 2
벌거벗은 마음
새벽의 노래
부러진 쇄골
미지의 대륙
사람은 죽는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돼
고양이
검은 사슴
죽음은 비교할 수 없다
오래된 나무
근데, 시간은 있나?


그 이후가 있을까?

저 물속에
소포

두 장면
도시 외곽의 시간
언니 뭐해!
연두
과일
회귀
돌을 이해하는 법
극도로 차가운 빛
재채기
삽화
등대


나는 누구인가?

자기부상 : 자기분석
자기부상 : 자기분석
자기부상 : 자기분석
자기부상 : 자기분석
자기부상 : 자기분석

해설 | 저녁의 극한 | 이철주(문학평론가)

저자 소개1

蔡好基

1988년 『창작과비평』 여름호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지독한 사랑』 『슬픈 게이』 『밤의 공중전화』 『수련』 『손가락이 뜨겁다』 『레슬링 질 수밖에 없는』이 있으며, 김수영문학상과 현대시작품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문예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채호기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8년 12월 14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19.07MB ?
ISBN13
9788954653749
KC인증

출판사 리뷰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언제나 내가 아니다.”
뜨겁고 아름다운 ‘나’라는 언어의 극한

문학동네 시인선 112번째 시집으로 채호기 시인의 『검은 사슴은 이렇게 말했을 거다』를 펴낸다. 1988년 『창작과비평』으로 등단, 전작 『레슬링 질 수밖에 없는』 이후 4년 만에 펴낸 시집이자 올해로 시력 30년을 가득 채운 거장의 가장 뜨겁고도 첨예한 시 세계를 닮은 일곱번째 시집이다. “몸”의 시인이자 “형이상학적 물질론”의 언어 세계를 펼쳐 보인 시인 채호기. 그의 신작 시집은 거기에서 더 나아가 언어 예술이 보여줄 수 있는 극단에 도전하며, 인식과 상상이 극한에 이르렀을 때 생겨나고 들려오는 침묵과 음악을 받아쓴 흔적들로 가득하다. 그럼으로 부서진 나와 나들을 그러모은 파편-시편들이 반짝이며 쏟아져내린다.

『검은 사슴은 이렇게 말했을 거다』는 총 57개의 시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 2부라는 명칭 없이 제목으로만 껴안은 각 파트는 이 시집이 분절될 수 없는 하나의 시라는 생각을 하게끔 한다. 또한 악장으로 나뉘어 찰나의 휴지는 있으나 결국 한 곡으로 들리는 음악을 떠올리게 하는 구성이기도 하겠다. “나는 언제나 내가 아니다” “아무것도 아닌” “시간의 끝이 얼마 남지 않았다” “그 이후가 있을까?” “나는 누구인가?”로 이어지는 제목들은 시인이 도전하는 극한의 주제에 다름 아니기도 하다.

나?
나라고 쓰면서 동시에 갈라진다. 하나는 내 몸을 가리키면서 파고들면서(물결이 배 밑바닥을 지나가면서 배가 일렁이듯) 공명하고(무엇이 무엇에 공명하는 것일까?), 다른 하나는 종이에 덧칠되면서 종이를 긁으면서 표면에 붙으면서 나가 된다.
나는 수많은 갈라짐이다. 쪼개진 자잘한 부분이 나이다. 눈길을 끄는 것들이(얼핏 보았지만 잔상으로 남는 색깔 같은 것이거나, 사라진 뒤에도 남는 냄새, 촉감 같은 것) 있어 그것들을 그러모을 수 있다면 그게 나?
그러나 나. 인. 순간. 동시에 사방으로 흩어진다.
_「나는 누구인가?」 부분

일상을 어떻게 시로 만들까 평소 고민해오던 나는 어제 「잡담」이란 제목의 초고를 썼다. 시를 이렇게 써도 되나? (이걸 합평에 부친다면, “산문이나 소설의 한 부분 같다”는 비판이 날아올걸) 이건 시가 아니라 ‘삽화’라고 멸시받지 않을까? 나는?발표할까, 말까, 이렇게도 한번 써볼까, 그냥 써오던 대로 쓸까?망설인다.
_「삽화」 부분


산산조각으로 부서졌다 회집하는 나
그리하여 태어나는 또하나의 새로운 몸

내 안의 수많은 ‘나들’이 들썩이고 괴로워하며 실족하고 무너져내리는 이곳은 채호기의 시가 태어나는 곳이자 한사코 벗어나려 하면서도 결국 되돌아오고 마는 시적 여정의 종착지이다. 자기 안의 자신을 끝끝내 지워내지 못한 실패로서만 존재하는 이 불가능한 사랑은 주체 ‘너머’의 절대적 대상을 갈망하지만, 그러한 갈증이 태어나는 ‘나’라는 욕된 이 자리를 부정하지 않는다.
_이철주(문학평론가), 해설 「저녁의 극한」부분

“물위에 새긴 장면”(「두 장면」), “먼지의 정물”(「먼지의 정물」), “이명을 떨쳐내는 반동으로 자기부상 하는 침묵”(「자기부상 : 석분기자」), “암흑을 바라보는 암흑의 빛”(「돌을 이해하는 법」), “몸안에서 메아리치는 소리 없는 것들”(「자기부상 : 석분기자」), “사랑하는 사람을 산다는 것”(「근데, 시간은 있나?」)에 이르기까지. 시인이 포착한 극도로 섬세한 이미지는 부재하면서도 너무나도 선연하게 다가오고, 이는 도달 불가능한 너머와 무한과 유한을 함께 환기한다. 사물과 현상을 있는 그대로 감각하고 파고들어 가까스로 건져낸 인식들, 그것을 순정한 언어로 펼쳐낸 시편들. 그곳에 닿기 위해, 닿지 못해, 닿았다 착각하는 사실마저 직시하며 “그건 인간의 터무니없는 상상”(「고양이」)이라고 써내는 시인. 그렇기에 너무나 인간적일 수밖에 없는 시인 채호기. 수많은 나들이 속삭이고 웅성거리고 때로는 침묵하는 소리들을 받아 적는 일은 수만 개로 반짝이는 분명한 나들을 목도하는 일이자, 산산조각으로 흩어진 나를 그러모으는 작업에 다름 아니다. 그리하여 한 권의 책으로 묶어 선보일 『검은 사슴은 이렇게 말했을 거다』는 독자들이 결코 잊을 수 없을 단 하나의 새로운 몸을, 그 몸의 탄생을 함께 지켜보는 일이 될 것이다.

리뷰/한줄평1

리뷰

8.0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선택한 소장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