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모빌리티 정의
왜 이동의 정치학인가?
앨피 2019.12.10.
베스트
사회비평/비판 top100 1주
가격
18,000
10 16,200
YES포인트?
9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책소개

목차

감사의 말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서론 삼중의 위기

삼중의 모빌리티 위기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
모빌리티의 정치

1장 모빌리티 정의란 무엇인가?

교통정의를 넘어
교통정의에서 모빌리티 정의로
공간정의의 활용
이동의 식민지적 체제

2장 신체 이동과 인종정의

젠더, 섹슈얼리티, 그리고 몸의 이동
장애와 장애를 강요하는 환경
흑인의 이동 1 : 도망자의 전복적 모빌리티
흑인 이동 2 : 수상한 움직임
너는 몸이 있다

3장 자동차 모빌리티와 교통정의를 넘어

인종, 계급, 젠더 그리고 교통정의
자동차 모빌리티의 쇠퇴
탈-자동차와 탈-탄소 전환
세계 교통정의와 공정한 도시
유토피아적 실험과 이동정치적 투쟁

4장 스마트 도시와 인프라 정의

도시와 이동성
재난 모빌리티/부동성
네트워크 도시화
역외 투자와 특권층의 분리

5장 유동 국경과 이주정의

이민 위기의 구성
이동적 국경 실천
구금, 추방, 감옥
특권적 모빌리티의 노출
이주정의

6장 지구 생태계와 세계 정의

모빌리티와 에너지 문화의 물질성
느린 이동과 공유경제
가속화, 군사력, 그리고 탈-인간 생태학
전 지구적 도시화

결론 이동적 공유재

모빌리티 공유재의 기원
이동적 공유재의 활성화

■ 모빌리티 정의의 원칙
■ 용어 해설
■ 미주

저자 소개2

미미 셸러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필라델피아 드렉셀대학 문화 커뮤니케이션학과의 사회학 교수이자, ‘새로운 이동성 연구 및 정책센터’의 창립이사. 카리브해의 식민지 이후를 전공하고, 영국 사회학자 존 어리와 함께 학술 저널 『모빌리티즈Mobilities』를 공동 창간했다. 현재 급부상 중인 모빌리티 연구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로 꼽힌다. 저서로 『노예제 이후의 민주주의Democracy After Slavery』, 『카리브해 소비하기Consuming the Caribbean』, 『아래로부터의 시민권Citizenship from Below』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현대문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옮긴 책으로 『디아스포라 이즈』, 『페미니즘 위대한 역사』(공역), 『권력정치문화』, 『모리스 블랑쇼 침묵에 다가가기』, 『다름과 만나기』, 『도시를 다시 생각한다』, 『모빌리티 정의』, 『틈새시간』, 『온더 무브』, 『안토니오 그람시 비범한 헤게모니』 등이 있다.

최영석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9년 12월 10일
쪽수, 무게, 크기
416쪽 | 566g | 148*215*30mm
ISBN13
9791187430803

출판사 리뷰

불평등한 모빌리티가 만든 이동 특권층

브라질 상파울루에서는 자가용 헬리콥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이동 특권층’이다.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소수의 정치권력층이나 부유층은 날아다니고 그렇지 못한 다수는 걷거나 차를 타고 이동하는 것이 현실이다. 화석연료 에너지 장악에 기반한 사회지배층의 권력은 현대 도시환경에 구축된 불평등한 모빌리티에서 표출된다. 그런데 이 권력은 권력이 없는 다수에게 공해라는 외부효과를 겪게 하고, 이동할 때 위험부담을 안기며, 공간적 한계를 만들고, 부동성을 강요하거나 이동을 강제한다. 이미 돈(권력)과 이동성 간에 등가관계가 형성된 것이다. 기술 발전에 기반한 단순한 교통정의를 넘어 국적/지역/젠더/장애/와 관련한 신체이동정의, 자동차 모빌리티와 탈탄소 정책, 재난과 관련한 스마트시티 및 인프라 정의, 난민 및 국경 문제와 관련한 이주정의, 도시화 및 에너지문화와 관련한 생태계 정의 등 신체, 거리, 도시, 국경, 지구 영역에 걸친 이동성/부동성 문제가 이 책의 문제의식이다.

공유재와 ‘공유 모빌리티’

불평등한 모빌리티 체제로는 발전을 지속할 수 없다. 인간이, 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려면 사회적으로 더 정의로운 모빌리티 체제를 만들어야만 한다. 이것이 이 책의 전제이자 결론이다. 누가 이동하고 무엇을 움직일 수 있는가를 결정짓는 거대한 불평등이 존재하면, 이동이 에너지 소비에 기초한 권력 행사가 되면, 특권층은 언제나 에너지와 권력을 남용하고 그 피해는 비특권층이 뒤집어쓰게 된다. ‘공유지의 비극’은 모두에게 접근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가 이를 전유하고 다른 사람들이 공동으로 가진 권리를 부정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동의 자유와 머물 자유는 우리가 공유재와 협상하면서 스스로 정한 한계를 필요로 한다. 모빌리티 정의는 이동적 공유재와 ‘공유 모빌리티commoning mobility’를 활성화해야만 달성할 수 있다. 우리 몸과 거리, 도시, 인프라, 국가, 지구를 파편화하고 사유화하는 불균등하고 차별적인 모빌리티를 약화시킬 방법은 무엇일까?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6,200
1 16,200